PUKYONG

가족법상의 법률행위와 채권자취소권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채권자취소권은 채권자의 채권확보를 위하여 채무자가 행사한 법률행위를 취소하고 취소한 법률행위에 따라 채무자에게서 이탈한 재산을 채무자에게 환원하는 권리이다.
따라서 채권자취소권은 채권의 일반적인 효력으로서가 아니라 채권집행의 실효성이 결여되었을 때에 한하여 한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결국 이는 채권자가 채무자의 법률행위에 무한적으로 간섭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오직 채권자의 채권의 확보가 위협받는 범위 내에서 제한적으로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재산분할청구권이란 이혼 또는 혼인취소의 경우에 당사자 일방이 다른 일방에 대하여 혼인 중에 공동으로 이룩한 재산의 분할을 청구할 것을 내용을 하는 권리이다. 이는 부부공동생활이 종료하는 경우 그 재산에 대한 실질적인 청산이 필요하게 되고, 이와 같은 뜻에서 1990년 개정 민법에서는 재산분할청구권을 신설하게 된 것으로 가족법의 규율에 의하여 행해지는 가족법적 법률행위이다.
그리고 상속포기는 피상속인의 사망으로 상속이 개시되면 피상속인의 채권과 채무를 모두 포함한 재산에 관한 포괄적인 권리 의무를 승계하게 되나 경우에 따라서 상속인의 상속포기의 방법으로 피상속인의 재산상속을 포기하게 되는 것으로 상속포기는 상속인이 모든 상속재산의 승계를 전면적으로 부인하는 의사표시로 이 역시 가족법적 법률행위이다.
재산분할과 상속포기모두 가족법적 법규로 특정한 가족관계에 있는 자라면 당연히 행사할 수 있는 권한임에도 불구하고 채권자가 채무자의 위와 같은 권리행사를 제재할 권한이 있는지가 문제되는데 재산분할과 상속포기의 실질적 의미는 재산분할자와 상속인의 재산에 대한 증감이 발생하는 것으로 만약 채무자인 배우자나 상속인의 재산분할이나 상속포기행위로 인하여 채권(재산)이 감소할 경우에는 채권자의 채권확보에 관한 실효성이 결여될 우려가 있고, 결국 자신의 채권확보를 위하여 채권자는 채무자의 재산분할 혹은 상속포기 행위에 관하여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함으로서 채권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재산분할과 상속포기를 채권자취소권의 대상으로 보는 것은 올바르다 할 것이지만 이를 무조건적으로 채권자취소권의 대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재산 분할자와 상속인이 처해 있는 여러 가지 사정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Author(s)
염희정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채권자취소권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01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776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법학과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법학과
Advisor
고명식
Table Of Contents
< 목 차 >

Abstract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제2장 채권자취소권의 기본법리 4

제1절 채권자취소권의 개념 4
제2절 채권자취소권의 연혁 및 입법례 5
1. 채권자취소권의 연혁 5
2. 채권자취소권의 입법례 6
가. 프랑스 6
나. 독일 11
다. 우리나라 16

제3장 이혼에 따르는 재산분할과 채권자취소권 22

제1절 재산분할의 개념 22
제2절 부부재산제도의 입법취지 및 입법례 23
1. 재산분할 제도의 입법취지 23
2. 재산분할 제도의 입법례 24
가. 미국 24
나. 독일 26
다. 프랑스 29
라. 일본 30
마. 우리나라 32
제3절 재산분할의 기본법리 39
1. 재산분할의 법적성격 39
가. 청산적 성격 39
나. 부양적 성격 43
다. 위자료적 성격 44
2. 재산분할의 대상 47
가. 특유재산 48
나. 공유재산 48
다. 배우자의 협력으로 취득한 고수익을 창출하는 자격증 또는 직업 49
라. 장래에 취득하게 될 재산 50
마. 채무 51
3. 재산분할의 방법 51
가. 협의분할 51
나. 재판상 분할 53
제4절 재산분할과 채권자취소권 53
1. 서 53
2. 재산분할의 채권자취소권대상성에 관한 학설과 판례 55
가. 학설 56
나. 판례 59
3. 재산분할의 상당성 62
가. 상당성의 판단기준 62
나. 상당성판단기준의 문제점 63
다. 구체적 상당성의 범위 65
라. 상당성초과의 입증책임 66

제4장 상속 승인과 포기 및 상속재산분할과 채권자취소권 67

제1절 상속의 개념 67
1. 상속의 개념 67
2. 협의분할상속의 개념 68
제2절 상속의 승인과 포기 69
1. 상속의 승인 69
가. 단순승인 69
나. 법정단순승인 69
다. 한정승인 71
2. 상속의 포기 72
가. 상속포기의 개념 72
나. 상속포기의 기간 73
다. 상속포기의 방법 76
라. 상속포기의 효과 77
제3절 상속포기의 채권자취소권대상성 여부에 관한 외국의 입법례 79
1. 일본 79
가. 입법상황 79
나. 학설 79
2. 독일 83
가. 입법상황 83
나. 학설 83
3. 우리나라 84
가. 입법상황 84
나. 판례 84
다. 학설 84
제4절 상속 승인과 포기 및 상속재산분할과 채권자취소권 88
1. 상속승인의 채권자취소권 대상성 88
2. 상속포기의 채권자취소권 대상성 89
가. 상속포기의 채권자취소권대상성 여부 89
나. 상속인의 채권자와 상속채권자의 구분의 타당성 여부 90
3. 상속재산분할과 채권자취소권 대상성 90

제5장 결론 92

< 참고문헌 >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법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