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複合動詞「Vつく」「Vつける」の意味用法について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복합동사 「Vつく」 「Vつける」의 의미용법에 대하여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 동사 「つく」「つける」를 후항요소로 취하는 복합동사 「Vつく」「Vつける」의 의미용법을 고찰하였다. 의미용법 고찰에 앞서 본 복합동사를 影山(1993)의 통어분류기준에 따라 어휘적복합동사와 통어적복합동사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Vつく」는 어휘적복합동사로 판단되지만, 「Vつける」는 「-ている」의 형식이 되면, 어휘적복합동사로 해석되는 경우와 통어적복합동사로 해석되는 경우가 나타난다. 특히 「Vつけている」가 통어적복합동사로 해석되는 경우에는 「Vつけている」의 습관용법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복합동사 「Vつく」「Vつける」의 의미용법에 대한 연구는 姫野(1999)가 대표적인데, 본 연구에서 복합동사「Vつく」「Vつける」가 「ニ격」을 취할 경우와 취하지 않는 경우로 분류한 점은 姫野(1999)의 의견과 일치한다. 하지만, 복합동사가 「ニ격」을 취하는 경우에는 전적으로 후항동사「つく」「つける」의 영향을 받아 복합동사 전체의 의미에 [접착]의 늬앙스가 나타난다는 姫野(1999)의 의견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어휘적복합동사로 판단되어지는 「Vつく」「Vつける」는 그 전항동사의 성질과 복합동사전체의 격(格)지배 관계에 따라 두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특히, 복합동사가 「ニ격」을 취할 경우, 그 「ニ격」이 전항동사의 영향을 받은 것인지, 후항동사의 영향을 받은 것인지에 따라, 복합동사전체의 의미를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전자의 경우, 복합동사 전체의 의미는 전항동사의 의미를[강조]하는 형태로, 후자의 경우에는 복합동사 전항동사의 양상을 띠면서 [접착]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류기준에 따라 「Vつく」의 의미용법은 [物理的接着/接着指向/接着強化/対象指向/到着/定着/完全化着想], 「Vつける」의 의미용법은 [物理的接着/接着指向/対人行為接触/設置・装着/接触強化/到達/抽象的接着/行為強化/加害強化/認知的発見]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통어적복합동사로 해석되는 습관용법의 「Vつけている」와 함께 습관을 나타내는 「V慣れる」를 비교・대조하였다. 그 결과, 「Vつけている」의 의미용법은 아스팩트(aspect)형식인 「-ている」가 나타내는 사태의 「반복용법」에 근거한 것인데 반해서, 「V慣れる」는 「慣れる」라고 하는 후항동사의 의미에 근거한 것으로 확인되어졌고, 이 두 형식의 상이점은 기본적으로 이러한 구조 또는 의미상의 차이에 근거한 것임이 확인되었다. 즉, 「Vつけている」의 의미용법의 可否는 전항동사가 나타내는 사태가 일반적 상식에 비춰보았을 때, 「습관」으로 확인되는지 아닌지에 의존하지만, 「V慣れる」의 可否는 「慣れる」라는 동사가 가지는 본래적 의미와의 整合性에 의한 것이다. 예를들어 「太郎は次郎を怒鳴りつけている」가 가능한 이유는 「怒鳴る」라는 것이 어떤 주체에 있어서 습관적으로 행해지는 행위라고 일반적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太郎は次郎を怒鳴り慣れている」가 부자연스러운 이유는 「怒鳴る」가 통상 주체(=主語)의 의도와는 다르게 자발적으로 生起하는 감정적 행위를 나타내는 동사라서 「慣れる」가 요구하는 「경험・체험」등에 의해서 漸次的으로 획득되는 행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Author(s)
채선영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8
Type
Dissertation
Keyword
복합동사 「つく」 「つける」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39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6163
Alternative Author(s)
蔡善榮
Affiliation
부경대학교 일어교육전공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일어교육전공
Advisor
최건식
Table Of Contents
1.はじめに 1
1.1.研究目的 2
1.2.研究方法 3
2.先行研究概観 4
2.1.複合動詞と格関係に関する先行研究 5
2.2.複合動詞「Vつく」「Vつける」の先行研究 9
2.3.先行研究の問題点 11
3.本動詞としての「つく」「つける」 13
3.1.本動詞「つく」の意味用法 14
3.2.本動詞「つける」の意味用法 16
3.3.本動詞「つく」「つける」の意味対応 19
4.複合動詞としての「Vつく」「Vつける」 22
4.1.語彙的複合動詞と統語的複合動詞 23
4.2.「Vつく」「Vつける」の語彙的複合動詞と統語的複合動詞との区分 27
4.2.1.「そうする」による置換の可否 28
4.2.1.1.事例観察:「Vつく」「Vつける」 29
4.2.1.2.まとめ 36
4.2.2.「受身」の可否 38
4.2.2.1.事例観察:「Vつく」の受身化 39
4.2.2.2.事例観察:「Vつける」の受身化 40
4.2.3.「そうする」による置換テストおよび「受身」の可否によるテストのまとめ 42
4.3.語彙的複合動詞「Vつく」「Vつける」 44
4.3.1.語彙的複合動詞「Vつく」の意味用法 45
4.3.1.1.物理的接着:[モノ]が[モノ]に「Vつく」 46
4.3.1.2.接着指向:[有生]が[モノ]に「Vつく」 47
4.3.1.3.接着強化:[モノ]が[モノ]に「Vつく」 49
4.3.1.4.対象指向:[人・生き物・モノ]が[人・モノ]に「Vつく」 50
4.3.1.5.到着:[人]が[トコロ]に「Vつく」 53
4.3.1.6.定着:[人]が[トコロ]に「Vつく」 56
4.3.1.7.完全化:[人・モノ]が「Vつく」 58
4.3.1.8.着想:[人]が[コト]を「Vつく」 60
4.3.1.9.まとめ 60
4.3.2.語彙的複合動詞「Vつける」の意味用法 62
4.3.2.1.物理的接着:[モノ]を[モノ]に「Vつける」 62
4.3.2.2.接着指向:[モノ]を[モノ]に「Vつける」 64
4.3.2.3.対人行為接触:[モノ]を[人]に「Vつける」 65
4.3.2.4.装着:[モノ]を[モノ]に「Vつける」 66
4.3.2.5.接触強化:[モノ]を[モノ]に「Vつける」 67
4.3.2.6.到達:[トコロ]に「Vつける」 68
4.3.2.7.抽象的接着:[トコロ]に「Vつける」 70
4.3.2.8.行為強化:[モノ]を「Vつける」 71
4.3.2.9.加害強化:[人]を「Vつける」 72
4.3.2.10.認知的発見:[モノ・コト]を「Vつける」 73
4.3.2.11.まとめ 73
4.3.3.語彙的複合動詞「Vつく」「Vつける」のまとめ 75
4.4.語彙的複合動詞「Vつく」「Vつける」の対応 76
4.5.統語的複合動詞「Vつけている」 80
4.5.1.統語的複合動詞としての「V慣れる」 80
4.5.2.統語的複合動詞「Vつけている」と「V慣れる」の先行研究 81
4.5.3.「Vつけている」と「V慣れる」の類似点と相違点 83
4.5.3.1.「そうする」への置換の可能性から見た「Vつけている」と「V慣れる」 84
4.5.3.2.「受身」への置換の可能性から見た「Vつけている」と「V慣れる」 87
4.5.3.3.「Vつけている」と「V慣れる」の置換の可能性:まとめ 89
4.5.3.4.語形成から見た習慣用法の「Vつけている」と「V慣れる」 92
5.おわりに 93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