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해상도 탄성파 자료 해석을 통한 제주 남부 대륙붕의 퇴적환경 연구
- Alternative Title
- High resolution seismic study on sedimentary structure in the southern shelf of Jeju Island
- Abstract
- 제주도 남부 해역의 해저 지층 형태 및 퇴적구조를 파악하고 표층 퇴적 작용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고해상도 탄성파 탐사자료 (Chirp subbottom profiler, Sparker system)를 분석하였다. 음향기반암 상부의 퇴적층을 세 개의 퇴적단위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퇴적단위의 경계는 남쪽으로 경사져 있는 부정합면에 의해 구분된다. 연구지역의 북서부에서 남부 및 남동부로 이동함에 따라 음향기반암, Unit C, Unit B, Unit A가 차례로 해저면 표층에 노출되어 있다. 표층 및 내부반사면의 반사형태와 기존 탄성파자료 및 표층퇴적물 연구결과를 통해 Unit A는 인근 육상기원 퇴적물의 유입량이 많은 고해수준 시기에 형성되었고, Unit B는 해수면의 빠른 상승과 함께 해안선 부근에서의 침식작용이 활발했던 시기에 퇴적된 것으로 판단되며, Unit C는 염하구 환경에서 형성된 퇴적층으로 구성되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Chirp 자료를 이용하여 파악한 표층 퇴적층의 음향반사 형태에 따라 3개의 상위 음향상을 포함한 총 8개의 세부 echo type으로 분류하고 이에 대한 특징 및 분포를 파악하였다. 연구해역의 남부와 남서부에는 주로 편평한 표층반사를 나타내는 1번 계열의 음향상이 우세하게 나타나고 특히 세립질 퇴적물의 퇴적경향을 의미하는 1-2, 1-3 음향상이 주로 분포한다. 침식작용에 의한 기반암의 해저면 노출 또는 조립질 퇴적물이 퇴적되어 있음을 반영하는 3번 음향상은 연구해역의 북부 및 북동부에 해당하는 제주도 주변의 해역에 분포한다.
- Author(s)
- 유신
- Issued Date
- 2010
- Awarded Date
- 2010.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제주 남부 대륙붕 퇴적층서 고해상도 탄성파 단면도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03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794
- Alternative Author(s)
- Yu, Shi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환경탐사공학과
- Advisor
- 김대철
-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지역의 해양환경 3
제 2 장 연구재료 및 방법 7
2.1. 고해상도 탄성파탐사 7
2.1.1. Chirp subbottom profiler 10
2.1.2. Sparker system 10
2.2. Chirp 및 sparker 자료의 처리 11
제 3 장 연구결과 12
3.1. Sparker 자료를 이용한 퇴적층서 분류 12
3.1.1. 탄성파 층서단위의 특징 24
3.1.2. 탄성파 층서의 분포 25
3.2. Chirp 자료의 음향상 특성 및 분포 27
3.2.1. 음향상 분류 41
3.2.2. 음향상 분포 45
제 4 장 고 찰 48
4.1. 제주 남부 대륙붕의 퇴적환경 48
4.2. 음향상과 표층퇴적물 분포의 관계 57
제 5 장 결 론 60
참고 문헌 61
요 약 70
사 사 7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환경탐사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