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ㆍ청각 장애인의 방송 불만족의 원인 규명을 위한 탐색적 연구
- Alternative Title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auses of Broadcasting Dissatisfaction by the Hearing or Visual Disability
- Abstract
- 시·청각 장애인의 방송 불만의 원인 규명을 위한 탐색적 연구로서 그 의미가 큰 이번 연구는 두 집단 간의 방송 불만에 대한 문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볼 수 있었다. 시각 장애인의 경우 보편적 서비스로서 방송의 접근성에 대한 불만이 가장 높았으며, 청각 장애인의 경우 보편적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불만이 가장 컸다. 이는 두 집단 간의 수신 격차를 나타내는 단편적인 실 예로,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 구제법 제 21조(정보통신·의사소통에서의 정당한 편의제공의무)에 의거 보편적 서비스권을 보다 확대해주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2009년 8월 23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차별금지법 제 21조 3항에서 방송사업자 등은 장애인이 장애인이 아닌 사람과 동등하게 제작물 또는 서비스를 접근, 이용할 수 있도록 자막, 수화, 점자 및 점자 변환, 보청기기, 큰 문자, 화면읽기, 화면해설, 음성 서비스 등을 제공해야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는바 장애인들의 기본권을 충실히 보장해주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단순히 제도적으로 방송 접근권을 보장해주는데 급급해서는 안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확인해볼 수 있듯이 장애인 TV 수신 지원 방송의 기술 편의주의나 비용 최소화에 의해 공급자 위주로 제공된다면 또 다른 방송 불만을 야기시킬 뿐이다. 수신 지원 방송은 시청자의 이해를 전제로 개발 및 제공되어야 하며, 수신 지원 적용 프로그램의 선정에 당사자인 장애인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Author(s)
- 김수기
- Issued Date
- 2010
- Awarded Date
- 2010.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장애인의 방송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13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895
- Alternative Author(s)
- Kim, Suki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Advisor
- 김용호
- Table Of Contents
- 목 차
제 1장. 서론 1
제 1절. 연구의 필요성 1
제 2절. 연구 목적 3
제 2장. 이론적 배경 4
제 1절. 장애인 방송의 이념적 기초 4
1. 보편적 서비스를 실천하기 위한 방안으로서의 장애인 방송 4
1) 시·청각 장애인의 시청자 주권 6
2) 법적·제도적 근거 6
3) 장애인 방송의 법적 근거 8
2. 장애인 정보격차와 커뮤니케이션 소외 10
1) 정보격차 개념정의 10
2) 디지털 디바이드론 12
3) 장애인의 커뮤니케이션권과 커뮤니케이션 소외 15
(1) 장애인 커뮤니케이션권 15
(2) 장애인의 커뮤티케이션 소외 16
제 2절. 이용과 충족이론과 시청동기의 격차 18
1. 이용과 충족 이론 18
2. 시청동기 20
1) TV 시청동기에 관한 실증적 구분 20
2) TV 시청동기와 행태 23
3. 장애인 시청동기의 격차 26
제 3절. 장애인의 방송 접근 및 이용격차 28
1. 장애인 방송의 기술 특성 28
1) 자막 방송 28
2) 수화통역 방송 30
3) 화면해설 방송 31
2. 시청자 개념으로서의 시·청각 장애인 32
3. 장애인의 방송 접근과 이용격차 32
1) 동기격차 35
2) 수신격차 36
3) 미디어 능력격차 37
4) 이용격차 37
제 4절. 미디어 능력 차이에 따른 수용격차 39
1. 미디어 능력 39
1) 구조적, 기능적 이해: 미디어 지식 39
2) 비판적 성찰과 인식: 미디어 평가 40
3) 능동적 이용: 미디어 이용행위 41
4) 상호작용 및 구성/제작: 미디어 생산행위 42
2. 수용격차 44
제 5절. 장애인의 방송 불만 46
1. 수신 불만 46
2. 이용 불만 47
3. 편성 불만 48
4. 내용 불만 49
제 3장. 연구 문제 및 연구방법 51
제 1절. 연구문제 51
제 2절. 조사 대상 및 자료수집 52
1. 설문지 구성 52
제 3절. 측정도구 및 자료처리 53
1. 측정도구 53
1) 시청동기 53
2) 수신격차 54
3) 미디어 능력 55
4) 이용격차 57
5) 수용격차 57
6) 방송 불만 58
2. 자료처리 60
제 4장. 연구 결과 61
제 1절. 기초 통계분석 61
1. 표본의 특성 61
제 2절. 분석 결과 63
1. 매체 이용의 차이 63
1) TV 시청량 차이 63
2) 주시청 매체의 차이 63
3) 주시청 채널의 차이 64
4) 주시청 장르의 차이 65
2. 방송의 정보격차 66
1) 동기격차 66
(1) 시청동기에 대한 분석 66
(2) 신체적 특성별 시청동기의 차이 68
2) 수신격차 70
(1) 자막 및 DVS 화면해설 방송 수신 시청 가능 여부(기술적 수신) 70
① 수신 방법 70
② 구입 방법 71
③ 가격의 적정성 72
(2) 복지TV와 RTV(시민방송) 시청 가능 여부(채널 수신) 72
(3) 장애인 대상 프로그램(프로그램 수신) 73
3) 미디어 능력격차 75
(1) 미디어 능력에 대한 분석 75
(2) 신체적 특성별 미디어 능력의 차이 76
(3) 최종 학력별 미디어 능력의 차이 77
4) 이용격차 79
(1) 주로 이용하는 TV 수신 지원 방송 79
(2) 장애인의 TV 주시청 시간대 79
(3) 장애인 대상 프로그램의 적정 시간대 80
(4) 장애인 TV 수신 지원 방송의 우선 확대 희망 장르 81
(5) 자막 및 수화통역, 화면해설 방송의 이용격차 81
5) 수용격차 83
3. 방송 불만의 차이 85
1) 일반적 방송 불만의 유형에 대한 분석 85
(1) 신체적 특성별 방송 불만의 차이 86
(2) 기술적 수신격차에 따른 방송 불만의 차이 87
(3) 채널 수신격차에 따른 방송 불만의 차이 88
2) 장애인 TV 수신 지원 방송에 대한 불만 89
(1) 기술적 수신격차별 장애인 방송의 이용에 대한 불만 89
4. 방송 불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관계 분석 91
1) 방송 불만과 시청동기 간의 상관관계 91
2) 방송 불만과 미디어 능력 간의 상관관계 92
3) 선행 요인이 방송 불만에 미치는 영향 94
제 5장. 결론 96
제 1절. 연구 결과 요약 및 결론 96
1. 연구 결과 요약 96
2. 결론 100
제 2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01
참 고 문 헌 102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