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시모토 바나나 문학과
- Alternative Title
- よしもとばなな文學と
- Abstract
- 1.『哀しい豫感』
요시모토 바나나가 데뷔 후 처음으로 발표한 장편 소설로 1988년 작품 으로 흔히 출생의 비밀, 등장인물의 갈등요소로 사용하는 TV드라마와 같은극적인 스토리로 줄거리의 이해가 쉬울 수 있다.
어린 시절의 기억을 잃어버린 주인공은 지금의 가정에서 행복하게 생 활하고 있지만, 무언가 결여되어 있는 마음으로 살아가고 있다.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해 나가는 과정 중 알게 된 출생의 비밀과 친언니를 찾아 가는 곳에서의 아픔을 마주하고 상처를 치유해 가는 과정을 잔잔하게 그 리고 있는 내용으로 가족의 으로 인해 상실감을 안고 살아가고 있으며 그러한 에 대해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
1-1.부모의
어린 시절의 기억을 잃어버린 주인공 야요이는 행복한 가정 속에서도 항상‘중대한 무언가를 잊어버린’듯한 불안을 안고 있다. 겉으로 보기엔 행복하고, 아무런 문제도 없는 가정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私はずっとただ幸福な娘で、それなのにどうしてか時折、無性に思ったのだ。「私は子供時代の記憶というだけでなく、重大な何かを忘れてしまっているんだ。」(『哀しい豫感』,p.22)
나는 언제나 그저 행복한 딸로서, 그러면서도 때론 까닭 없이 불현듯 그런 생각이 떠오르는 것이다. ‘난 어린 시절의 기억뿐만이 아니라 중대한 무언가를 잊어버린 거야.’
고미영의 논문에 의하면 야요이가 불안정한 원인은 후루하시 노부요시의 의견과 마찬가지로 어린 시절 기억이 없는데서 기인한다. 이 작품 역시 주인공 야요이의 가족의 죽음에 관하여 내용 안에서 묘사되고 있는 것이トラウマ(Trauma)이다.야요이가‘남편이 도망가 버려서,약간머리가 이상해져 아기를죽이는’꿈을 꾸는 부분이 그것이라고 생각되는 데, 이런 이미지가 야요이의 의식 속에 등장한 것은,‘야요이 안에 가족의 에 대한 트라우마 기억이 잠재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작품의 중간 부분부터 나오는 야요이의 실제 가족의 에 의 해 잃어버린 가족에 대한 복선으로써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어린 시절의 기억이 없고 무언가를 잃어버린 듯 살아가고 있다는 것은 어떤 충격으로 인한 상처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이 나타나고 있다.
- Author(s)
- 이진이
- Issued Date
- 2010
- Awarded Date
- 2010.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요시모토 바나나 요시모토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15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917
- Alternative Author(s)
- Lee, Jin I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일어교육전공
- Advisor
- 윤일
- Table Of Contents
- 목 차
* Abstract
Ⅰ. 서론1
1. 연구목적1
2. 선행연구5
3. 연구방향9
Ⅱ.본론10
1.『哀しい豫感』10
1-1. 부모의 죽음10
1-2. 존재의 불확실성12
1-3. 이모집의 공간을 통한 치유15
2.『アムリタ』21
2-1. 여동생의 죽음21
2-2. 부재에 대한 두려움23
2-3. 가족과의 관계를 통한 치유26
3.『ハネムーン』33
3-1. 할아버지의 죽음33
3-2. 존재의 상실감35
3-3. 우정의 가족으로의 치유37
4.『ハードボイルド/ハードラック』46
4-1. 언니의 죽음46
4-2. 극한 상황의 고통48
4-3. 현실의 인식과 시간으로의 치유50
5.『アルゼンチンババア』56
5-1. 엄마의 죽음57
5-2. 부재로 인한 허무함59
5-3. 삶의 일부로서의 인식을 통한 치유61
Ⅲ.결론68
참고문헌72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일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