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생태학적인 특성 및 생산량 추정
- Alternative Title
-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stimated Production of Fish Species in an Eelgrass Bed of Dongdae Bay
- Abstract
-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동대만 잘피밭에 출현하는 어류의 생태적 특징과 생산량 산정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28과, 53종, 10,277개체가 연구해역에서 채집되었다. 우점하였던 종은 볼락, 베도라치, 실비늘치, 가시망둑, 실고기, 문절망둑 등이었다. 이들 주요 어종은 월별로 출현하는 종류가 뚜렷한 계절변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현종수는 9월에 가장 높았으며, 개체수는 4월에 가장 높았다.
각 종의 생태학적인 특징을 조사한 결과, 볼락의 주먹이생물은 요각류, 옆새우류, 그리고 새우류였으며, 산란시기는 2∼3월이었다. 그리고 시간에 따른 성장률은 TL = 6.3567Ln(d) - 26.326이었으며, 일일 생산량은 0.021 g/m2/day(10.1g BW), 연간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0.974 g/m2/yr, P/B는 1.52였다. 베도라치의 주먹이생물은 옆새우류와 갯지렁이류였으며, 산란시기는 11∼12월로 평균포란수는 Fc = 0.2181TL3.3785였다. 그리고 시간에 따른 성장률은 TL = 6.3567Ln(d) - 26.326이었으며, 일일 생산량은 0.1205g/m2/day(29.04g BW), 연간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1.676 g/m2/yr, P/B는 1.64였다. 실비늘치의 주먹이생물은 요각류였으며, 산란시기는 5∼6월, 평균 포란수는 Fc = 0.0116TL3.5512이었다. 그리고 시간에 따른 성장률은 TL = 2.4869Ln(d) - 0.5313이었으며, 일일 생산량은 0.002 g/m2/day(4.61g BW), 연간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0.020 g/m2/yr, P/B는 0.12였다. 가시망둑의 주먹이생물은 새우류, 요각류, 옆새우류, 어류였으며, 산란시기는 12월, 평균포란수는 Fc = 2E-09TL11.724이었다. 그리고 시간에 따른 성장률은 TL = 0.0539d0.9105이었으며, 일일생산량은 0.0036 g/m2/day(0.98g BW), 연간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0.183 g/m2/yr, P/B는 1.81이었다. 실고기의 주먹이생물은 요각류와 옆새우류였으며, 산란시기는 4∼10월로, 포란수는 Fc = 0.0073TL3.9099였다. 그리고 시간에 따른 성장률은 TL = 0.0539Ln(d) - 48.979였으며, 일일생산량은 0.0011 g/m2/day(1.77g BW), 연간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0.0.015 g/m2/yr, P/B는 0.19였다. 문절망둑의 주먹이생물은 갯지렁이류와 옆새우류였으며, 산란시기는 5∼6월로, 포란수는 Fc = 173.89TL1.7007였다. 그리고 시간에 따른 성장률은 TL = 10.277Ln(d) - 48.598였으며, 일일생산량은 0.0516 g/m2/day(11.76g BW), 연간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1.327 g/m2/yr, P/B는 2.34였다.
동대만 잘피밭의 단위면적당 어류의 총 생산량은 3.9339 g/m2/yr, P/B는 1.64로 세계의 다른 잘피밭의 생산량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 Author(s)
- 김하원
- Issued Date
- 2010
- Awarded Date
- 2010.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식성 생산량 성장 생식 잘피밭 종조성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06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826
- Alternative Author(s)
- Kim, Ha Wo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해양학과
- Advisor
- 허성회
- Table Of Contents
- 1. 서론 4
2. 재료 및 방법 8
2.1 시료 채집 8
2.2 종조성 8
2.3 식성 10
2.4 산란 12
2.5 성장 13
2.6 생산량의 산정 13
3. 결과 및 고찰 17
3.1 수온과 염분 17
3.2 어류의 종조성 및 주요 어종의 출현양상 17
3.2.1 어류의 종조성 17
3.2.2 주요 어종의 출현 양상 23
3.3 주요 어종의 생태 및 생산량 추정 36
3.3.1 볼락(Sebastes inermis) 36
가. 식성 36
나. 성숙과 산란 41
다. 성장 45
라. 생산량 추정 50
3.3.2 베도라치(Pholis nebulosa) 60
가. 식성 60
나. 성숙과 산란 64
다. 성장 72
라. 생산량 추정 77
3.3.3 실비늘치(Aulichthys japonicus) 85
가. 식성 85
나. 성숙과 산란 89
다. 성장 97
라. 생산량 추정 102
3.3.4 가시망둑(Pseudoblennius cottoides) 110
가. 식성 110
나. 성숙과 산란 114
다. 성장 122
라. 생산량 추정 127
3.3.5 실고기(Syngnathus schlegeli) 135
가. 식성 135
나. 성숙과 산란 139
다. 성장 147
라. 생산량 추정 152
3.3.6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 160
가. 식성 160
나. 성숙과 산란 164
다. 성장 171
라. 생산량 추정 176
4. 종합 고찰 186
5. 요 약 218
6. 참고문헌 220
7. 감사의 글 237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해양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