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미국산 쇠고기 수입파동에 대한 중앙일간지의 여론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upon the wave motion for America beef imports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in the loop
Abstract
2008년 4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 된 미국산 쇠고기 수입파동은 대한민국의 화제의 중심에 있었다. 이에 광우병에 대한 심각성과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MBC PD수첩은 ‘미국산 쇠고기 이대로 안전한가?’ 라는 주제를 가지고 방송 하였다. 그 결과 미국산 쇠고기를 수입 하려는 정부와 수입에 반대하는 국민들 사이에 갈등이 발생하였고 이는 여론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언론은 내용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갈등을 야기하기도 하며 갈등관리의 기능을 가지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사람들은 언론이 보도하는 흐름에 영향을 받게 되며 언론에 의존하게 된다.
여론은 권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쉽게 생성될 수 없지만 미국산 쇠고기 수입파동이 촛불집회를 통해 여론으로 형성된 배경에는 의견수렴시스템의 부족으로 인해 국민들의 의견이 표출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중앙일간지는 여론이 형성되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미국산 쇠고기 수입파동의 과정에서 매스 미디어를 통해 여론이 어떤식으로 형성되었으며 여론형성의 과정을 갈등관리 측면에서 중앙일간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중앙일간지의 보도를 토대로 여론형성 과정에서의 갈등전개 과정을 분석하고, 외부환경요인과 언론요인이 여론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중앙일간지의 편파적 보도를 파악하기 위해 여론형성 과정에서의 논란과 쟁점을 토대로 중앙일간지의 보도행태의 차이를 연구문제로 선정하였다. 주된 분석방법은 중앙일간지의 내용분석이다. 서울지역 중앙일간지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매체라는 판단에서 분석 대상으로 정했다. KINDS를 이용해 기사 분석을 하였고, 보도행태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을 선정하여 PDF지면보기를 이용하여 차이를 분석했다. 분석기간은 2008년 3월 5일부터 2008년 10월 30일 까지이다.
먼저 미국산 쇠고기 수입파동의 여론형성에 관해 연구하기 위해 여론형성과 갈등관리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논의를 하였다. 그리고 갈등관계를 분석한 결과 분석의 변수 즉 외부환경요인과 언론요인이 중앙일간지에 영향을 주어 여론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여론형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갈등의 전개과정을 갈등의 발단단계, 갈등의 표출단계, 갈등의 해소단계로 나누었다. 그리고 전체적인 미국산 쇠고기 수입파동에 대한 중앙일간지의 보도행태를 알아보기 위해 중앙일간지의 기사 분석을 통해 논란과 쟁점을 정리하였다. 여론형성이 시작된 계기가 ‘MBC PD수첩’으로 인해 발생하였고, 그 과정에 ‘조선·중앙·동아 광고 및 구독거부 운동’과 ‘촛불집회’가 있었다. 기사를 분석하기 위해 유형별 핵심 주제를 선정하였다. 정부비판입장, 정부옹호입장, 단순보도, 중립의 4가지로 핵심 주제를 나누어 보수신문과 진보신문을 분석함으로서 매체의 보도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 매체의 공정성이 어떠한가에 대한 평가를 도출해 보았다. 이를 토대로 쟁점에 대한 5개 신문의 기사분석을 통해 교차분석을 한 결과 보수신문은 정부옹호입장에 대한 비중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으며, 진보신문은 정부비판에 대한 기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각 매체별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각 매체별로 편파적 보도를 했다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는 여론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공정성의 논란을 가져올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정성이란 올바른 판단을 위하여 어느 한쪽에 치우침이 없는 태도를 가리킨다. 보도의 공정성이란 올바른 보도 또는 시시비비와 같은 올바른 언론행위를 위해 보도의 사건이나 사안과 관련하여 보도자가 그 사건이나 사안의 당사자 가운데 어느 한쪽에 특별한 호의나 편견을 갖지 않은 채로 행한 보도태도를 일컫는다(이효성, 1996). 미국산 쇠고기 수입파동에 대해 각 매체에서는 여론형성을 위해서는 중립적인 입장에서 기사를 보도해야 했지만 보수와 진보라는 어느 한쪽에 치우친 편파 보도가 눈에 띄었다.
미국산 쇠고기 파동의 가장 큰 문제점은 바로 소통의 문제라는 것이 지배적이다. 국민과의 소통의 장은 언론이라고 할 수 있다. 언론을 통해 여론을 받아들여야 하는데 조선·중앙·동아의 광고 및 구독거부 운동과 같이 언론 또한 정부의 의견을 대변하는 시스템을 나타내었고 이것은 국민들이 원하는 방법이 아니었기 때문에 더 큰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2008년 5월 8일 ‘MBC 100분 토론’은 ‘미국 쇠고기 안전한가’라는 주제를 가지고 열띤 토론을 벌인 결과 심야방송에서 보기 드물게 시청률 6.5%를 나타내었다(경향신문, 2008.5.10). 그만큼 국민들은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대해 그리고 광우병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의견수렴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중앙일간지가 미국산 쇠고기 수입파동에 대한 여론형성 과정에서 객관성과 공정성에 입각하지 못하였다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중앙일간지의 내용분석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보수신문은 정부옹호입장을 그리고 진보신문은 정부비판입장에 대한 기사내용이 갈등의 발단과 표출단계에서는 보수신문 54%, 진보신문 75%를 나타냈지만 갈등의 해소단계에서는 보수신문 48%, 진보신문 65%라는 결과를 나타냄으로서 각 매체별 갈등관리를 통해 편파성이 완화되었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Since April 2008, there has been beef trade agreement between U.S. Government and Korea Government. And it has become a biggest issue of Korea. It made a conflict between Korea Government. Which wants to beef trade agreement and Korean citizen who don't want to it. Also, it was a cause of shape public opinions. In this procession, Metropolitan newspapers contributed importantly to shape public opinions.
This paper looked at how public opinions have been made through the process of wave motion for American beef imports and process of shape public opinions in view of conflict managing.
The method of analyzation was analyzed into an article of major newspapers and collected data are analyzed with using SPSS 10.0 statistics program.
To study for the shape public opinions of wave motion for American beef imports, we did theory discussion with study for shape public opinions and conflict managing. And we deduced analytical frame that the variableness of analyze, I.e. amain cause from outside interferences and a main cause from media have an effect on shape public opinions.
As a result, we could know the difference among the major newspapers through the studying of public opinions processing within 3way, beginning, expression and solution of conflict. Also, we found that each newspapers did report with an erroneous point of view.
Author(s)
손나리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여론형성 America beef Wave-motion Imports Criticism Public-opinion Major-newspapers Conflict-managing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71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854
Alternative Author(s)
Son, Na-Ri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Advisor
이상기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 1
제2절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4
1.연구문제 = 4
2.연구범위와 연구방법 = 6
제2장 이론적 논의 = 8
제1절 여론형성과 갈등관리 = 8
1.여론형성 = 8
2.갈등관리 = 14
제2절 분석틀 설정 = 23
1.외부환경요인 = 24
2.언론요인 = 26
제3장 미국산 쇠고기 수입파동에 대한 여론형성 과정 = 29
제1절 개요 = 29
제2절 갈등 전개 과정 = 31
1.갈등의 발단단계 (2008.03.05 ~ 2008.04.29) = 31
2.갈등의 표출단계 (2008.05.02 ~ 2008.08.15) = 37
3.갈등의 해소단계 (2008.08.16 ~ 2008.10.30) = 47
제4장 여론형성과정의 쟁점 = 50
제1절 MBC PD수첩의 보도 논란 = 50
제2절 조선·중앙·동아의 광고 및 구독거부운동 = 63
제3절 촛불집회 논란 = 74
제4절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신문기사의 편파성 = 81
제5장 결론 = 89
제1절 요약 및 결론 = 89
제2절 연구한계 및 제언 = 93
-참고문헌- = 94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