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넙치의 사료내 셀레노이스트의 농도별 첨가에 따른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s of dietary Selenoyeast level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bstract
본 실험은 육성기 넙치 사료내 셀레노이스트 첨가에 따른 셀레늄 독성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사료내 셀레늄은 각각 0 ppm, 3 ppm, 6 ppm, 12 ppm, 24 ppm, 48 ppm 총 6개 실험구로 설정하였으며, 실험사료 분석 결과 각각 0.47, 3.23, 6.16, 11.6, 26.3 및 47.11 Se/kg으로 나타났다(Se_(0.47), Se_(3.23), Se_(6.16), Se_(11.6), Se_(26.3) 및 Se_(47.11)). 실험어는 평균무게4.88±0.01 g (Mean±SD)인 넙치를 300L 사각수조에 각 실험구 당 각각 30마리씩 3반복으로 무작위 배치하였으며 총 사육실험 기간은 6주간으로 실시하였다.
6주간의 실험기간 동안 Se_(26.3) , Se_(47.11)에서 셀레늄 과잉 독성으로 인하여 높은 폐사율을 보였다.
증체율(WG), 일간성장률(SGR)에 있어서 대조구와 실험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헤마토크리트(PCV), 적혈구(RBC), 헤모글로빈(Hb)에 있어서는 Se_(6.16)을 공급한 실험구가 대조구보다 유의 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Se_(11.62)를 공급한 실험구가 다른 실험구 보다 가장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그리고 혈청에 있어서 ALT(GPT), AST(GOT), Cholesterol, Cortisol, Glucose, Total protein에 있어서도 전실험구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직내 셀레늄 축적에서는 간과 신장이 근육과 아가미보다 축적률이 더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각 조직의 셀레늄 축적량은 사료에 첨가되어진 셀레늄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Se_(6.16)에서 축적량이 포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특이적 면역 반응에 있어서 혈청 lysozyme과 점액 lysozyme 활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보체의 살균능력 결과와Chemiluminescene (CL) response에서 또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육성기 넙치 사료내 selenoyeast를 6.16 mg/kg 이상 첨가하였을 경우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sne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f dietary Selenoyeast level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he firs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nime the evaluation of the optimum dietary selenoyeast level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he secon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valuation of the toxic dietary selenoyeast level in growing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uthor(s)
이준호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Keyword
Selenium Selenoyeast Olive flounder Immune response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671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810
Alternative Author(s)
Lee, Jun-Ho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수산생물학과
Advisor
배승철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본론 = 4
1. 실험 1: 치어기 넙치에 있어서 사료내 적정 Selenoyeast 농도 평가 = 4
(1) 재료 및 방법 = 4
(2) 결과 = 13
(3) 고찰 = 20
(4) 요약 = 26
2. 실험 2: 육성기 넙치의 사료내 Selenoyeast의 독성 수준 평가 = 28
(1) 재료 및 방법 = 28
(2) 결과 = 36
(3) 고찰 = 41
(4) 요약 = 44
Ⅲ. 감사의 글 = 46
Ⅳ. 참고문헌 = 4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수산생물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