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만과 보성만의 새고막 Anadara subcrenata의 채묘와 성장 비교
- Alternative Title
- Comparison of Seed Collection and Growth of Anadara subcrenata between Sunchon Bay and Boseong Bay
- Abstract
- 순천만과 보성만의 새고막 양식장에서 2008년 8월부터 2009년 8월까지 새고막 유생의 채묘와 치패의 성장을 비교하였다. 수온은 순천만과 보성만에서 유사하였으나 염분은 담수유입이 더 많은 순천만에서 더 낮았다. chlorophyll-a는 담수의 유입이 많은 순천만에서 더 높았다. 순천만은 보성만에 비해 새고막의 산란시기가 다소 빠른것으로 보이나 유생의 성장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각장에 대한 각고의 성장은 순천만 유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채묘기에 부착된 치패의 성장은 순천만에서 9 ~ 11월에는 더 빨랐다. 부착된 치패를 채묘장에서 치패털이 하여 살포한 새고막 치패의 성장률은 겨울철에 저수온의 영향으로 낮다가 수온이 올라가는 4월 이후에는 증가하였다. 5월에 치패털이한 개체를 수거하여 양성장에 살포한 새고막의 각장은 7월에 순천만에서 24.3 mm, 보성만에서는 21.0 mm로 순천만의 새고막 성장이 유의적으로 더 빨랐다(P<0.05). 한편 채묘 후 2년이 된 새고막의 평균 각장은 순천만 35.6 mm, 보성만 31.2 mm으로 순천만에서 유의적으로 더 빠른 성장 속도를 보였다(P<0.05). 또 순천만 새고막은 보성만에 비해 전중에 대한 육중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와 같이 순천만 새고막의 성장이 보성만에 비하여 빠른 이유는 순천만의 기초생산력(chlorophyll-a)이 더 높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한편 보성만 치패의 밀도가 순천만에 비해 더 급격히 감소하고 성장이 낮은 것으로 보아, 보성만의 양식시설은 순천만에 비해 과다한 것으로 판단되며 환경수용력에 맞게 감소할 필요가 있다.
- Author(s)
- 임종윤
- Issued Date
- 2010
- Awarded Date
- 2010.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Anadara subcrenata Growth Seed Collec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12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886
- Alternative Author(s)
- Lim,Jong Yu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수산생물학과
- Advisor
- 허성범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iii
Ⅰ. 서 론 1
Ⅱ. 재료 및 방법 4
1. 환경요인 조사 4
2. 유생 밀도 및 성장 조사 5
3. 채묘기 부착 치패의 밀도와 성장 조사 6
4. 살포한 치패의 밀도와 성장 조사 6
5. 성패 성장 조사 7
6. 통계처리 7
Ⅲ. 결 과 8
1. 환경요인 조사 8
1. 1 어장의 지리적 환경 특성 8
1. 2 수온, 염분 및 Chlorophyll-a 9
2. 유생 밀도 및 성장 조사 12
2. 1 유생 밀도 12
2. 2 유생 성장 14
3. 채묘기 부착 치패의 밀도 조사 20
3. 1 새고막 치패의 밀도 20
3. 2 종밋 치패의 밀도 22
4. 치패의 성장 조사 23
5. 2년산 성패의 성장 33
Ⅳ. 고 찰 34
Ⅴ. 요 약 38
Ⅵ. 감사의 글 39
Ⅶ. 참고문헌 4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수산생물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