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우리나라 함평만 해역의 새우조망어업의 부수어획물 분석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2003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함평만의 동.북측 함평군 관할 해역에 대하여 어장환경조사, 어획시험조사, 주요종의 자원생물학적 특성조사, 어획실태조사 등을 통하여 어획물 종 조성, 어획량 변동, 현존자원량 및 적정어획량 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함평만의 어장 환경 특성을 보면, 조사기간 동안 수온은 23.5 - 25.58℃, 염분은 27.032-31.782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용존산소는 수질기준 II등급인 5 mg/L 이상의 양호한 환경을 보였다. 조사기간 동안 어획 시험조사에서 총 출현종수는 123종, 137,079개체, 668,452.1 g 채집되었다. 출현종수는 어류가 66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새우류 22종, 게류 16종, 패류 14종 및 두족류 5종의 순으로 나타났다. 어획 개체수는 새우류가 8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생체량에 있어서는 어류와 새우류가 31%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어획개체수는 6월에 가장 많았으며, 2월에 가장 적었다. 생체량은 6, 7월에 가장 많았고, 2월에 가장 적었다. 새우류의 출현 개체수와 생체량은 꽃새우가 가장 많았다. 어류의 출현 개체수는 쉬쉬망둑이 가장 많이 어획되었고, 생체량은 풀망둑이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면 함평만 새우조망의 어획으로 인한 상업성 유유어종의 어획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수어획물에 대한 관리를 위해서는 보다 많은 관심이 필요하며, 적정어획강도를 결정함에 있어서 자원보호 측면에서 보다 신중하게 검토되어져야 할 것이다.
Author(s)
신지영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15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921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Advisor
오철웅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