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광주기 조절에 의한 무지개송어 연중종묘생산 및 산업화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무지개송어 광주기 조절에 의한 연중 산란으로 양식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생식주기를 파악하고, 광주기 조절에 의한 조기 성숙과 채란 효과를 구명하였으며, 광주기 처리에 의해 얻어진 수정란과 자연 어미에서 채란한 수정란을 비교 사육하여 생산성을 분석하기 위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양식장 관리나 생물실험에서 어류의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환경요소의 관련성을 부가적으로 조사하였다.
양식장에서 사육하는 무지개송어 친어의 암컷은 전장 및 체중이 각각 53.59±5.27 cm, 3.23±0.29 g이었으며, 수컷은 전장 및 체중이 각각 47.61±3.25 cm, 2.58±0.17 g이었다.
무지개송어의 생식소중량지수(GSI) 변화에서 암컷은 1월에 10.02±2.71%이었으나 6월에는 0.81±0.38%까지 감소하였으며, 그 이후 다시 서서히 증가하여 11월에는 12.43±3.12%로 최고를 보였다. 수컷은 1월에 1.23±0.40%에서 5월에는 0.71±0.19%로 최저를 나타낸 후 다시 증가하여 10월에 4.92±1.23%로 최고를 보였다.
전장(TL)에 대한 포란량(F)의 관계는 F=171.91e0.0575TL (R2=0.9317)로 나타났으며, 체중(BW)에 대한 포란량(F)의 관계는 F=1178.80e0.0004BW (R2=0.9358)로 체중 3,000 g일 때 4,500개, 4,000 g일 때 6,500개를 포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기 조절 방법에 따른 생식소중량지수(GSI) 변화는 광주기 시험 시작한 3월에는 6.54%였으나, 8월에는 광주기 시험구에서 4.53-14.6%로 생식소중량지수가 급증하였으며, 동년 8월에 대조구는 3.17%로 아직 성숙도가 낮았다.
광주기 조절 시험에서 일장을 20시간 조절한 I 시험구는 8월 3일에 채란되었으며, 일장을 18시간 조절한 II 시험구는 8월 25일에 채란되었다. 일장을 14시간 조절한 III 시험구는 9월 13일에 채란되었고, 자연광을 이용한 대조구는 11월 12일에 채란되어 광주기 조절에 의한 조기 성숙 및 채란이 가능하였다.
난경은 광주기 시험구에서 4.4-4.7 mm 범위였으나 대조구는 4.9 mm로 시험구와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난중량은 광주기 시험구에서 64.3-71.8 g이었으나 대조구는 78.8 g로 시험구와 중량의 차이가 인정되었다(p<0.05).
광주기 조절 시험에 의한 발안율은 광주기 시험구에서 69.32-71.50% 범위였으나 대조구에서는 83.21%로 시험구와 차이가 있었다. 부화율은 광주기 시험구에서 65.51-69.53% 범위였으나 대조구는 81.92%로 대조구가 높았으며, 부상률은 시험구에서 63.72-65.41% 범위였으나 대조구에서는 78.30%로 시험구와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무지개송어 재생산에 대한 GSI 변화 및 조직학적 관찰에서 3월에는 광주기 조절구와 대조구에서의 GSI와 조직학적으로 차이가 적었으나 5월에는 광주기 조절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GSI가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조직학적 관찰에서도 성숙한 개체가 뚜렷하였다.
치어 사육 시험기간 중의 광주기 시험구와 대조구의 환경조사에서 광주기 시험구의 수온은 12.15±0.6℃, DO는 9.43±0.5mg/L였고, pH는 7.76±0.2이였으며, 대조구의 수온은 10.01±0.4℃, DO는 9.55±0.7mg/L였고, pH는 7.81±0.2이였다.
광주기 시험 및 대조구 어미로부터 산란된 치어의 성장시험에서 부화시 크기 전장 2.09±0.12 cm로부터 최종 사육 77일째에는 각각 7.38±0.24 cm 및 6.98±0.25 cm로 성장하여 광주기 시험구의 성장이 양호하였다. 평균체중은 0.09±0.01 g였으나, 최종 사육 77일째는 시험구 및 대조구 각각 5.08±0.16 g, 4.26±0.12 g으로 광주기 시험구의 중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육 시험기간 중 생존율은 광주기 시험구와 대조구로부터 얻어진 치어는 21일째까지 각각 96.1% 및 97.8%, 최종 사육일 77일째는 85.2% 및 88.0% 생존하였다.
광주기 시험구와 대조구로부터 얻어진 치어의 단위면적당 생산량(g/m2)은 각각 20,610 g, 17,851 g으로서 광주기 조절에 의한 연중 채란으로 치어 생산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Author(s)
함준식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03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799
Department
대학원 해양생명공학협동과정
Advisor
조재윤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과학기술융합전문대학원 > 기타 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