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대학교의 아파트형공장 방식의 창업보육센터 건립 타당성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Feasibility Study on Apartment Building Type-Factory Business Incubator
Abstract
최근 계속되는 경기 불황으로 부산지역의 경제가 침체되고 있으며 이러한 여파는 주택경기 위축, 재정사업 위축으로 이어져 지역 건설사에도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악화된 건설경기를 타개하기 위하여 부산지역 건설사의 새로운 수익원으로써 부산지역 대학교내의 아파트형공장 방식의 창업보육센터 건립을 제시하고 건립타당성을 검토하였다. 현재 아파트형공장 방식의 창업보육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지역 대학은 없으며 관련 자료나 연구도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립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추진 대안을 제시하고 정책적 타당성 및 추진 대안 별 정성적 평가와 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임대공장을 전전하는 영세업자들에게 안정적인 조업장소를 제공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유사업종 군락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를 발생할 뿐 아니라 연구시설 유치 및 저변이 다소 부족한 부산지역 대학교의 열악한 연구 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하는 방안으로도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또한 국내외 여건 변화에 따라 과학기술의 지방화 패러다임을 실현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지역 기술 인력의 유치를 위하여 정책적으로 충분한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형공장 방식의 창업보육센터를 건립하는 추진 방식을 두 가지로 수립하고 대안별로 경제적 타당성분석을 실시해 보았다. 대안 1은 민간투자 추진대안으로써 초기 분담금을 0%와 50% 나누어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였으며 대안 2는 일괄도급 후 분할상환 추진대안으로 분할상환기간을 5 년에서 20 년간 5 년 단위로 나누어 시나리오 분석을 실시하였다.
경제적 타당성의 분석 결과 일괄도급 후 분할상환 대안의 경우 초기분담금, 공실률, 관리비중 운영수입 및 임대료의 수준에 따라 사업성이 크게 달라짐으로 결과를 예측하기 힘들지만 부산지역의 오피스 임대수입의 70% 정도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수익성이 다소 낮지만 실행 가능한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임대수입 증가 유인을 개발할 경우 충분한 사업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진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아파트형공장 방식의 창업보육센터는 수주물량이 부족한 지역 건설사의 새로운 사업 아이템이자 창업을 준비하는 영세업자에게도 효율적이고 안전한 조업장소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고 판단되어 진다. 또한 지역대학이 산학협력체제를 기반으로 타 대학과 차별성을 지니게 되어 대학 발전 잠재 능력에도 긍정적인 작용을 하게 될 것이며 이러한 대학에서 창출된 인재들이 다시 지역경제 회생에 필요한 도구가 되어 긍정적인 흐름을 가지는 순환체제를 이루게 되리라 기대한다.
Recently, the Busan Economy has been depressed because of the constant economic slowdown. This also causes severe damage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This study focuses on The Apartment Building Type-Factory Business Incubator in the university paying attention to the construction company who struggles to make a new item of business in this aggravated state of the building business.
There are no universities who operate The Apartment Building Type-Factory Business Incubator until now and there are no related data or researches at all.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is to perform a feasibility study on inducement of The Apartment Building Type-Factory Business Incubator in the University in Busan area.
In consequence, feasibility of policy was sufficient and this study could draw a result of stable returns. Through this business, this study expects that schools, construction companies and enterprises who want to start a business can get the synergy among each other.
Author(s)
김광수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아파트형공장 창업보육센터 타당성분석 Business Incubator Apartment Building Type-Factory Feasibility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68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823
Alternative Author(s)
Kim, Kwang Soo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Advisor
김수용
Table Of Contents
1. 서론 =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범위 및 방법 = 4
2. 아파트형공장 방식의 창업보육센터 = 5
2.1 창업보육센터의 개요 = 5
2.2 아파트형공장의 개요 = 9
2.3 창업보육센터 및 아파트형공장의 제도적 근거 = 12
3. 정책적 및 정성적 타당성 분석 = 19
3.1 아파트형공장 방식의 창업보육센터 건립의 필요성 = 19
3.2 건립 계획의 정책적 타당성 분석 = 21
3.3 추진 방식의 대안 수립 및 검토 = 24
3.4 추진 대안별 정성적 타당성 분석 = 29
4. 경제적 타당성 분석 = 32
4.1 경제적 타당성 분석의 개요 및 주요변수 가정 = 32
4.2 민간투자 추진 대안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 34
4.3 일괄도급 후 분할상환 추진대안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 40
4.4 경제적 타당성 분석 결과의 고찰 = 51
5. 결론 = 52
참고문헌 = 5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