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해상유출유 중 황화합물의 GC-FPD 검출패턴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GC-FPD peak pattern of sulfur compounds in spill oil
Abstract
본 연구는 신속한 해상오염사고 오염원 확인을 위한 감식, 분석방법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로서, GC-FID와 GC-MS를 사용한 포화탄화수소와 바이오마커, PAHs 패턴 비교로 해양오염원을 확인하던 유지문법을 보강한 GC-FPD를 사용한 황화합물의 검출패턴 비교를 추가하였다.
주요내용으로는 1) 국내 정유사에서 생산되는 제품유 중 해상유통 유종을 GC-FID 포화탄화수소 검출패턴과 GC-FPD 황화합물 검출패턴을 비교하였고, 2) 국내 선박과 외국적 선박에서 사용하는 동일한 유종을 GC-FID 포화탄화수소 검출패턴과 GC-FPD 황화합물 검출패턴을 비교, 3) 2009년도 해상오염사고 선박에서 유출된 해상유출유와 오염원에서 채취한 시료를 GC-FID 포화탄화수소 검출패턴과 GC-FPD 황화합물 검출패턴을 비교하여 실제 해양오염사고 시료에서 검증하여 보았다. 해상유출유 및 오염원의 이동성으로 인하여 신속한 분석결과가 요구되는 해양오염사고에서 분석 시간 단축은 행위자 검거에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다. 신속하고 신뢰도 높은 혐의대상 축소를 위하여 GC-FID로 대상을 축소 선별후 GC-FPD 검출패턴을 추가하여 선별하면 수많은 혐의 대상을 효과적으로 축소하므로서 전체 분석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해상유출유에 함유되어 있는 황화합물의 안정성은 해상유출유 감식에 효과적이나 일부 저비점에서 경시변화의 과정은 포화탄화수소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앞으로 해상유출유의 GC-FPD 검출피크에 대한 황화합물 확인 및 유종별 황화합물의 경시변화과정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Author(s)
황선주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8
Type
Dissertation
Keyword
해상유출유
Publisher
부경대학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50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6274
Alternative Author(s)
Hwang Sun Ju
Affiliation
해양경찰청 남해지방해양경찰청
Department
산업대학원 환경공학과
Advisor
강임석
Table Of Contents
목 차

제 1 장 서 론
1.1 연구배경
1.2 연구목적 및 범위
제 2 장 문헌연구
2.1 원유의 특성
2.2 원유의 종류와 규격
2.3 해상 연료유의 종류와 제품규격
2.4 해양에서 기름의 변화 특성
2.4.1 확산 (Spreading)
2.4.2 증발 (Evaporation)
2.4.3 분산 (Dispersion)
2.4.4 해상유출유의 유화작용 (Emulsion)
2.4.5 용해 (Dissolution)
2.4.6 산화 (Oxidation)
2.4.7 생물분해 (Bioremediation)
2.5 해상유출유에 포함된 탄화수소의 특징 및 변화
2.5.1 해상유출유에 포함된 탄화수소의 특징
2.5.2 포화탄화수소의 경시변화에 대한 안정성
2.6 해상유출유에 함유된 황화합물의 특징
2.6.1 원유와 석유제품에 함유된 황화합물의 특징
2.6.2 GC에 검출되는 황화합물의 종류
2.7 각국의 해상유출유 분석방법
2.8 한국의 해상유출유 감식·분석방법
2.8.1 감식․분석시스템
2.8.2 해상유출유의 포화탄화수소류 분석방법
2.8.3 해상유출유의 황화합물 분석방법
2.8.4 GC-MS를 이용한 해상유출유의 패턴비교
제 3 장 재료 및 방법
3.1 연구목적
3.2 실험재료 및 방법
3.2.1 대상시료 선정
3.2.2 분석방법
3.3 전처리 방법
3.3.1 유출유의 포화탄화수소류 식별을 위한 전처리
3.3.2 유출유의 황화합물 식별을 위한 전처리
3.4 확인 물질별 측정장비 및 조건
3.4.1 유출유 중 포화탄화수소류 식별을 위한 측정 장비 및 조건
3.4.2 유출유 중 황화합물 식별을 위한 측정 장비 및 조건

제 4 장 결과 및 고찰
4.1 정유사별 유종 비교 분석 결과
4.1.1 정유사별 유종 비교 대상
4.1.2 국내 정유사 제품유의 검출기별 그래프 비교
4.1.2.1 해상 저유황경유(MGO)
4.1.2.2 해상 고유황경유(MDO)
4.1.2.3 벙커 A (Bunker-A)
4.1.2.4 MF-30
4.1.2.5 MF-180
4.1.2.6 MF-380
4.1.3 정유사별 제품유의 유종별 비교 결과
4.1.4 제품유 출하시 황화합물의 농도 관측
4.2 내․외국적별 유종비교
4.2.1 내․외국적 선박연료유 비교
4.2.2 내․외국적 선박연료유의 유종별 GC-FID 그래프 비교
4.2.3 내․외국적 선박연료유의 유종별 GC-FPD 그래프 비교
4.2.4 비교결과
4.3 해양오염사고 사례별 비교
4.3.1 해양오염사고 사례별 GC-FID 그래프 비교
4.3.2 해양오염사고 사례별 GC-FPD 그래프 비교
4.3.3 비교결과
4.4 제품유의 황화합물 경시변화
4.4.1 경시변화 방법
4.4.2 경시변화 측정결과

제 5 장 결 론

참 고 문 헌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환경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