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수준 유치원평가의 내용적합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 Alternative Title
- An Analysis of Content Adequacy of Kindergarten Evaluation according to Kindergarten Ownership and Scale
- Abstract
- 본 연구는 국가수준 유치원평가의 내용 적절성, 즉 평가의 영역과 항목, 지표의 적합성에 대하여 소속기관의 특성(설립주체, 규모)에 따라 유치원 교사의 인식이 어떠한지 분석해 봄으로써 유치원 평가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립 및 사립유치원 소속 218명 교사의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및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유치원평가에서 유치원의 설립주체나 규모에 상관없이 평가내용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에 대해 부적절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더 많았으며, 개선방안으로는 공통적으로 적용할 것과 소속기관의 특성에 따라 별도로 추가하여 적용할 평가지표 및 기준을 구분하여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하였다. 둘째, 평가영역과 항목, 평가지표에 대해 전반적으로는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일부 평가지표는 유치원의 설립주체나 규모에 적합하도록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치원 평가의 정착을 위해 유치원의 설립주체나 규모가 고려된 평가내용 개발의 후속 연구와 함께 유치원평가 내용에 대한 교사교육, 평가준비과정에서 소요되는 재정적 지원, 평가전반에 걸친 조력체제 형성과 같은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content adequacy for nationwide evaluation of kindergarten (i.e., evaluation area, sub-area, and criteria) according to their works (kindergarten ownership and scale), and to mak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kindergarten evaluation system. 218 teachers from 86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were selected for data collection.
The research findings and sugg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the teachers perceived the equal application of kindergarten evaluation contents regardless of kindergarten ownership or scales inadequate and suggested combined application of separate criteria considering kindergartens' ownership or scales with common criteria. Second, teachers' perceptions of contents of evaluation were found to be generally adequate. However, some criteria were needed to be revised considering kindergarten ownership and scales. Finally, further studies revising evaluation contents and administrative authorities' supports are required for kindergarten evaluation system to be adequately functioning. Training for teachers about kindergarten evaluation content system, manpower- and financial-support for evaluation, and consultant support for evaluation should be urged.
- Author(s)
- 심은주
- Issued Date
- 2010
- Awarded Date
- 2010.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36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6136
- Alternative Author(s)
- An Analysis of Content Adequacy of Kindergarten Evaluation according to Kindergarten Ownership and Scale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Advisor
- 이경화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7
3.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8
1.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의 개요 8
2.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의 내용체계 12
3. 영유아교육기관 평가관련 국내외 동향 20
4.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관련 선행연구 분석 37
Ⅲ. 연구방법 42
1. 연구대상 42
2. 연구도구 45
3. 자료분석 46
Ⅳ. 연구결과 47
1. 국가수준 유치원평가의 내용 적용방식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47
2. 소속기관 설립주체에 따른 국가수준 유치원평가의 내용적합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55
3. 소속기관 규모에 따른 국가수준 유치원평가의 내용적합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66
Ⅵ. 논의 및 결론 81
1. 요약 및 논의 81
2. 결론 및 제언 91
참고문헌 94
부 록 99
1.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의 내용적합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설문지 99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