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속에 나타난 현대건축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 실태조사
- Alternative Title
- Universal design evaluation appearedon korea films of modern architecture : include a sensitivity
- Abstract
- 20세기의 디자인은 획일적 디자인으로서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했던 디자인이다.
그러나 21세기는 편의 증진에 따른 생활의 여유가 생기고 이에 대한 기준이 높아짐에 따라 보편적 디자인 요소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소수가 아닌 다수를 위한 디자인 개념인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심을 가지는 추세가 되었다.건축물과 영화의 수용적 공통점으로써 사용과 지각, 촉각과 시각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며, 영화의 장르별 속성과 건축의 상관관계를 봄으로써 유니버설디자인의 무한한 요소를 규명하여 현대건축에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의 정도를 봄으로써 건축물의 개선책과 앞으로의 현대건축의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책을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건축과 한국영화와의 상관관계를 봄으로써 현대건축의 유니버설디자인적인 새로운 설계동기를 제공하기 위한 토대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Author(s)
- 이근원
- Issued Date
- 2010
- Awarded Date
- 2010.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한국영화 현대건축 감성디자인 유니버설 디자인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25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6026
- Alternative Author(s)
- lee kun wo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 Department
- 산업대학원 건축학과
- Advisor
- 조영행
- Table Of Contents
- 목 차
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제2장 이론고찰 2
2-1. 유니버설디자인의 특성 2
2-1-1. 유니버설디자인의 기본배경 2
2-1-2. 건축, 영화, 유니버설디자인의 수용적 특성 6
2-1-3. 유니버설디자인의 시대 흐름에 따른 만족도 변화 7
2-2. 한국영화의 장르별 감성특성 10
2-2-1. 한국영화의 기본배경 10
2-2-2. 한국영화의 장르별 감성특성. 14
2-3. 영화와 건축 15
2-3-1. 현대건축의 기본배경 15
2-3-2. 영화와 건축 19
제3장 평가 도구의 개발 23
3-1. 기존평가도구의 분석 23
3-1-1. 영화, 건축, 유니버설디자인의 공통점 분석 24
3-2. 유니버설디자인 평가도구 개발 25
제4장. 결과 및 분석 36
4-1. 작품 분석 36
4-2. 분석 종합 37
4-2-1. 드라마 작품 분석 38
4-2-2. SF 작품 분석 53
4-2-3. 스릴러 작품 분석 67
4-2-4. 액션 작품 분석 81
4-2-5 종합 분석 94
제5장. 결 론 96
참고문헌 99
Abstract 100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건축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