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내구성 해양콘크리트의 시공성 향상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Improving workability of high level durable marine concrete
- Abstract
- 각종 구조물은 시공될 때부터 구조물의 특성이나 주변 환경의 여러 가지 침해 요인의 영향을 받아 손상이나 성능저하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필연적 성능 저하 때문에 구조물은 제한된 수명, 즉 내구수명을 가지게 되며, 이 내구수명은 원하는 목표 수명 기간 동안 구조물의 충분한 사용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목표수명 보다 더 길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으로는 염해, 탄산화(중성화), 동해, 화학적 침식, 알칼리 골재반응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는 염해에 의해 철근 부식은 열화 정도나 발생 빈도 면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 저하를 유발하는 가장 심각하고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의 적용현장은 해상에 위치하고 있어 항상 염해 조건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배합설계시, 구조적 안전성과 직결되는 콘크리트 강도 확보 뿐만 아니라 염해에 대비한 내구성 확보도 필수적인 검토사항으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도와 슬럼프 중심의 평가에 근거한 기존의 배합설계에서 탈피하여, 현재 국내에서 흔히 적용되고 있는 결정론적인 내구설계 기법이 아닌 각 설계변수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확률론적으로 접근하는 듀라크리트(Duracrete) 설계법의 내구성능과 목표사용수명을 만족시키는 콘크리트 배합을 결정하였다. 또한 향후 유사 해양 환경조건의 구조물 배합에 참고될 수 있도록 각 종 결합재 종류와 사용 비율에 따른 특성 등을 제시된 배합설계 보고서에 나타내었다.
콘크리트의 작업성 및 마감, 품질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 적절한 콘크리트의 배합과 더불어 시공 장비, 시공방법 개선을 위한 작업자의 꾸준한 교육이 확실한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시공 전 예비 실제 모형의 시공을 통해 시공상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함으로써 우수한 시공 품질 관리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 Author(s)
- 임현칠
- Issued Date
- 2010
- Awarded Date
- 2010.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concrete cable-stayed bridges creep shrinkage ACI Committee 209 model CEB-FIP (1990) model B3 model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02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787
- Alternative Author(s)
- Hyun-Chil, Lim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 Department
- 산업대학원 토목공학과
- Advisor
- 이환우
- Table Of Contents
- 목 차
1. 서 론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1.2 연구범위 3
2. 이론적 근거 7
2.1 국내외 내구성 설계 현황 7
2.1.1 내구성 설계의 개요 7
2.1.2 우리나라 내구성 설계기준 8
2.2 내구성 설계이론 11
2.2.1 내구성 설계의 기본개념 11
2.2.2 100년 내구성 설계 12
3. 연구대상 콘크리트의 배합특성 평가 16
3.1 연구대상의 개요 16
3.2 고내구성 해양콘크리트의 배합 특성 평가 18
3.2.1 실험계획 18
3.2.2 사용재료 20
3.2.3 실험결과 21
3.3 연구대상 콘크리트의 배합검토 23
3.3.1 실험계획 24
3.3.2 사용재료 26
3.3.3 교량 및 침매함체 배합 결정 28
4. 수화열 해석 및 양생방안 수립 29
4.1 시방기준 검토 29
4.1.1 균열 위험도 29
4.1.2 최대 상승온도 29
4.1.3 온도차 관리 30
4.2 침매터널 30
4.2.1 수화열 해석 조건 30
4.2.2 배합조건 31
4.2.3 타설 및 양생조건 31
4.2.4 물성 모델링 34
4.2.5 해석결과 37
4.2.6 계절별 관리 방안 요약 40
4.2.7 침내터널의 수화열 관리 방안수립 41
5. 현장적용을 위한 품질관리 개선 44
5.1 실제모형부재 시험에 의한 적용성 평가 44
5.1.1 교량 케이슨 구조물의 실제모형부재시험 44
5.1.2 케이슨 벽체 실제모형부재 시험 50
5.1.3 침매함체 실제모형부재 시험 52
5.2 현장 시공성 개선사례 63
5.2.1 콘크리트 시공성 개선 63
5.2.2 시공방법 개선 65
5.2.3 콘크리트 마감성 개선 74
5.2.4 콘크리트 수화열관리 개선 84
5.3 고내구성 콘크리트의 상용화검토 89
5.3.1 내구성 설계 89
5.3.2 현장 적용 콘크리트의 우수성 91
5.3.3 내구성 콘크리트 배합설계 제안 94
6. 결론 98
참고문헌 100
감사의 글 10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토목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