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에머지 개념을 이용한 정수처리시스템의 생태·경제성 평가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cological-economics evaluation of water treatment systems
Abstract
The Nakdong River being used as drinking water sources for Pusan metropolitan city has the vulnerability of water management due to the fact that industrial areas are located in the upper Nakdong River. Based on BOD the water quality of the Nakdong River was only level Ⅳ, which can only be used for agricultural usage, or industrial usage after meticulous filtration, precipitation and sterilization.
Alternatives for Busan's water source have been studied for long time but its qualitative solution led to conflict between each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used emergy analysis method to evaluate ecological-economics of each alternatives quantitatively to help making reasonable decision. The emergy methodology is a system evaluation tool that uses energy as the common currency to compare different resources on a common basis.
Emergy transformity of Namgang Dam's raw water is higher than emergy transformity of Nakdong River's raw water due to its high water quality.
High emergy transformity means high emergy input. seawater desalination system shows 7.9 times lager emergy input then Nakdong River water treatment system.
Most citizens of Busan boil the tap water or use the home filter. The additional cost of boiling the tap water or using the home filter is 8,314 or 104,300 emwon/㎥. To change the weak water source and situations we need to diversify water intake.
Author(s)
정화숙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8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43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6205
Department
대학원 생태공학과
Advisor
이석모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II. 연구 배경 3
1. 수자원의 가치 3
가. 수자원이 가지는 가치의 종류 3
나. 수자원의 가치추정방법 5
2. 부산광역시 상수도 공급 현황 6
가. 상수도의 분류 6
나. 상수도의 공급체계 7
다. 부산광역시 수돗물 수질 현황 10
3. 부산광역시 취수원 다변화 계획 11
가. 부산광역시 수돗물 음용 현황 11
나. 상수원 관리의 취약성 12
다. 취수원 다변화 계획 14
4. 선행 연구 사례 15
가. 먹는물 관련 수자원의 가치추정 15
나. 취수원 다변화 계획 관련 연구 19
III. 연구방법 20
1. 연구범위 20
2. 에머지평가법 21
가. Emergy 22
나. Transformity 22
다. EmWon 24
라. 에너지 시스템 다이어그램 작성 25
마. 에머지 분석표 작성 27
바. 에머지 지표 산정 28
IV. 연구 결과 31
1. 낙동강 원수 정수처리시스템의 에머지 분석 31
가. 낙동강 원수의 에너지 변환도 31
나. 낙동강 원수 정수처리시스템의 에너지 시스템 다이어그램 32
다. 낙동강 원수 정수처리시스템의 에머지 평가표 34
라. 낙동강 원수 정수처리시스템의 에머지 지표 36
2. 남강댐 원수 정수처리시스템의 에머지 분석 37
가. 남강댐 원수의 에너지변환도 37
나. 남강댐 원수 정수처리시스템의 에너지 시스템 다이어그램 37
다. 남강댐 원수 정수처리시스템의 에머지평가표 39
라. 남강댐 원수 정수처리시스템의 에머지 지표 41
3. 해수담수화시스템의 에머지 분석 42
가. 해수담수화 시스템의 에너지 시스템 다이어그램 42
나. 해수담수화시스템의 에머지 평가표 44
다. 해수담수화시스템의 에머지 지표 46
V. 고 찰 47
1. 원수의 생태ㆍ경제적 가치 47
2. 정수처리시스템별 생태ㆍ경제적 비용 분석 48
3. 수돗물 음용형태별 생태ㆍ경제적 비용/편익 분석 50
가. 수돗물을 바로 마시는 경우 50
나. 수돗물을 끓여서 먹을 경우 51
다. 수돗물을 정수기로 걸러서 먹을 경우 52
라. 부산시민의 수돗물 음용형태의 고비용성 53
VI. 결론 5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생태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