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기관의 평면유형 및 면적구성에 관한 연구
- Abstract
- 우리나라는 1970년대부터의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교통시설의 발전과 도시 집중화로 인해 산업재해, 중독사고, 범죄사고, 자살, 서구식 식생활로 인해 응급의료환자가 증가추세에 있다. 그리고 의학과 의료기기발전으로 평균수명이 증가되고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들의 응급의료 수요가 증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의료전달체계는 1991년 응급의료체계법이 제정된 이후 1995년부터 응급의료전문의 등과 응급의료환경 제반이 개선이 되었다. 최근에는 응급의료체계법 시행이 되었다.
최근 5년간 발간된 ‘응급의료통계연보’에 의하면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는 내원환자 80%내외가 비응급환자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응급환자들은 20%비율로 나타났으며, 비응급환자들 때문에 중증응급환자들은 응급치료에 피해를 보고 있으며 비응급환자로 인해 응급의료기관의 본질적인 응급의료가 아닌 외래진료로서의 기능으로 전락하고 있으며 시설, 장비, 인력의 부족 등으로 효율적인 운영이 어렵다.
부산지역의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소와 지역응급의료센터 5개소의 평면유형요소와 면적구성 분석으로 공간의 특성을 파악하고 응급의료기관 확충 시 환자분류체계와 환자동선을 고려한 건축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대상으로 권역응급의료센터와 지역응급의료센터의 평면유형요소와 면적구성을 분석으로 공간의 특성을 파악하고 건축계획적인 요구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권역응급의료센터와 지역별 응급의료센터의 문헌조사, 도면조사 및 통계조사, 인터넷조사를 통해 지역응급의료센터의 병원별 전체공간구성요소와 부분별 공간구성을 파악한 후 각실(부분별)면적을 분석을 통해 요소들을 특성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지역응급의료기관의 공간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역응급의료기관의 병원별 응급의료센터의 전체공간요소와 부분별 공간구성을 파악한 후 각실(부분별)면적을 분석을 통해 요소들을 특성 파악하고 효율적인 공간 활용과 응급의료시설의 운영을 위한 건축계획에 대한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권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기관에 대한 본 연구에 대상 중 PKNU병원은 면적과 구성에 대한 법규지침서 충족하고 있으며 이를 제외한 타병원의 부분실은 기준에 못 미치고 있다.
지역응급의료기관의 법규지침서는 활용 가능한 세부지침서의 필요성이 느껴진다.
둘째 PKNU병원은 진료공간에서 부분별 어린이병상, 소생실1,2, 소수술실, 격리실1,2,를 세부적으로 잘 분류가 때문에 환자의 동선과 진료시간 단축이 특징이다.
셋째 PAIK병원은 별도로 예진실의 설치로 인하여 비응급환자의 대기시간과 진료시간 단축이 이루지고 있다. 이는 환자의 분류와 응급환자의 프라이버시와 진료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간호스테이션(N.S)공간의 2군데로 구획으로 분류가 잘되어 있어 환자의 관찰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산지역의 응급의료기관은 DOA(도착전 사망환자)는 별도의 진입공간과 동선이 구획을 하지 않았으며 별도의 동선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공간구성에 특성 중에 먼저 방사형의 단점은 증축이 어렵고 시각․청각적 프라이버시가 보장이 안 되고 있다. 동선은 대체로 짧으며 간단명료하게 계획이 되어 있으며, 환자의 이동시 휠체어 이동을 하므로 의료진과 환자동성이 겹치므로 혼란이 예상된다.
따라서 응급의료기관의 공간구성과 부분별 공간구성을 통한 면적구성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응급의료기관의 공간구성요소와 면적구성에 관한 의료현실에 맞추어 공간의 필요한 부분을 각 병원별로 분석한 결과 지침서, 환자의 분류, 예진실, 간호스테이션(N.S), 환자이송동선을 고려하는 건축계획이 시도가 되어야 할 것이다.
- Author(s)
- 권용택
- Issued Date
- 2010
- Awarded Date
- 2010.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지역응급의료센터 면적구성 평면유형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16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936
- Alternative Author(s)
- Kwon,Yong Taek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Department
- 대학원 건축공학과
- Advisor
- 김기환
- Table Of Contents
- 목 차
Ⅰ.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Ⅱ. 지역응급의료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응급의료조직체계 4
2-1. 우리나라 응급의료의 발전과정 4
2-2. 응급의료의 특징 및 응급의료체계의 현황 5
2-3. 지역응급기관의 중증도 분류 및 지역응급환자발생과 이용에 관한 통계현황 8
2-3-1.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방법 8
2-3-2. 인구 백만명당 응급의료기관 수 10
2-3-3. 인구 천명당 응급환자 발생현황 11
2-3-4. 지역응급의료기관의 기관등급별 내원환자 비율 12
2-4. 지역응급의료시설의 종류 및 설치기준 13
2-4-1. 권역응급의료센터 14
2-4-2. 전문응급의료센터 16
2-4-3. 지역응급의료센터 18
2-4-4. 지역응급의료기관 20
2-5. 응급의료시설의 운영방식 및 공간구성요소 22
2-5-1. 응급의료시설 운영방식 22
2-5-2. 응급의료시설 공간구성요소 23
2-6. 응급의료시설의 평면유형 및 용도별 특징 24
2-6-1. 평면유형 24
2-6-2. 용도별 특징 27
Ⅲ. 조사대상병원 응급의료기관의 평면유형에 관한 분석 30
3-1. PKNU 평면유형에 관한 분석 31
3-2. DAMC 평면유형에 관한 분석 35
3-3. KUGH 평면유형에 관한 분석 39
3-4. PAIK 평면유형에 관한 분석 43
3-5. WMBH 평면유형에 관한 분석 47
3-6. BHS 평면유형에 관한 분석 51
3-7. 소결 55
Ⅳ. 조사대상병원 응급의료기관의 면적구성에 관한 분석 56
4-1. 조사대상병원 응급의료기관의 용도별 면적구성 56
4-1-1. PKNU 응급의료기관의 용도별 면적구성 56
4-1-2. DAMC 응급의료기관의 용도별 면적구성 58
4-1-3. KUGH 응급의료기관의 용도별 면적구성 60
4-1-4. PAIK 응급의료기관의 용도별 면적구성 62
4-1-5. WMBH 응급의료기관의 용도별 면적구성 64
4-1-6. BHS 응급의료기관의 용도별 면적구성 66
4-2. 조사대상병원 응급의료기관의 부분별 면적구성 66
4-2-1. 조사대상병원 응급의료기관의 진료구역 면적구성 66
4-2-2. 조사대상병원 응급의료기관의 응급환자구역 및 소생환자 면적구성 69
4-2-3. 조사대상병원 응급의료기관의 진료지원공간 면적구성 71
4-2-4. 조사대상병원 응급의료기관의 직원공간 면적구성 72
4-2-5. 조사대상병원 응급의료기관의 대기/통로공간 면적구성 73
4-2-6. 조사대상병원 응급의료기관의 부분별 면적 및 구성비율 74
4-3. 소결 76
Ⅵ. 결론 77
참고문헌 79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건축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