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근골격계 부담 작업 개선에 따른 경제적 효과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conomic Effect Analysis for Improvement of Musculoskeletal Burdened Works
Abstract
최근 국내 산업현장에서는 근골격계질환으로 인한 산업재해자 수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조선산업에서의 직?간접적인 비용손실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근골격계질환 관련 산업재해자로 인해 발생되는 손실의 정량화 및 인간공학프로그램의 도입으로 거둘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추정하는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산업의 작업에 대한 유해성을 평가하여, 유해작업을 분류하였다. 또한 세계 굴지의 조선회사A사를 대상으로 최근 3년간(2004~2006)근골격계 질환자를 작업별로 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작업별 유해성과 근골격계질환자 발생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조선산업의 근골격계 부담작업을 개선함으로써 근골격계질환으로 발생되는 손실을 어느 정도 경감시킬 수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Recently, the number of workers suffering from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WMSDs) is increasing in domestic industry fields.
Specially, direct and indirect losses of cost are presented highly in shipbuilding industries
Therefore, studies for getting economic effect by using ergonomics programs and for making quantification of losses occurred by workers suffering from WMSDs are now processing.
In this study, we have chosen various works by accessing bad conditions in shipbuilding industry works and recent workers suffering from WMSDs (2004-2006) from the famous a shipbuilding company.
On the basis of that, we have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bad conditions in works and workers suffering from WMSDs.
Therefore, we have analyzed how much we could reduce losses by in proving workloads in shipbuilding industries.
Author(s)
김진우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Keyword
근골격계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66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802
Alternative Author(s)
Kim, Jin Woo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안전공학과
Advisor
장성록
Table Of Contents
1.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1.2 연구 내용 = 5
2. 배경 이론 = 7
2.1 근골격계질환 = 7
2.1.1 근골격계질환의 정의 및 증상 = 7
2.1.2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원인 = 9
2.2 인간공학적 평가프로그램 = 13
2.2.1 RULA = 13
2.2.2 기타 평가 프로그램 = 23
2.3 Digital Human Modeling(DHM) & Simulation = 26
2.3.1 시뮬레이션의 정의 및 디지털 휴먼 모델링 = 26
2.3.2 DELMIA = 28
3. 연구 내용 및 결과 = 30
3.1 조선업의 대표적인 작업 선정 및 작업분석 = 30
3.2 근골격계질환자 발생 현황 분석 = 36
3.3 작업의 유해성과 근골격계질환 상관관계 분석 = 39
3.4 용접작업 개선사례 = 41
3.5 작업개선에 의한 경제적 효과 분석 = 45
4. 결론 및 고찰 = 47
참고문헌 = 49
Abstract = 5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산업대학원 > 안전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