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Reading Strategies in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 Alternative Title
- 중학교 영어교과서의 읽기 전략 분석:7차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bstract
- 본 논문은 7차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2학년 영어교과서가 학습자의 읽기 전략을 신장시키는데 도움이 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즉,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읽기의 성취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효과적인 읽기 전략이 요구 되는데, 이를 교과서 읽기 학습에서 적절히 제시하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 사용의 분포 측면에서, 영어교과서가 학생들의 읽기 전략사용을 적절히 유도하고 있는가? 둘째, 교과서 간에 제시된 읽기 전략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셋째, 읽기 활동의 단계별(읽기 전, 중, 후 활동)로 적절한 전략이 제시되고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해 현행 중학교 2학교 영어 교과서 중 4권을 무작위로 추출하였으며, 7차 개정 교육과정의 읽기 성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13가지 읽기 전략들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읽기의 성취기준의 달성을 위해 요구되는 학습자의 읽기 전략은 텍스트에서 특정 정보를 찾아내는 능력뿐만 아니라, 텍스트의 주제를 파악하고, 작가의 의도를 알아내고, 또한 주어진 텍스트 이후의 이야기까지도 유추해 내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읽기 성취목표 달성을 위한 13가지 읽기 전략들이 균형 있게 제시되어져야 한다. 하지만, 각 교과서에 사용된 읽기 전략의 분표는 특정 전략에 치우쳐 있었다. 교과서 읽기 부분의 활동과 질문들은 특정 정보를 찾아내는 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다른 전략들은 적절히 제시되지 못하고 있었다. 다채로운 주제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태의 텍스트가 제시되고 있었지만, 읽기 전략의 측면에서는, 텍스트의 종류나 주제에 관계없이 특정 정보를 찾아내는 활동에 편중되어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13가지 전략들이 교과서 내에서 적절히 제시되지 못하였음을 발견하였다. 가장 빈번하게 제시된 전략은 특정 정보를 찾아내는 스캐닝 전략이었다. 반면, 글의 목적 파악하거나 사건의 전후를 유추하는 등의 전략은 거의 제시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7차 개정 교육과정의 읽기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글의 종류에 맞는 적절한 전략들이 균형 있게 제시되어져야 할 것이다. 효과적인 읽기 전략의 중요성을 감안한다면, 교과서를 포함한 읽기 학습 자료들은 그 목적에 맞게 구성되고 제작되어져야 할 것이다.
- Author(s)
- 성창환
- Issued Date
- 2010
- Awarded Date
- 2010.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Reading Strategies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28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6058
- Alternative Author(s)
- Chang Hwan Sung
- Affiliation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 Advisor
- 박매란
- Table Of Contents
- CHAPTER 1. Introduction
1.1 Purpose of the Study 1
1.2 Research Questions 3
1.3 Organization of the Study 4
CHAPTER 2. Theoretical Background
2.1 Definition of Reading 5
2.2 Reading Processes 6
2.3 Reading Stages 8
2.4 Learning Strategies 11
2.4.1 Definition of learning strategies
2.4.2 Classification of learning strategies
2.5 Reading Strategies 17
2.6 The Reading Goals of the Newly Revised 7th
National English Curriculum 21
CHAPTER 3. Method
3.1 Subjects of Analysis 23
3.2 Development of Analysis Criteria 25
3.3 Data Analysis 34
3.4 Limitations 34
CHAPTER 4. Results and Discussion
4.1 Analysis of Reading Strategy Use in Each Textbook 35
4.1.1. Textbook A
4.1.2. Textbook B
4.1.3. Textbook C
4.1.4. Textbook D
4.2 Comparative Analysis of Strategy Use among
Textbooks 58
4.3 Analysis of Strategy Use in Reading Stages 61
CHAPTER 5. Conclusion 73
References 77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