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독도 고유 전복 종(Haliotis madaka) 복원을 위한 유전자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Genetic analysis for restoration of Indigenous Abalone in Dokdo Island, Korea
Abstract
본 연구는 독도 지역에 서식하는 왕전복(Haliotis madaka)의 선별과 그에 따른 계통유전학적인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왕전복의 선별과 집단유전 특성 및 계통유전적 관련 연구를 위하여 왕전복의 미토콘드리아 DNA 중(mtDNA) 16S rDNA와 Cytochrome oxidase subunit Ⅰ (COⅠ) 유전자 일부의 염기서열을 결정, MEGA 4.1, Alrequin 3.1 및 Network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독도 주변 해역을 중심으로 채집된 352개체로부터 46 type의 COⅠ 유전자형을 얻었으며, 이들은 각 참전복의 haplotype이 3개, 둥근전복이 28개, 왕전복의 경우는 14개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변이는 순서대로 0.2% ~ 0.4%, 0.2% ~ 1.3%, 0.2% ~ 1.5%로 나타났다. H. madaka 종의 경우 가장 높은 유전자 다양성을 보였으며 이러한 mtDNA의 높은 다양성은 오랜 시간 안정적이고 큰 집단을 유지한 경우로 보인다. 이는 H. madaka 종이 독도에서 예전부터 서식하던 전복종임을 지지하는 결과이며 Networks의 결과 또한 H. madaka 종의 다양한 median vector를 근거로 하여 유전자 다양성이 높은 개체에서 분화하였음을 가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들 결과를 토대로 선별된 독도전복은 향후 종패로서 사용하여, 치패 방류사업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뿐만 아니라 독도에서 특징적으로 자라는 해조류를 먹이로 하여 독도전복 특유의 유용물질을 함유한 고부가가치 종으로의 생산을 통한 경북지역 어민들의 소득 증대에 보탬이 되고, 독도와 관계된 생물을 직접적으로 경제행위에 이용함으로서 독도 영유권과 관련하여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배효과의 증빙자료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Author(s)
황선영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전복 독도 왕전복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06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824
Affiliation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생물공학과
Advisor
홍용기
Table Of Contents
1. 서 론 .....................................................................................
1


2. 재료 및 방법

가. 시료의 채집 .....................................................................
4
나. 전복의 생존율 조사 .......................................................
4
다. Total DNA 추출과 PCR 반응에 적합한 조직양의 결
정 ........................................................................................
5
라. 보관용액의 선정 .............................................................
6
마. 에탄올에 의한 DNA 분해 방지 조건 .......................
6
바. 아종 단위 생물분류에 적합한 유전자의 선정 ........
7
사. 계통유전학적 분석 ........................................................
8


3. 결과 및 고찰

가. 전복의 최대 생존율 조사 .............................................
9
나. 전복 조직 보관의 최적화 .............................................
10
다. 아종 단위 종분류에 적합한 유전자의 선정 .............
11
라. 아종의 결정 ......................................................................
13
마. COⅠ 유전자의 염기 서열 ............................................
14
바. Nucleotide의 분화율 및 Haplotyoe의 빈도와 유전적
다양성 .................................................................................
15
사. MEGA 4.1 및 Networks를 이용한 계통유전적 분석
16


국문초록 ......................................................................................
49


5. 참고문헌 .................................................................................
5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생물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