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한류(韓流)문화가 제품이미지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구매태도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effects on Corporate Image, Product Image and Purchase Attitude of Korean Wave
Abstract
1990년 중반부터 한국의 대중문화가 중국, 일본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되는 ‘한류’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한류’현상과 더불어 한국의 국가, 기업, 제품의 이미지가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제품이미지에 있어 기존에 연구된 자동차, 반도체등의 공산품 위주의 연구보다는 한국의 식품을 위주로 하여 한류문화와 제품이미지, 이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태도에 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째, 한류문화의 특성과 개념을 이해하고 기업이미지, 제품이미지와의 유의관계를 확인하고, 한류문화를 이용한 기업이미지, 제품이미지의 향상방안과 지속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둘째, 제품이미지, 기업이미지와 소비자들의 구매태도와의 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제품이미지와 기업이미지가 가지는 특성을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선호도, 구매의도 등의 구매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내용과 더불어 이후 소비자들의 구매태도 중 집중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구매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증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SPSS 12.0 과 AMOS 7.0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한류문화를 접해본 유학생들이 한국의 문화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한류문화가 제품이미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효과는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제품이미지의 김치, 신라면 모두 맛이 좋다 평가를 받고 있으며 좋은 재료를 상용한다는 평가를 토대로 지속적인 품질의 개선과 함께 건강에 좋은 이미지를 부각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한국의 기업이미지는 기술이 뛰어나고 합리적 경영과 함께 소비자 중심의 기업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획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 재료와 건강한 이미지의 제품과 함께 기업 역시 건전하고 건강한 이미지를 부각시킴으로써 한국의 기업에서 생산되는 제품에 대해 소비자들이 신뢰를 가지고 선택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제품이미지와 기업이미지가 소비자들의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한국의 식품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고 타국의 식품보다 더 선호하며, 특히 중국인들의 마케팅 특성상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구전효과(Word of Mouth)를 통해 타인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를 전달하겠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리고 다른 나라의 식품보다 한국의 식품을 더 선호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기존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제품들의 다양화를 모색하여 다양한 제품들의 중국진출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기업이미지는 제품의 품질이 우수하고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가 적시적으로 이루어져야만 고객의 만족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기업에 대해 고객이 만족할 대 재구매가 이루어짐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들은 기업이미지를 어떻게 잘 관리하고 발전시키느냐가 고객들의 신뢰 여부의 핵심요인임을 인식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기업이미지가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업은 생산된 제품의 품질향상, 이익창출과 더불어 현지 재투자, 현지화된 마케팅 전략과 고객만족을 위한 시장조사 및 철저한 A/S등의 활동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Hanliu(Korean Wave)
phenomenon, a kind of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 in china around A. D. 1990 in the view of the culture-diffusion theory, and analyze its effect to the Product Image, Corporate Image of korea and the Purchase Attitude.
In this thesis, Hanliu(Korean Wave) phenomenon means the enthusiasm
of Asian people for Korean mass cultures such as korean TV dra mas, pop songs, fashions, cinemas, games, advertisements from late 1990`s This research adopts two kinds of methods for analyz ing Hanliu phenomenon: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a quan titative one.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e analyzed Hanliu phenomenon
with several sources of documentaries and audio-visual materials on it: articles from newspapers and magazines, special TV programs and documentary movie files from Internet. As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e conducted a survey of a random sample of 250 Pu-kyong national University Chinese Student for how they feel of Korean wave, the Product Image(Kimchi, Sin-noddle), Corporate Image and how these factors influences Purchase Attitud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statistics software SPSS 12.0 and AMOS 7.0. the two factors of Korean wave one factor of
corporation image, one factor of product image, one factor of purchase attitude were extracted through the reliability, valid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Then Korea wave`s factors influence on corporate image of Korea, Korea product image, the customer`s purchase attitude was
analyzed through AMOS 7.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Korean wave affects the Corporate Image and Product Image
customer`s purchase attitude. directly, and also affects the customer`s purchase attitude.
Indirectly through corporation image, product image at the same.
The results of this study levels that Korean wave is popular in Chi
nese, in the corporation image, product image, chinese are largely
affected by more factor.
Therefore we suggest that Korea corporations more invest and
develop to Marketing Skills.

Key Words : Korean Wave, Product Image, Corporate Image, Purchase Attitude
Author(s)
배정민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Keyword
한류문화 제품이미지 기업이미지 구매태도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26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6029
Alternative Author(s)
Bae, Jeong Mi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경영대학원
Department
경영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국제통상전공
Advisor
이춘수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경영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국제통상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