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먹장어(Eptatretus burgeri)의 인공사육을 위한 먹이붙임 및 적정 시설․ 환경의 탐색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ies on Feeding Adaptation, Rearing System and Environment for Hagfish (Eptatretus burgeri) Culture
Abstract
먹장어의 장기 축양기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육시설을 제작하고, 먹이붙임, 수온별 혈액성상 및 산소소비량, 염분별 혈액 및 조직 성상과 생존율을 조사하여 적정 사육시설 및 조건을 파악하였다.
사육중인 먹장어 총체중에 대한 각 먹이의 평균 일간먹이섭식률은 갯지렁이에서 5.2±2.4%, 바지락에서 4.1±0.6%로 유의하게 높았다. 먹장어 사육수의 수질은 TN 0.15 mg/L, TP 0.02 mg/L, COD 0.76 mg/L, DO 8.5 mg/L, pH 7.73으로서, 해수 수질환경기준 등급Ⅰ에 해당하였다. 90일간 먹장어의 사육결과, 일간먹이섭취율은 0.79%, 증중률은 75.1%, 일간체중성장률은 0.61%, 먹이효율은 76.6%였으며, 생존율은 63.3%였다.
먹장어 혈액의 Ht는 15℃에서 10.5±0.4%로 낮았으며 수온이 하강ㆍ상승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RBC도, 15℃에서 0.44±0.1×106 cell/μL로 낮았으며 수온의 하강ㆍ상승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Hb는 수온변화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장의 glucose 농도는 15℃에서 4.0±0.5 mg/dL로 낮은 수치를 나타냈고, 수온의 하강ㆍ상승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먹장어의 산소소비량은 수온이 높아질수록 많아졌고, 수온이 5℃ 상승함에 따라 약 2배 증가하였다. 또한 광주기에 따른 먹장어의 산소소비량은 모든 실험구의 암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명기 조건에서 수온이 10℃에서 20℃로 10℃ 상승했을 때, Q10값은 3.50, 암기 조건에서 Q10값은 3.92로 산소소비량은 수온의 상승과 함께 명기와 암기 모두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량은 암기에서 더 많았다.
먹장어 혈액의 Ht, RBC, Hb 값은 염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Glucose 농도는 30 psu와 22 psu에서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20 psu에서 13.7±4.0 mg/dL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삼투질농도는 30 psu 943.3±18.0 mOsm/kg 에서 20 psu 436.0±11.5 mOsm/kg로 염분저하와 함께 급격히 감소하였다. Na+, K+, Cl- 농도 역시 염분이 낮아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염분 20 psu에서 폐사개체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18 psu에서 모든 실험어가 폐사하여, 먹장어는 염분내성이 매우 약한 삼투순응형 어류로 판단되었다.
Author(s)
도용현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Keyword
먹장어 사육 수온 염분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07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834
Alternative Author(s)
Do, Yong Hyu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수산생물학과
Advisor
장영진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수산생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