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맥락 중심 문학교육 방법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ontext-centered Methodology in Literature Education
Abstract
최근 철학적 논의에 의하면 언어의 의미는 맥락에 따라 상대적인 가변성을 갖게 되며 맥락 안에서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즉 언어의 의미는 고정적이거나 객관적인 것이 아니라 그 언어를 사용하는 주체들의 맥락 속에서 의미를 드러내며 맥락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의미 결정은 불확실한 것으로 보고 있다. 언어의 의미를 이러한 맥락 속에서 보려는 철학적 패러다임이 국어교육의 주된 흐름으로 대두되면서 2007년 새롭게 고시된 개정 교육과정의 국어교육에서도 언어 수행의 맥락을 강조하고 있다.
텍스트 의미의 기원은 텍스트 생산을 둘러싸고 있는 맥락이다. 텍스트의 의미는 텍스트를 구성하고 있는 맥락 간의 관계를 따질 때 가능해진다고 할 수 있다. 작가와 독자의 의사소통이 주를 이루는 문학텍스트 또한 언어가 수행되는 맥락 속에서 그 의미가 구체화될 수 있다고 할 때, 문학텍스트와 독자의 관계에 의해 이루어지는 문학적 체험도 본질적으로 특정 맥락 속에서 끊임없이 살아 움직이는 가변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독자가 문학작품을 읽음으로써 획득하는 체험 속에서의 맥락의 작용은 독자의 텍스트의 의미 구성에 큰 역할을 하게 된다.
맥락 중심 문학수업의 목적이자 의도는 학습자가 문학텍스트를 통해 자신과 텍스트 사이에 관련을 맺고 있는 맥락을 성찰함으로써 텍스트를 이해하고 내면화하여 텍스트의 의미를 재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내면화를 통한 재구성은 독자가 텍스트를 단지 해석만 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를 매개로 해서 독자를 둘러싼 맥락을 통해 삶과 세계를 해석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맥락 중심 문학교육은 독자, 즉 학습자 중심의 문학 수업에 생동감을 부여하는데 중요한 방법적 시사를 줄 수 있으며 또한 교육 내용으로서 지식, 기능, 맥락이 통합된 기능적 문식력을 길러주는 중요한 방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의 문학교육이 학습자의 수용과 생산을 둘러싼 맥락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채 이루어지고 있다는 반성에서 출발하여, 학습자의 맥락적 의미 구성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문학교육 방법을 찾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텍스트의 생산과 수용에 작용하는 일반적인 맥락의 개념을 바탕으로 맥락의 하위 범주와 층위를 살핀 후 문학이라는 구체적인 영역에서의 맥락의 의미를 규명하고 그 특성과 작용 구조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맥락 중심 문학교육의 구조와 원리를 추출하여 맥락 중심 문학교육 방법으로서 맥락 중심 문학수업 모형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소설 단원을 중심으로 실제 적용의 모습을 제안함으로 일차적으로는 학습자 스스로 문학텍스트의 의미를 구성할 수 있고 이차적으로는 학습자가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새로이 설계할 수 있는 문학교육 목표로 나아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Author(s)
김미선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Keyword
맥락 문학교육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06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833
Alternative Author(s)
Kim, MiSu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남송우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