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 기반 지하공간 안전설비 및 대피정보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 Alternative Title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Safety Facility and Evacuation Information System in the Underground Space based on GIS
- Abstract
-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공되고 있던 지하공간 정보 시스템이 지하공간 내부 구조와 위치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GIS와 연계하여 지하공간 안전설비 및 대피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고, 경성대·부경대 역을 대상으로 한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여 보았다.
제안한 지하공간 정보시스템은 지하공간 주변의 지리정보와 지하공간의 출입구, 복도, 에스컬레이터, 개찰구 등의 구조 및 공간정보, 안전설비의 위치 및 속성정보, 재난상황에서의 우회 대피경로 정보를 제공한다. 대피경로 탐색을 위해서 기존의 Dijkstra 알고리즘에 재난영역과 방화문, 방화셔터에 대한 인자를 추가하여 실제 재난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안전설비의 위치정보와 설치일, 유효기한, 수량, 용량 등의 속성정보를 제공해주어 이를 바탕으로 지하공간 이용자가 유사 시 안전설비를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시스템을 통해 2차원적인 형태의 지하공간 구조를 표시해주고 그 위에서 다양한 공간 및 속성정보를 서비스하고 있으나, 앞으로는 3차원 형태로 지하공간 구조를 제공해주어 보다 알기 쉽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간행동심리를 고려한 대피경로 탐색 알고리즘의 개선이 필요하며, 재난상황에서 사람들의 대피경로를 분산시켜 보다 효율적인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The accidents in underground spaces occurs the big disaster like fire, breakdown and explosion because of its spatial attributes. The disaster like the accidents of fire in the subway station, Dae-gu, is recorded the big man-made disaster and related to careless of the management. Wariness about the disaster management is increasing and progressing the standards of safety management, research in the process of correspondence. It is important that user must know the information of its spatial space for decreasing the damage in the underground space and are able to correspond the following the accidents.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at the information of the disaster management. This information system consists of two points of the following manner. First, user can recognize the spatial information in the underground space by our proposed system. Second, the administrator can manage the facilities and devices like spring-cooler by this information system.
Our proposed model is able to apply the general underground space and we’ve tested by implementation of the prototype system.
- Author(s)
- 이정은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지하공간 대피정보 시스템 안전설비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56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704
- Alternative Author(s)
- Lee, Jeong Eu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정보보호학협동과정
- Advisor
- 김창수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배경 = 1
2. 연구내용 및 구성 = 2
Ⅱ. 관련연구 = 4
1. 지하공간의 위험성 = 4
2. 지하공간 정보 시스템 = 6
3. 경로 탐색 연구 = 12
4. 맵 뷰어 시스템 = 15
Ⅲ. 지하공간 안전설비 및 대피정보 시스템의 설계 = 18
1. 시스템의 구성 = 18
2. 공간 데이터 구성 = 24
3. 대피경로 탐색 알고리즘 = 26
Ⅳ. 시스템 프로토타입 구현 = 31
1. 시스템 구성 및 개발 환경 = 31
2. Database 구조 = 33
3. 시스템 구현 = 38
Ⅴ. 시스템 효과 분석 = 49
1. 지하공간 정보 시스템과의 비교 = 49
2. 대피알고리즘 연구 비교 = 51
Ⅵ. 결론 = 54
참고문헌 = 5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정보보호학협동과정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