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적인 자재사용이 아파트 소규모 인테리어공사의 원가에 미치는 영향
- Abstract
- 본 연구는 부산에 있는 아파트 소규모 인테리어공사 6가지 평형의 실적자료 200개를 대상으로 하여 건축공사와 소규모 인테리어공사의 분류체계를 비교하고, 일반적인 소규모 인테리어공사의 공종별 공사비를 분석하여 평형에 친환경재료의 적용이 공사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 아파트 소규모 인테리어공사비는 1000~1500만원 범위인 79.2M2(24PY)과 105.6M2(32PY)에 대해서 주로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2가지 평형에 대한 자재비, 노무비에 대한 심층적인 원가분석이 필요하다.
2. 아파트의 소규모 인테리어공사는 일반적인 건축공사의 분류체계 다르게 마감공사가 주로 진행되므로 건축공사표준시방서의 22개의 대분류on)와는 다른 9개의 분류체계(수장공사, 목공사, 타일공사, 도장공사, 금속공사, 화장실공사, 싱크․가구공사, 설비공사, 기타공사)로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3. 소규모 인테리어공사의 각각의 평형별 평균공사금액과 공종보할을 검토한 결과, 24평형(24PY, Pyeong)의 평균공사금액은 약 1,050만원이고 공종별(work type) 보할(rate)은 금속공사 12.8%, 수장공사 17.8%, 화장실공사 19.7%로 분석되었으며, 싱크․가구공사가 22.1%로 가장 높은 보할을 나타내었다. 또한, 32평형의 평균공사금액은 약 1,250만원이며, 공종별 공사보할은 목공사가 7.4%, 싱크․가구공사 20.0%, 화장실공사 23.4%로 분석되었으며, 수장공사가 28.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8평형이상에서는 수장공사의 공종보할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4. 실적자료(historical date)에 대한 공종별 분석을 통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친환경자재를 시공할 수 있는 대상 공종은 수장공사(벽지, 바닥마감재)와 도장공사(내부페인트)이며, 24평형과 32평형에 있어서 친환경자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24평형에서는 수장공사의 보할(rate)이 17.83%에서 21.23%, 도장공사의 보할이 7.70%에서 7.67%로 높아지고, 32평형에서는 수장공사의 보할이 28.65%에서 31.73%, 도장공사의 보할이 6.31%에서 6.80%로 높아지므로 친환경자재를 시공할 경우에는 증가되는 보할에 대한 공사비를 보정해야 한다.
5. 친환경자재를 사용할 경우에 공종별 보할은 타일공사 5.56%, 금속공사 6.26%, 목공사 6.70%, 도장공사 8.75%, 화장실공사 18.28%, 싱크․가구공사 20.86%이고 수장공사의 보할이 28.52%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각 평형별 공종보할은 아파트 인테리어공사의 견적과 공사비 산출의 기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Author(s)
- 김채용
- Issued Date
- 2010
- Awarded Date
- 2010.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22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5993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