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쇼핑몰의 소비자 구매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 Abstract
- 최근에는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에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구매만족, 재 구매의향 등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는 소비자 구매의사결정모형의 5단계인 욕구인지, 정보탐색, 대안평가 구매결정, 구매 후 평가를 부분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결과들 간에 불일치한 경우가 많고, 관련한 이론이나 체계적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보탐색의 외적·내적정보탐색과 대안평가, 구매의도, 구매만족 의사결정 전 변수의 흐름에 대한 관여도 차이를 통하여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구매의사결정 5단계의 단계별 변수를 제안하고, 소비자 행동론 관점에서 소비자는 제품의 사용에 의한 혜택을 극대화하고 위험을 최소화할 의도를 고관여와 저관여 제품별 차이와 함께 실용적 제품과 감각적 제품 연구로 확장하였다. 결과적으로 관여도 수준 및 유형의 접근 방식은 소비자 만족을 개념화 하는데 있어 중요한 과정임이 확인된다. 또한 의사결정과정의 이론하의 정보탐색과 대안평가가 구매의도 및 만족에 미치는 변수 간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소비자 구매의사결정과정에 있어 부분적 변수를 이용한 연구들과 다른 결과로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정보의 영향력과 함께 소비자가 지각하는 위험과 서비스품질에 대한 구매의도, 그리고 의사결정과정의 내적·외적탐색요인과 대안의 평가 요인이 의사결정에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 Author(s)
- 송동효
- Issued Date
- 2010
- Awarded Date
- 2010.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구매의사결정 관여도 인터넷 쇼핑몰 정보탐색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17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939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전자상거래협동과정
- Advisor
- 김하균
-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가. 연구 배경 1
나. 연구 목적 3
2. 연구방법 및 구성 5
가. 연구의 방법 5
나. 연구의 구성 6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9
1. 소비자구매의사결정에 대한 이론적 연구 9
가. 소비자 구매의사결정과정의 개념 9
나. 인터넷 소비자 구매의사결정과정 11
2. 소비자구매의사결정 정보탐색과정 17
가. 외부적 정보탐색 17
나. 내부적 정보탐색 29
3. 소비자구매의사결정 대안평가 과정 43
가. 대안평가 과정 43
나. 인터넷 쇼핑몰의 서비스 품질 45
다. 인터넷 쇼핑몰의 지각된 위험 53
4. 구매의도 65
가.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의 구매의도 65
나.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의 구매의도의 선행연구 65
5. 구매만족 67
가. 인터넷 쇼핑몰 고객만족 67
나. 인터넷 쇼핑몰 고객만족 선행연구 69
6. 제품 관여도 71
가. 관여의 개념 71
나. 제품 관여의 유형 71
다. 제품 관여의 선행연구 73
Ⅲ.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77
1. 연구 모형의 설계 77
2. 연구 가설의 설정 78
가. 인터넷 쇼핑몰 특성과 플로우 경험에 관한 가설 79
나. 인터넷쇼핑몰 특성과 쇼핑가치에 관한 가설 79
다. 인터넷쇼핑몰 특성과 서비스품질에 관한 가설 81
라. 인터넷쇼핑몰 특성과 지각된 위험에 관한 가설 82
마. 인터넷쇼핑몰에서 플로우 경험 및 지각된 가치, 서비스품질, 지각된 위험과 구매의도에 관한 가설 83
바. 인터넷쇼핑몰에서 구매의도와 만족에 관한 가설 86
사. 인터넷쇼핑몰 관여수준에 관한 가설 87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88
가.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 88
나. 인터넷 쇼핑몰 제품특성 90
다. 인터넷 쇼핑몰 사용자 특성 91
라. 플로우 경험 92
마. 쇼핑 가치 95
바. 서비스 품질 96
사. 지각된 위험 97
아. 구매의도 99
자. 구매만족 100
차. 관여도 100
4. 자료수집 및 분석 101
가. 예비조사 102
나. 본 조사 102
다. 분석 방법 103
5. 실중분석 104
가. 표본의 특성 104
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106
다. 확인적 요인분석 114
라. 구성개념들 간의 타당도 검정 127
Ⅳ. 연구 결과 131
1. 모형의 적합도 검증 132
2. 가설 검증 133
가. 인터넷 쇼핑몰의 특성과 플로우 경험의 관계 135
나. 인터넷 쇼핑몰 특성과 쇼핑가치의 관계 135
다. 인터넷 쇼핑몰 특성과 서비스품질의 관계 136
라. 인터넷 쇼핑몰 특성과 지각된 위험의 관계 137
마. 인터넷 쇼핑몰의 플로우 경험 및 쇼핑가치, 서비스품질, 지각된 위험과 구매의도와의 관계 138
바. 인터넷 쇼핑몰의 구매의도와 만족의 관계 139
사. 인터넷 쇼핑몰의 관여유형 및 수준에 관계 140
Ⅴ. 결론 159
1. 요약 및 결론 159
2. 연구의 시사점 162
가. 이론적 시사점 162
나. 실무적 시사점 163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164
< 참고문헌 > 167
< 부 록 > 설문지 185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전자상거래협동과정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