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 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작업능력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Work Ability and the Job Stress of Housing Managers
- Abstract
- 본 연구는 작업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직무스트레스와 작업능력의 상관관계를 평가하고자 설문을 실시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작업능력이 연령대별로 미소한 차이를 보이긴 했지만 연령의 증가 및 감소에 의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만 55세 이상의 연령대에서 소폭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공동주택 관리자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작업능력이 감소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직무스트레스 또한 연령대의 증가 및 감소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40대 전 후반에서 다소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나타났으며, 55세 이후에는 직무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2) 근속년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WAI는 근속년수가 짧거나 긴 경우에는 직무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나고 WAI는 높게 나타난 반면 6∼20년 사이 근속년수는 반대로 직무스트레스가 높고 WAI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6∼20년 사이의 관리자들의 업무과다에 비해 보상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3) 공급형태에 따른 작업능력은 영구임대 및 국민임대가 외인주택에 비해서 다소 낮게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 또한 확연하게 영구임대 및 국민임대가 외인주택보다 높은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내었다.
4) 업무형태에 따른 작업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P<0.05) 중앙값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업무형태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서 업무형태는 작업능력과 직무스트레스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직무요구와 직무불안정 항목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작업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을 억제시킨다면 위의 두 가지 요인을 개선하는 것을 가장 우선시해야 할 것이다.
직무스트레스와 작업능력의 상관관계를 분석 했을 때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직무스트레스정도가 낮을수록 작업능력이 상승한다는 사실을 이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억제 시키고 쾌적한 근무환경조성이 작업능력 향상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제도적으로 강구할 필요가 있다.
In aged society, to keep the work ability in aged population is an important issue because of a gradual decrease of working population. In addition to this, prior researches suggested an association between work ability and job stress. On these bases, the objective of curr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work ability and job stress of housing manager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work ability in the age over 55 years, and this age group also showed lower job stress as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hose results suggest that greater experience in older managers give positive effects on the work ability and job stress of hosing managers. Also, managers working for the lease apartments have greater job stress and poor work ability. However, business types did not give any significant effects on job stress and work ability. In summary, we suggest that lower job stress may bring about better work ability in hosing managers.
- Author(s)
- 남치기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공동주택 직무스트레스 작업능력
- Publisher
-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652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791
- Alternative Author(s)
- NAM, CHI KI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 Department
- 산업대학원 안전공학과
- Advisor
- 장성록
-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 1
1.2 연구목적 = 3
제 2 장 이론적 고찰 = 4
2.1 직무스트레스 = 4
2.1.1 직무스트레스의 개념 = 5
2.1.2 직무스트레스 요인 = 7
2.1.3 직무스트레스 설문의 구성 = 9
2.2 WAI = 11
2.2.1 작업능력의 정의 및 요인 = 11
2.2.2 WAI의 개요 = 13
2.2.3 WAI 설문의 구성 = 15
제 3 장 연구 방법 = 18
3.1 연구 대상 = 18
3.2 설문지 구성 = 21
3.3 설문 분석 = 22
제 4 장 연구결과 = 23
4.1 직무스트레스 현황 = 23
4.1.1 연령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 24
4.1.2 근속년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 25
4.1.3 공급형태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 26
4.1.4 업무형태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 30
4.1.5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31
4.2 WAI score 및 Level = 38
4.2.1 연령에 따른 WAI score 및 Level = 39
4.2.2 근속년수에 따른 WAI score 및 Level = 40
4.2.3 공급형태에 따른 WAI score 및 Level = 41
4.2.4 업무형태에 따른 WAI score 및 Level = 42
4.3 직무스트레스와 WAI의 상관관계 = 43
4.3.1 연령대별 직무스트레스와 WAI 정도 = 45
4.3.2 근속년수별 직무스트레스와 WAI 정도 = 47
4.3.3 공급형태별 직무스트레스와 WAI 정도 = 49
4.3.4 업무형태별 직무스트레스와 WAI 정도 = 51
제 5 장 결론 = 53
참고문헌 = 55
부록 공동주택 관리자의 근무환경에 관한 설문조사서 = 57
Abstract = 6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안전공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