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층 건축공사 시공계획 수립 방안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Planing for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 project
- Abstract
- Abstract
최근의 초고층건축 트렌드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기능을 갖추면서도 도시경관과 어우러져 지역의 상징물로서 그 위치를 확고히 하고자 점점 더 대형화, 고층화 되어 가는 양상을 띠고 있다. 이런 초고층 건축물들은 건축공학분야의 발전으로 이전보다 훨씬 복잡한 형태의 구조와 설계의 실현이 가능하게 되었고, 더불어 시공기술의 발달과 고강도재료의 등장으로 보다 손쉽게 실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현재, 국내 각지에서 100층이 넘는 대규모의 초고층건축계획이 추진되고 있어 일반인들도 초고층건축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사회적으로 공론화되어 뜨거운 논쟁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초고층 건축에 대한 사회일각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인 초고층화 추세는 향후에도 계속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초고층 건축물은 당대의 첨단 건설기술이 총체적으로 집약된 결정체일 뿐만 아니라, 한 국가의 상징물 또는 경제성장의 척도로 인식되어지기 때문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70~80층이 넘는 초고층 주거용 건축물들이 속속 공사가 진행되면서 도시의 스카이라인을 변모시켜 나가고 있다. 지금의 추세로 몇 년 후에는 100층이 넘는 건축물에 실제 거주하게 될 것이고, 이는 곧 새로운 주거환경과 생활양식의 태동을 의미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초고층건축물의 건설은 많은 자본과 인력, 기술력을 요하는 것으로 이전의 건축방식으로는 시공이 난해하고,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초고층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초기계획단계부터 적극적으로 설계 및 구조검토가 이루어져야하고, 세부공사계획이 포괄적으로 수립되어져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 초고층건축기술은 이미 두바이, 동남아 등지에서 성공적 수행으로 세계적인 수준으로 인정받는데 반해, 국내 초고층분야의 전반적인 건설관리수준은 아직까지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건축공사의 특성을 파악하고, 시공단계에서 검토되어야 할 사항들과, 중점관리요소들을 도출하고, 체계적인 공사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사례중심으로 전개하고, 추후 건설관리자가 초고층건축공사에 참여하였을 때 활용이 가능하도록 체계적인 공사계획 수립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Author(s)
- 김문수
- Issued Date
- 2010
- Awarded Date
- 2010. 8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48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6254
- Department
- 대학원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 Advisor
- 김수용
- Table Of Contents
- 목 차
표 목차 ⅲ
그림 목차 ⅴ
Abstract ⅵ
제1장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제2장 예비적 고찰
2.1 초고층 건축공사 4
2.2 초고층 건축공사의 특성 8
제3장 초고층 시공계획 체계적 수립방안
3.1 초고층 시공계획 수립방향 13
3.2 양중장비계획 수립 20
3.3 토공사 및 기초공사계획 수립 27
3.4 골조공사계획 수립 31
3.5 커튼월공사계획 수립 38
3.6 마감공사계획 수립 40
제4장 초고층 건축공사 시공계획 사례비교
4.1 시공계획 사례조사 46
4.2 양중장비계획 비교분석 48
4.3 토공 및 기초공사계획 비교분석 54
4.4 지상층 골조공사계획 비교분석 58
4.5 커튼월공사계획 비교분석 64
제5장 결 론
참고문헌 69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