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강교량 품질 확보를 위한 설계 및 검사 규정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sign and Inspection Rule for Quality Guarantee of Steel Bride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건설되고 있는 강교량의 품질확보를 위하여, 강교량 품질 관련 설계 규정 및 검사 규정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강교량 제작회사에서 현재 제작 중인 제품의 품질상태를 조사하고, 설계 규정 및 검사 규정에서 도출한 문제점과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강교량 설계 및 제작에서의 품질확보를 위한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강교량 설계시 개선사항
1. 2.2 도로교표준시방서의 강판두께 규정에서 논한 바와 같이 KS D 3500에서 강판 두께의 허용오차는 공칭두께의 약 (-)5%정도 적용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강교량의 설계시의 응력을 고려하면 강판의 두께는 KS규정을 만족하여야 하고, 또한 강판 두께의 (+)측만 적용하도록 도로교표준시방서를 개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2. 강교량 설계시 HR강판을 사용할 경우에는 구조부재가 아닌 2차 부재에만 한정하여 SM400만을 사용하도록 반드시 설계도서에 명기하여야 한다. “2004.3 한국강구조학회 HR plate 이용 강교량 제작 Guide”에는 횡리브에 SM400B, SM490B, 종리브에 SM400B, SM490B, 수평·수직보강재에 SM400B, SM490B를 사용할 수 있도록 기술되어 있으나, 일부 정정이 필요시 되어진다.
3. 2.3.3 강재 용접부의 방사선투과검사 등급분류 방법 및 2.3.4 강재 용접부의 초음파 탐상시험 등급분류에서 논한 바와 같이 방사선투과검사 및 초음파탐상검사의 등급분류 기준이 다르므로 강교 용접이음부에 대한 결함 검사 기준을 통일하여야 한다.
2) Mill maker 및 강판 판매 대리점의 개선사항
1. 설계도에 특기사항으로 강판의 두께는 (-)오차를 허용하지 않도록 설계도에 명기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로교표준시방서에 의한 KS규정에 따라 (-)측 오차에 대한 강판을 사용하므로 mill maker에서는 강교량용 강판에 대해서 주문자가 특기사항으로 (+)측 허용공차만 주문하여야 한다.
2. 교량용 강판 판매 대리점에서는 유통과정의 구매양식을 (+)측 허용공차만을 인정하여야 한다.
3. 2004.3 한국강구조학회에서 출판된 “HR plate 이용 강교량 제작 Guide”는 구조부재가 아닌 2차부재에만 한정하여 SM400 HR plate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정이 필요하다.
3) 강교량 제작시 개선사항
1. 강교량 부재에 대한 재질조사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열연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SM490과 SM400의 구분이 불가하므로 강판의 유통과정에서 강교량용 강재의 구매양식은 후판재 및 열연재(HR강)로 구분하되, 열연재를 구매할 경우에는 반드시 특정우수회사의 제품임을 증빙 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제품이 SM490 또는 SM400임을 증빙 할 수 있어야 한다.
2. 강교량에 사용되는 강판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shop drawing에 의한 강재의 구매양식, Mill sheet 및 실제품의 절단부재에 대한 화학적 성분, 기계적 성질 및 두께를 동시에 확인 할 수 있도록 공정개선의 필요가 있다.
3. 제작사에서도 부득히 HR plate를 사용하여야 할 경우에는 발주처의 승인을 득한 후 구조부재가 아닌 2차부재에만 한정하여 SM400이 사용되어져야 한다.
The design and inspection rule to guarantee the quality of steel bridges which are recently being constructed in Korea is studied and some problems are found. The quality of steel bridges being manufactured by construction companies are investigated, and are compared with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study of design and inspection rule. Several improvement plans to guarantee quality of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steel bridges are proposed and summarized as follows;
1. The over-tolerance of steel plate thickness must be applied because of considering design stresses.
2. In case of using HR plates, it must be written clearly and noted on design drawings to use SM400 only as not main structural members but secondary members.
3. The criteria of defect classes in welding joints of steel bridges must be standardized because that are different between RT and UT.
Author(s)
이제두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Keyword
강교량 품질확보 품질관리
Publisher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63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774
Alternative Author(s)
Lee, Je-Du
Affiliation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Department
산업대학원 토목공학과
Advisor
이동욱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 1
제2장 강교량 품질관리 설계 시방 규정 = 3
2.1 강판설계 기본 = 3
2.1.1 강판 두께에 따른 선정기준 = 3
2.1.2 강재의 선정 = 5
2.1.3 강재의 허용응력 = 6
2.2 국내.외 도로교시방서의 강판두께 규정 = 7
2.2.1 한국 도로교시방서의 강판두께 규정 = 7
2.2.2 일본 도로교시방서의 강판두께 규정 = 11
2.2.3 미국 도로교시방서의 강판두께 규정 = 13
2.3 한국 도로교시방서의 용접이음부 검사 규정 = 15
2.3.1 2005. 2 도로교표준시방서의 비파괴검사 적용 범위 = 15
2.3.2 1999.9 도로교표준시방서의 비파괴검사 적용 범위 = 20
2.3.3 강재 용접부의 방사선투과시험(RT) 등급분류 = 23
2.3.4 강재 용접부의 초음파탐상시험(UT) 등급분류 = 27
2.3.5 도로교표준시방서상의 비파괴검사 시방규정 비교 = 29
2.3.5.1 비파괴검사 시방규정 비교(1999년/2005년) = 29
2.3.5.2 RT와 UT 등급 분류상의 문제점 = 31
2.4 일본 도로교시방서의 용접이음부 검사 규정 = 33
2.4.1 강재 용접부의 방사선투과시험(RT) 규정 및 등급분류 = 33
2.4.2 강재 용접부의 초음파탐상시험(UT) 규정 및 등급분류 = 36
2.5 미국 도로교시방서의 용접이음부 검사 규정 = 37
2.5.1 ASME 방사선투과시험(RT) 규정 및 등급분류 = 37
2.5.2 ASME 초음파탐상시험(UT) 규정 및 등급분류 = 40
2.5.3 AWS 방사선투과시험(RT) 규정 및 등급분류 = 41
2.5.4 AWS 초음파탐상시험(UT) 규정 및 등급분류 = 49
제3장 강교량 품질상태조사(재질 및 두께) = 53
3.1 MB-1교 = 53
3.2 MB-2교 = 56
3.3 MB-3교 = 58
3.4 GD교 = 60
3.5 HD교 = 62
3.6 SY교 = 64
제4장 강판 재료와 구조계산서 응력 = 66
4.1 강판의 후판재와 열연재의 혼용 및 두께 = 66
4.1.1 MB-3교 후판재와 열연재의 혼용 및 두께 = 66
4.1.2 GD교 후판재와 열연재의 혼용 및 두께 = 67
4.1.3 HD교 후판재와 열연재의 혼용 및 두께 = 67
4.2 강판두께 허용차와 설계응력 = 70
4.2.1 도로교표준시방서 강판두께 허용차 = 70
4.2.2 강교량 설계응력 = 70
4.2.3 강판두께의 실측값 = 72
4.3 강판 구매양식 = 73
4.3.1 제작사의 구매양식 = 73
4.3.2 철강 판매 대리점 구매양식 = 73
제5장 결론 = 77
참고문헌 = 79
감사의 글 = 80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토목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