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사보 이용이 사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House Organ and Internal Communication(Focusing on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s internal newsletter)
Abstract
기업은 성별, 세대, 교육수준, 종교, 문화적 성분, 개성, 가정환경, 출신지 등이 서로 다른 대규모의 사람들이 어떤 뚜렷한 목표 아래 뭉쳐서 함께 움직이는 거대한 생명체이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동일한 목적을 향해 끊임없이 나아갈 수 있는 조직 구성원간의 신뢰와 믿음이다. 유기적인 조직체인 기업이 목표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조직구성원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며, 여기에서 사보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기업은 경영자와 조직구성원간의 효율적 커뮤니케이션 증대를 통한 생산성 향상 및 수익성 증대,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기업체의 사회적 책임과 영속기업으로서의 존속을 이루고자하는 목적을 지닌다. 따라서 사보는 기업에서 커뮤니케이션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유력한 내부 매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즉 사보의 활성화는 곧 기업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기업을 포함한 모든 거대조직이 보다 효율적인 체계 속에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생존수단으로 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사보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만족도가 기업의 사내 커뮤니케이션 기능인 과제수행기능, 조직유지기능, 욕구충족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대우조선해양(주)의 경우를 사례로, 직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기업문화(Corporate Culture)의 핵심가치인 ‘신뢰와 열정’이 그들에게 체화됨에 있어서 다년간 정기적으로 발간되어 온 사보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대우조선해양(주)의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한 2,934부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사보만족도와 조직커뮤니케이션 기능의 상관관계 분석의 결과, 사보 만족도와 조직 커뮤니케이션 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유의미하였다. 사보 만족도가 양적인 방향으로 증가할수록 조직 커뮤니케이션 기능 또한 높아진다고 설명할 수 있다. 회귀분석의 결과, 사보만족도가 조직유지기능을 31.9%를, 과제수행기능은 27.2%, 욕구충족기능은 43.3%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보만족도가 조직커뮤니케이션 기능인 과제수행기능, 조직유지기능, 욕구충족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둘째, 사보와 핵심가치의 상관관계 분석의 결과, 사보 만족도와 핵심가치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유의미하였다. 사보 만족도가 양적인 방향으로 증가할수록 핵심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다고 설명할 수 있다. 회귀분석의 결과, 사보만족도가 회사신뢰를 35.3%를, 구성원신뢰는 22.5%, 열정은 22.0%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보만족도가 핵심가치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Author(s)
박종기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사내보 조직커뮤니케이션 핵심가치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10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870
Alternative Author(s)
Jong Kie, Park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Advisor
오창호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ⅶ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목적 1
제 2 절 연구문제 4
제 2 장 이론적 논의 6
제 1 절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기능과 유형 6
1.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6
2.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10
3.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13
4.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14
제 2 절 조직문화와 핵심가치 23
1. 조직 문화 23
2. 핵심가치 29

제 3 절 사보의 커뮤니케이션 기능 34
1. 사보의 정의 34
2. 사보의 일반적 기능 36
3. 사보의 유형 37
4. 국내 사보의 역사 41
5. 대우조선해양의 사보 ‘해오름터’ 현황 42
6. 사보와 커뮤니케이션 기능 46
제 3 장 연구방법 49
제 1 절 연구방법 50
1. 연구대상 및 연구기간 50
2. 설문 내용 50
3. 분석 방법 51
제 2 절 연구설계 52
1. 연구가설 52
2. 조작적 정의 및 분석의 틀 53
3. 신뢰도 검증 60
제 4 장 연구 결과 62
제 1 절 자료의 인구통계학적 속성 62
제 2 절 사보, 사내커뮤니케이션, 핵심가치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65
1. 사보에 대한 만족 65
2. 조직커뮤니케이션 기능에 대한 인식 66
3. 직장/업무에 대한 만족 68
4. 소속 팀에 대한 만족도 69
5. 대우조선해양(주)의 핵심가치에 대한 인식 70
6. 사내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만족 76
7. 근무연한과 직무에 따른 사보만족도 78
8. 근무연한과 직무유형에 따른 조직커뮤니케이션 기능 80
제 3 절 사보와 사내커뮤니케이션의 관계 83
1. 조직커뮤니케이션 기능과 사보만족도와의 관계 83
2. 핵심가치와 사보 만족도와의 관계 85
제 5 장 결론 및 제언 87
제 1 절 연구의 결과 및 요약 87
1. 근무연한과 직무유형에 따른 사보만족도 88
2. 근무연한과 직무유형에 따른 조직커뮤니케이션 기능 88
3. 사보 만족도와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관계 90
4. 사보 만족도와 핵심가치와의 관계 91
제 2 절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91
참고문헌 93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