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엔드밀 절삭력 및 공구마모형상 분석법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Analysis of End-milling Force and Tool Wear Geometry
Abstract
엔드밀 가공에서의 진동은 절삭공구와 공작물 사이의 주기적인 상대진동이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이 진동이 어느 정도 커지면 치수 정밀도가 저하하고 가공물의 표면이 악화될 뿐 아니라 공구의 마멸을 촉진하여 공구 수명이 감소되고, 공작기계 성능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미쳐서 생산성능의 저하와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된다. 본 논문은 채터 연구를 위하여 엔드밀 가공에 있어서 여러 절삭 조건에서 발생하는 채터 현상을 시계열 모델링 알고리즘 및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하여 채터를 분석하였다. 또한 프랙탈 해석을 엔드밀 가공 한 공작물에 적용하여 프랙탈 보간과 프랙탈 차원 해석을 통하여 다양한 형상의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세 가지 방법으로 엔드밀 절삭력을 분석하였다. 첫째로 시계열 모델링을 이용한 고유 모드 분석을 하였고 둘째로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하여 채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셋째로 엔드밀 가공시 샘플링 된 절삭력의 고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랙탈 보간을 하여 전체적인 절삭력을 생성해 내는 프랙탈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세 가지 방법들로 구성된 채터 검출 및 특성 분석 시스템 프로그램 개발로 현장의 사용자가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채터에 관한 사전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 할 수 있으며 이 예비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공 시에 일어날 수 있는 채터와 같은 이상 현상을 사전에 예측 확인하여 가공 조건을 변경하여 가공하면 채터 발생을 줄여 정밀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Author(s)
정진석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Keyword
CLSM(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rater wear CWT(continuous wavelet transform) End-milling Scaling factor Shifting factor Tool dynamometer Tool wear volume Tooth passing frequency Wavelet based filtering.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14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907
Alternative Author(s)
Jung, Jin Seok
Affiliation
재활공학연구소
Department
대학원 기계공학부기계설계학전공
Advisor
윤문철
Table Of Contents
목 차

List of Figures 3
List of Tables 6
Nomenclature 7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 배경 및 동향 1
1-2 연구 목적 9

제 2 장 웨이블렛 변환 및 필터링 13
2-1 웨이블렛 변환 16
2-2 필터뱅크 구성법 27
2-3 1차원 웨이블렛 변환 및 필터링 30
2-4 2차원 웨이블렛 변환 및 필터링 38

제 3 장 엔드밀 절삭력에의 적용 및 분석 40
3-1 1 차원 웨이블렛 필터링의 절삭력에 적용 40
3-2 이송 수직 방향 절삭력에 적용 45
3-3 이송 방향 절삭력에 적용 62
3-4 엔드밀 축 방향 절삭력에 적용 80

제 4 장 크레이터 마모형상에의 적용 및 분석 98
4-1 2차원 웨이블렛 필터링의 크레이터 마모형상에 적용 100
4-2 표면형상 데이터 및 마모체적 101
4-3 크레이터 마모형상 구현 및 분석법 104

제 5 장 결 론 117

참고문헌 119

Abstract 128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기계공학부-기계설계학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