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 Alternative Title
- 유아영어교육의 현황:부산의 유치원들을 중심으로
- Abstract
- 본 연구는 부산의 유아영어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유아영어교육’, 또는 ‘유치원 영어교육’은 비록 공식적인 교육으로 인정받지는 못하나 대중적으로는 이미 받아들여져 있다. 본 연구는 이에 초점을 맞추어 부산에서의 유아영어교육 현황을 알아보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와 그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한다. 연구 질문은 (1) 부산에서 유치원의 유아영어교육 참여도는 어느 정도이며 어떻게 영어수업이 진행되고 있는가?, (2) 부산의 3개의 다른 타입 유치원에서 2년 이상을 다닌 어린이들의 인지능력, 사회성, 한국어능력, 그리고 영어능력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제3타입의 유치원 어린이들의 영어 유창성은 원어민 어린이들의 유창성과 비교해 어느 정도인가? (3) 부산의 유치원 영어교사들은 유아영어교육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1) 부산시내 121개의 사립유치원들을 교수언어와 주당 수업일 수에 따라 3개의 타입(제1타입, 제2타입, 그리고 제3타입)으로 분류하고, (2) 각각의 유치원타입에 속하는 3개의 유치원과 각 유치원의 6세반에서 4명씩 선발된 12명의 어린이들(모두 각자의 유치원에서 적어도 2년 이상을 다닌 어린이들 중에서), 그리고 제3타입의 유치원에서 2년 이상을 다니고 있는 14명의 어린이들, 그리고 (3) 부산의 사립유치원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선출된 116명의 유치원 영어교사들이다. 연구도구로는 유치원 설문지, 교실 관찰지, 유치원 영어교사 설문지, 한국 유아발달 검사지(K-DIP), 이중언어 능력 검사지(BVAT), 언어측정 검사지(LAS) 등이 사용되었고, 자료 분석은 SPSS(Version 12.0)를 사용한 빈도분석과 백분율,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1) 97.5%의 유치원들이 영어수업 참여도를 보였고 교수언어와 주당 수업일 수에 따라 3개의 타입(제1타입, 제2타입, 그리고 제3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었으며, (2) 어린이들의 인지능력과 사회성 그리고 한국어능력은 모두 정상의 범위 내에서 별 차이가 없었으나, 영어능력에 있어서는 제1타입, 제2타입 유치원들과 제3타입 유치원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제3타입의 유치원 어린이들의 영어 유창성은 또래 원어민 어린이들의 유창성에 매우 근접함을 보였으며, (3) 부산의 유치원 영어교사들은 유아영어교육 시행에 대해 대부분 매우 긍정적인 견해를 가졌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유치원 교육 및 유치원 영어교육이 초등교육에 연계되어 일관성 있는 교육이 되어져야함과, 유치원 영어교사 자격 인증제도, 그리고 유치원 영어교육의 이중언어교육 도입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유아영어교육과 관련된 여러 분야에서 학자들의 보다 많은 관심과 연구 참여가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정부차원에서 유치원 영어교육을 인정하고 지지해 줄 것을 제시하고 있다.
- Author(s)
- 차경화
- Issued Date
- 2010
- Awarded Date
- 2010. 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kindergarten English education BVAT LAS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340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6111
- Alternative Author(s)
- Cha, Kyung Hwa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Advisor
- 박매란
- Table Of Contents
- I. INTRODUCTION 1
1.1 The Need for the Study 1
1.2 The Purpose and Scope of the Study 3
1.3 Research Questions 4
1.4 Definitions of the Key Terms 4
1.4.1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4
1.4.2 Student age 5
1.4.3 Different types of kindergartens 5
1.5 Limitations of the Study 5
II. THEORETICAL BACKGROUND 7
2.1 Child Development 7
2.1.1 Biological development 8
2.1.2 Cognitive development 8
2.1.2.1 Piagetian cognitive development 9
2.1.2.2 Language development 10
2.1.3 Socioemotional development 12
2.1.4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13
2.2 Child Second/Foreign Language Acquisition 15
2.2.1 The Critical Period Hypothesis 17
2.2.2 L2 influence on L1 20
2.2.3 Bilingual/Immersion education for children 21
2.2.4 Assessing children’s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27
2.3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in Korea 28
2.3.1 Policy for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28
2.3.2 Institutes and implemented programs 32
2.3.2.1 Institutes for English education 33
2.3.2.2 Implemented programs for English education 34
2.3.3 Studies i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36
III. RESEARCH METHOD 41
3.1 Participants 41
3.1.1 Kindergarten directors 41
3.1.2 Kindergarten English classes 42
3.1.3 Children at kindergartens 42
3.1.4 Kindergarten English teachers 44
3.2 Instruments 45
3.2.1 Director survey questions 45
3.2.2 Classroom observation protocol 46
3.2.3 Korean-Developmental Inventory for Preschooler 47
3.2.4 English proficiency assessments 48
3.2.4.1 Bilingual Verbal Ability Tests 48
3.2.4.2 Language Assessment System 51
3.2.5 Questionnaire for teachers 53
3.3 Data Collection Procedures 54
3.3.1 Director survey 54
3.3.2 Classroom observations 54
3.3.3 Korean-Developmental Inventory for Preschooler 55
3.3.4 English proficiency assessments 55
3.3.4.1 Bilingual Verbal Ability Tests 55
3.3.4.2 Language Assessment System 56
3.3.5 Teacher survey 57
3.4 Data Analysis 57
IV. RESULTS AND DISCUSSION 63
4.1 Kindergarten English Programs in Busan 63
4.1.1 Director survey 63
4.1.2 Classroom observations 66
4.2 Children at Kindergartens in Busan 70
4.2.1 Development levels and English ability of children at three
different types of kindergartens 70
4.2.1.1 Children at Type-I kindergarten 72
4.2.1.2 Children at Type-II kindergarten 74
4.2.1.3 Children at Type-III kindergarten 75
4.2.2 English ability of children at Type-III kindergarten 78
4.2.2.1 Bilingual Verbal Ability Tests results 78
4.2.2.2 Language Assessment System results 81
4.3 Kindergarten English Teachers in Busan 85
4.3.1 Current states of kindergarten English education 85
4.3.1.1 Classroom 86
4.3.1.2 Teaching method 91
4.3.1.3 Reasons for early English study 101
4.3.2 Opinions on kindergarten English education 103
4.3.2.1 Effects of kindergarten English education 103
4.3.2.2 Ideal teacher 109
4.3.2.3 Ideal classroom 118
V. CONCLUSION 126
5.1 Summary 126
5.2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133
REFERENCES 136
APPENDICES 157
- Degree
- Docto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