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한일 착용동사의 의미대조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착용동사의 의미 양상을 일본어 착용동사와 대조하여 한․일 착용동사 간에 나타나는 의미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있다. 나아가 인지의미론적 관점에서 착용동사의 원형적 의미와 그 확장의미까지 살펴 언어에 담긴 한국인과 일본인의 피복류에 대한 인지적 사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함께 밝히고자 하는 데 초점을 둔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착용동사 중에서 ‘입다, 쓰다, 신다’의 3개와 이에 대응하는 일본어 ‘きる(입다), かぶる(쓰다), はく(신다)’를 논의 대상으로 하였다. 착용동사의 경우 착용대상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점에 주목하여, 착용동사가 취하는 대상을 중심으로 원형의미와 확장의미의 대응관계를 확인하였다. 나아가 각 동사가 원형의미에서 확장의미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양상으로 의미가 확장되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어 ‘입다’와 일본어 ‘きる’는 그 착용대상에서 [상의], [상하복]이라는 의미자질을 공유하는 반면 차이점으로는 한국어 ‘입다’가 [하의]를 가지고 일본어 ‘きる’는 [하의]를 가지지 않는 대조를 보였다. 착용부위도 ‘입다’는 [상반신], [하반신], [전체]인 반면에 ‘きる’는 [상반신], [전체]이다. 확장의미에서 ‘입다’와 ‘きる’는 ‘받음’의 의미를 공통으로 가지나 ‘입다’는 [±구체적], [±긍정적], ‘きる’는 [-구체적], [±긍정적]인 의미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입다’에 대응하는 일본어는 ‘きる, 負う, 受ける, 服す’ 등이고, ‘きる’에 대응하는 한국어는 ‘입다, 쓰다’ 등이다. ‘입다’와 ‘きる’는 {옷을 몸에 꿰거나 두르다}는 원형의미에서 ‘추상적인 대상을 받음’의 의미로 확장되는 점은 공통적이나 ‘입다’는 ‘몸에 구체적인 상처가 생김’에서 ‘마음에 추상적인 상처가 생김’으로 한 단계 더 확장되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국어 ‘쓰다’와 일본어 ‘かぶる’가 공통으로 선택할 수 있는 착용대상은 [모자]와 [탈]이고 한국어 ‘쓰다’는 개별적으로 [안경]을 선택할 수 있다. 착용부위는 [머리]와 [얼굴]로 동일하다. 확장의미로 넘어가 [먼지], [가루]와 [불명예]등이 공통 논항이다. 그러나 ‘쓰다’는 개별적으로 [우산] 등을 선택하여 ‘かぶる’보다 더 많은 착용대상과 호응을 이룬다. ‘쓰다’와 ‘かぶる’의 가장 큰 차이는 서술의 주체가 ‘쓰다’는 ‘사람’만이 올 수 있고 ‘かぶる’는 ‘사람’외에도 다른 대상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かぶる’는 구체적인 서술 주체인 ‘의류, 사진’과 추상적인 주체 ‘색, 소리, 언어, 성질’ 등과 호응하여 ‘덮음’에서 ‘겹침, 중복’의 의미로까지 확장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일본어 ‘かぶる’에 대응하는 한국어는 ‘쓰다, 겹치다, 흐려지다’를 제시할 수 있고, 한국어 ‘쓰다’에 대응하는 일본어는 ‘かぶる, かける. さす, 受ける’ 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인지적 의미 확장에서 ‘쓰다’와 ‘かぶる’는 ‘덮음’의 의미는 공통적으로 가진다. 그러나 ‘쓰다’는 ‘가림’에서 ‘차단’으로, 나아가 ‘보유’의 의미로 의미 확장을 보이고 ‘かぶる’는 ‘덮음’에서 ‘겹침’으로 의미 확장을 보인다.
‘신다’와 ‘はく’의 공통 착용대상은 [신발], [양말]이다. 그러나 ‘はく’는 한국어에서는 ‘입다’의 의미자질인 [하의]를 착용의 대상으로 삼는다. 단, 착용부위는 [발]과 [하반신]으로 동일하다. ‘신다’는 ‘はく’와 대응하고 ‘はく’는 ‘신다, 입다’와 대응한다. 그러므로 ‘はく’는 ‘신다’의 의미영역을 모두 포함하고, 그 의미영역 이상이라고 할 수 있다. ‘신다’와 ‘はく’는 원형의미에서 착용부위와 착용대상의 차이를 보이지만 모두 의미 확장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국인과 일본인의 인지적 사고가 같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Author(s)
김수민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26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6031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김희섭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