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를 바탕으로 한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 공공시설물 디자인방안 평가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Evaluation Model of Public Facilities Design Scheme in Historical and Cultural Protection Area of Urban Center Based on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bstract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은 도시에서 그 역사적 문화맥락을 가장 잘 전달하는 공공공간으로써 도시의 역사와 문화적 자취를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의 시대적 기질과 심미적 품격을 표현해주고 있다. 또한 도시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차별화 된 도시 이미지를 구축하는 등 여러 면에서 결정적인 작용을 발휘하고 있다. 유명한 건축가 미스 반 데어 로에(Mies van der Rohe)는 "도시의 숨결은 세부적인 부분에서 느낄 수 있다"고 하였다.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을 개조하고 갱신하는데 있어 전체적인 거시적 측면에 대해 고려하는 것 외에도 구역공간을 구성하는 시설요소의 미시적 연구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공공시설물은 도시 경관을 구성하고 기능을 표현하는 중요한 부분으로써 도시의 세부적인 구성요소이다. 도시환경 전체에서 공공시설물은 기본적인 사용기능 외 사람들의 심미적 및 정신적 표상이기도 하다.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 공공시설물의 설치와 발전은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의 인문학적인 예술품격 제고, 도시 특색 구축, 도시 지명도 제고, 시민들의 정신문화 품질 최적화, 사회의 전체적인 심미 이념 확정, 대중의 사회적 의식 증강, 사회복지사업 강화 등 여러 면에서 대체할 수 없는 현실적 의의와 사회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 공공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은 점차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이 완전성, 기능성, 합리성 및 인성화 특징 여부를 가늠하는 중요한 표현이 되었으며 현대 도시문명수준 및 도시 이미지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되었다. 현재 역사문화 보호구역의 공공시설물 디자인 이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디자인 평가 면의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때문에 생활 속에서 공공시설물 설치에 대한 피드백이 부족하며 더욱이 설치 후 어떻게 개선, 유지 및 갱신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러한 배경 아래 본 논문에서는 선행된 평가방법을 인용하여 미학, 사회경제, 생태문화 등 각도에서 미학, 디자인학, 심리학, 생태학, 사회학, 건축학, 조경학, 인간공학 등 학과의 관련 이론을 활용한다. 이후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의 공공시설물 디자인방안 평가모형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 공공시설물 설치의 순조로운 발전, 종합적인 이용, 합리적인 평가 등의 면에서 과학적인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아래 6개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서론 부분에서는 연구배경 및 목적, 연구범위 및 방법, 연구시스템에 대해 소개하였다. 그리고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차별성과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제2장은 이론에 대한 고찰로써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 공공시설물, 디자인 평가 및 AHP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정의하였으며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과 공공시설물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문헌연구 및 현장조사 방식을 통해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의 공공시설물에 대해 분류하였고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 공공시설물의 기능구성, 공공시설물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단계 및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 공공시설물의 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소개하였다.
제3장에서는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 공공시설물 디자인방안의 평가지표체계를 구축하였다. 선행연구 내용에 대한 정리를 통해 9개 측면에서 평가지표 그룹을 구축하였고 초보적으로 48개 지표를 선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퍼지 델파이법(Fuzzy Delphi Method)을 활용하여 평가지표를 추출하고 최종적으로 제2수준에서 8개 지표, 제3수준에서 26개 지표를 얻어 평가지표체계를 구축하였다.
제4장에서는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 공공시설물의 디자인방안 평가 모형을 구축하였다. AHP와 델파이법을 활용하여 평가기준과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그 중요도에 대해 우선순위를 배열하였다. 그리고 정규화 처리를 통해 최종적으로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 공공시설물 디자인방안 평가모형을 얻었다.
제5장에서는 사례에 대한 연구를 통해 평가 모형의 실행가능성을 검증하였다. 평가 모형을 활용하여 현장조사를 통해 중국 소주(蘇州)시 평강로, 가흥(嘉興)시 월하거리, 영파(寧波)시 남당거리의 공공시설물 디자인방안에 대해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설문조사에 의한 평점 및 가중치 산정을 통해 위 3곳의 우선순위를 배열하였고 이로부터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대응하는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제안하였다.
결론부분에서는 우선 본 논문의 연구성과에 대해 종합하는 동시에 연구의 제한성과 향후의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도시 기능과 환경의 끊임없는 변화, 과학기술의 발전 및 그 활용수단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실제적인 체험효과와 만족도에 대해 지속적인 조사 및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평가 모형을 끊임없이 조정하고 최적화하여 본 논문의 시대성과 전연성을 보장하여 향후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연구에 지시적 작용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uthor(s)
YANG ZIQI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Keyword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 공공시설물 디자인방안 평가모형 AHP 델페이법,소주(蘇州) 평강로 가흥(嘉興) 월하거리 영파(寧波) 남당거리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46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200000504323
Alternative Author(s)
YANG ZIQI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Advisor
조정형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12
가. 연구 범위 12
나. 연구 방법 14
3. 연구 흐름도 16
4. 선행연구 고찰 17
가.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과 관련된 선행연구 17
나. 공공시설물 디자인과 관련된 선행연구 19
다. 디자인방안 평가모형과 관련된 선행연구 25
5. 연구의 차별성 27
6. 소결 27
II. 이론적 배경 29
1. 관련개념의 확정 29
가.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 29
나. 공공시설물 34
다. 디자인 평가 35
(1) 평가방법의 추출 38
(2) AHP 41
2.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과 공공시설물의 관계 42
3.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 공공시설물에 대한 분류 46
4. 도심 역사문화 보호구역 공공시설물의 기능 구성 53
가. 사용 기능 53
나. 심미적 기능 54
다. 문화적 기능 54
라. 대중의식에 대한 인도적 기능 55
마. 공간구분 기능 56
5.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요소 57
6. 소결 58
Ⅲ. 평가지표체계 구축 60
1. 평가지표 추출 원칙 60
가. 과학적 원칙 60
나. 체계적 원칙 60
다. 목적성 원칙 61
라. 실용성 원칙 61
2. 평가지표그룹 구축 61
가. 선행연구의 평가지표 추출 61
나. 예비추출 방법 67
다. 평가지표의 예비추출 67
라. 소결 86
3. 평가지표 선정 90
가. 선정방법 90
(1) 설문지 통계분석 91
(2) 두개의 삼각 퍼지수(Triangular Fuzzy Number) 건립 91
(3) 전문가 의견 수렴성 검증 91
(4) 평가지표를 선정하는 기준값 산출 92
나. 제1차 설문조사 및 처리 93
다. 제2차 설문조사 및 처리 99
라. 제3차 설문조사 및 처리 101
4. 소결 102
가. 최종 평가지표 102
나. 평가지표 선별 결과 분석 102
IV. 평가모형 구축 105
1. 평가 목표 105
가. 디자인방안 합리성 판단 105
나. 사용자 만족도에 대한 분석 106
다. 디자인방안에 대한 피드백(Feedback) 체제 보완 106
2. 평가모형의 구축 원리 및 절차 106
가. AHP의 원리 106
나. AHP의 절차 107
(1) 계층적 구조모형 구축 107
(2) 판단 행렬 구성 110
(3) 계층적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배열 및 일관성 검증 111
(4) 계층적 지표의 종합적인 중요도 배열 및 일관성 검증 114
3. 평가지표의 가중치 확정 116
가. 설문조사의 기본적 분석 116
나. 설문조사의 처리 방법 118
다. 평가지표의 가중치 확정 119
라. 지표 가중치의 결과 분석 124
4. 평가모형 확정 125
5. 소결 126
V. 사례 연구 127
1. 사례 현황 127
가. 사례1——소주(蘇州)시 평강로 127
나. 사례2——가흥(嘉興)시 월하거리 136
다. 사례3——영파(寧波)시 남당거리 145
2. 조사연구방법 157
가. 조사 과정 157
나. 설문지 배부 158
(1) 내용 및 시간 확정 158
(2) 조사대상 확정 159
다. 설문지 정리 159
3. 평가결과 및 분석 160
가. 설문조사의 기본적인 분석 160
나. 평가결과 162
(1) 지표의 평균치 및 표준편차 162
(2) 지표 가중치 산정 및 결과 분석 163
4. 평가결과의 문제점 171
5. 공공시설물 디자인 질량을 제고하기 위한 제안 175
6. 소결 178
VI. 결론 180
1. 연구결과 요약 180
2. 연구의 한계 184
참고문헌 186
Abstract 199
부록 1 203
부록 2 207
부록 3 211
부록 4 221
감사의 글 226
Degree
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