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동해 남부 해역 미역바늘구멍증 발생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cological Study on the Pinhole Phenomenon in the Cultivated Undaria pinnatifida (Phaeophyta) i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Abstract
기장 해역에서 출현하는 바늘구멍증 원인생물로는 초기에는 Kang (1981)은 Thalestris sp.라 하였으나 이후 보고된 연구들(Ho and Hong, 1988; Park et al., 1990; Rho et al., 1993)에서는 Amenophia orientalis, Parathalestris infestus, Scutellidium sp.의 3종이라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도 이상의 3종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에서 Scutellidium sp.가 약 60%로 출현하여 원인종 중 상대적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Park et al. (1990)과 Rho et al. (1993)의 결과에서 A. orientalis의 출현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과는 상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늘구멍증 원인종 3종 중, 실제로 미역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는 종은 A. orientalis로 알려져 있다(Rho et al., 1994; Park et al., 2008). 따라서, 기장 해역의 바늘구멍증 원인생물 중 우점종이 직접 미역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는 A. orientalis보다 Scutellidium sp.가 많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기장 해역의 미역 양식장에서 바늘구멍증의 피해 정도는 낮으리라 판단된다. 실제 바늘구멍 속을 현미경 관찰하였을 때 구멍 속의 대부분은 원인종 중 A. orientalis가 관찰되었다.
바늘구멍증의 발생요인 중 미역 엽체의 생장과의 상관분석을 파악하기 위해 기장 해역과 다른 해역(완도)의 미역 엽체의 성장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기장 해역 미역 엽체 생장은 Park et al. (2008)에 의한 완도 해역에서 미역 엽체 생장과 차이를 보였다. 기장 해역에서 미역 엽체의 전장은 일정 범위에 집중 분포되어 있는 반면, 완도 해역은 비교적 넓은 범위로 분포하였으며, 미역 엽체 전장의 최고치가 기장 해역에서는 2008년 1월에 165~179cm 범위로 나타났으며, 완도 해역에서는 2008년 3월에 210~224cm 범위로 나타나 전장의 최고치가 나타난 시기가 달랐다. 즉 미역의 생장 시기에 있어 기장 해역이 완도 해역에 비해 시기적으로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바늘구멍증의 발생빈도는 기장 해역에서는 2007년 12월에는 1%였으나 조사 마지막 시기인 2008년 3월에는 68%로 나타났고, 완도 해역에서는 2002년 12월에 바늘구멍증의 발생율이 약 5%에서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마지막 조사 시기인 2003년 4월에는 바늘구멍증 발생율이 약 95%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Park et al., 2008).
즉, 기장 해역에서의 바늘구멍증 발생빈도가 완도 해역에서의 바늘구멍증 발생빈도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완도 해역의 미역 양식장에서 발생한 바늘구멍증 발생빈도 결과로 보아 기장 해역에서도 미역양식이 2008년 4월까지 지속될 경우 바늘구멍증의 발생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지만, 이러한 연구는 장기간의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라 판단한다.
기장 해역에서 바늘구멍증을 일으키는 요인에는 생물학적 요인 뿐만 아니라, 무생물학적 요인들도 많은 작용을 할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Park et al., 2008). 바늘구멍증과 환경요인과의 상관성에 대해서는 수온이 높을수록, 해수의 유통이 원활하지 않은 내만 정점일수록 바늘구멍증이 증가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Rho et al., 1993).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정점별 바늘구멍증의 발생빈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측정된 여러 발생요인 중 환경요인인 수온만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온이 하강하였다가 상승한 2007년 12월에 처음 바늘구멍증이 나타났으며, 수온이 다시 상승한 2008년 3월에 바늘구멍증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바늘구멍증이 많이 발생한 2008년 3월 시기에는 바늘구멍증 원인종의 출현량도 가장 많이 나타났다. 반면, 기장 해역의 퇴적물 분류에서 대부분이 사니질의 분포 양상을 나타내었는데, 사니질의 분포양상과 바늘구멍증 출현양상과는 지리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바늘구멍증 발생과 그 해역의 퇴적상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In order to study causative organisms of seaweed (Undaria pinnatifida) pinhole phenomenon and trace related occurrent factors in Gijang Waters, seaweed collection and environmental parameter analysis (water temperature, salinity, pH, DO) conducted monthly for five months from November 2007 to March 2008. Seawater temperature decreased from November 2007 to February 2008 and increased in March 2008, max. 15.5℃ in December 2007 and min. 13.3℃ in February 2008. And salinity ranged from 34.39 to 35.11 ppt. pH ranged 7.52 to 8.44 and DO ranged 5.62 to 8.85 mg/ℓ. Sediment type are 3 type, grain size were ranged 3.45 to 6.57ф and ignition loss were ranged 3.85 to 9.26 %. Statistical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ver. 10.0. Among the several environmental parameter examined, only seawater temperature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numbers of pinhole in Undaria pinnatifida (p<0.05). The numbers of pinhole highest in Undaria pinnatifida occurrences in March. When Undaria pinnatifida growth rate highest, also the seawater temperature is highest. The pinhole phenomenon and Undaria pinnatifida growth rate and seawater temperature come to conclusion that each other has the relationship which is close. Total three of causative organisms of pinhole phenomenon have been observed in Gijang area (Amenophia orientalis, Parathalestris infestus, Scutellidium sp.). Distribution density of causative species of pinhole phenomenon shows highest value in March (56,195 specimens/m2). The most dominantly observed species is Scutellidium sp. with ca. 60% of occurrency.
Author(s)
신상희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69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833
Alternative Author(s)
Shin, Sang Hee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해양학과
Advisor
문창호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재료 및 방법 = 4
2.1 조사해역 및 조사시기 = 4
2.2 표본 채집 및 관측 = 7
가. 미역 = 7
나. 환경요인 = 7
1) 수온, 염분, pH, DO = 7
2) 퇴적물 = 7
2.3 재료의 분석 = 9
가. 미역 = 9
나. 바늘구멍증 원인종 = 10
다. 통계분석 = 10
Ⅲ. 결과 = 14
3.1 미역의 생장 = 14
3.2 환경요인 = 18
가. 수온, 염분, pH, Do = 18
나. 퇴적물 = 21
3.3 바늘구멍증 발생현황 = 26
가. 바늘구멍 수 = 26
나. 정점별 발생빈도 = 29
다. 바늘구멍의 형태 = 32
라. 원인종의 출현양상 = 34
3.4 바늘구멍증과 환경요인과의 상관성 분석 = 39
Ⅳ. 요약 및 고찰 = 40
참고문헌 = 44
감사의 글 = 47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해양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