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렬언어자료에 나타난 over의 의미 및 한국어 대응표현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Parallel Corpus-based Study on Meanings of "over" and their KoreanTranslations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전치사 over의 다양한 의미를 Tyler & Evans(2003)의 이론을 토대로 원형 의미를 포함한 15개의 개별의미들을 알아보고, 병렬언어자료에서 발견된 over의 개별의미 분포와 각 개별의미가 한국어로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병렬언어자료에서 발견한 총 148개의 문장 중에서 over의 개별의미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건너편 의미’가 50개(33.7%)로 가장 많이 발견되었고, 그 다음으로 ‘원형 장면’ 18개(12.1%), ‘주의 초점의미’ 16개(10.7%), ‘덮기 의미’ 14개(9.5%), ‘전이 의미’ 12개(8.1%), ‘시간 의미’ 10개(6.8%), ‘더 많음 의미’ 8개(5.4%), ‘완료 의미’ 7개(4.7%), ‘통제 의미’ 6개(4.1%), ‘검사 의미’ 2개(1.4%), ‘재귀 의미’ 2개(1.4%), ‘반복 의미’ 1개(1.7%), ‘과도-상위 의미’ 0개(0%), ‘선호 의미’ 0개(0%) 순으로 발견되었다. 그 중 한국어 대응표현이 있는 문장은 49개로 ‘시간 의미’ 9개(18.4%)부터 ‘원형 장면’ 8개(16.4%), ‘완료 의미’ 7개(14.3%), ‘덮기 의미’ 7개(14.3%), ‘더 많음 의미’ 5개(10.2%), ‘주의초점 의미’ 4개(8.2%), ‘검사 의미’, ‘통제 의미’, ‘재귀 의미’, ‘반복 의미’가 각 각 1개씩(2.0%), ‘상위-초월 의미’, ‘전이 의미’, ‘과도-상위 의미’, ‘선호 의미’는 각 각 0개(0%)로 나타났다.
각 개별의미별 한국어 대응표현을 원형장면부터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원형장면에서는 ‘(으)로’가 3개(37.5%), ‘∼을/를’이 2개(25.0%), ‘∼에’, ‘∼따라’, ‘∼위로’가 각 각 1개씩(12.5%)순으로 나타났다. 건너편 의미에서는 ‘너머’가 3개(60.0%), ‘건너’가 1개(20.0%), ‘위로’가 1개(20.0%)순으로 나타났다. 완료 의미에서는 ‘끝나가’가 5개(71.4%), ‘마치다’, ‘지나다’가 각 각 1개씩(14.3%)순으로 나타났다. 시간 의미에서는 ‘∼동안’이 3개(33.4%), ‘∼간’이 2개(22.2%), ‘∼째’, ‘∼을’, ‘가다’, ‘걸치다’가 각 각 1개씩(11.1%)순으로 나타났다. 덮기 의미에서는 ‘∼위에’가 5개(71.4%), ‘∼에’, ‘받치다’가 각 각 1개씩(14.3%)순으로 나타났다. 검사 의미는 ‘훑다’라는 한 개의 표현만이 나타났고, 주의초점 의미에서는 ‘∼에’가 2개(50.0%), ‘∼로(부터)’가 2개(50.0%)로 나타났다. 더 많음 의미에서는 ‘넘다’가 3개(60.0%), ‘∼이상’, ‘∼여’가 1개씩(20.0%)나타났다. 통제 의미에서는 ‘∼위에’, 재귀 의미에서는 ‘넘어지다’, 반복 의미에서는 ‘몇 번이고’라는 대응표현이 각 각 하나씩 나타났다.
영문법에서는 전치사인 over가 한국어 대응표현으로 나타날 때는 ‘끝나다’, ‘넘다’ 와 같이 동사로 ‘∼을/를’ 과 같이 조사로 혹은 ‘위’같이 명사로 나타났다. 비록 품사는 다르게 나타났지만 한국어 대응표현들 간의 의미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15 senses of the preposition “over” (Tyler & Evans 2003) study and to examine how they are translated into Korean. This study analyzes 148 sentences from parallel corpus.
This study shows that some senses has more translations while others has less or no translations. For example, “temporal sense" has 6 translations such as “dong-an”, “kan", “chae", “ulo”, and “kada". This study also reveals that some senses are translated into a verb, a noun rather than a postposition. For example, “covering sense” has two kinds of translations such as “wi”, “e”, and “patchida”.
The result shows that the preposition “over” are translated into Korean very variously and each Korean meaning is related very closely. In addition, though the word “over” is just a word class in English, it appears to be various word classes.
- Author(s)
- 한명희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72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863
- Alternative Author(s)
- Han, Myung-He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Advisor
- 김은일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Ⅱ. 이론적 = 배경
1. over의 원형장면 = 3
2. over의 개별 의미 = 4
2.1 A-B-C 궤도다발(A-B-C trajectory cluster) = 5
2.2 덮기(covering)의미 = 13
2.3 상위 및 근접(above and proximal) = 15
2.4 수직 상승 혹은 위 다발(up cluster) = 19
2.5 재귀성(reflexive) = 25
Ⅲ. over의 개별의미와 한국어 = 대응표현
1. 개별의미별 분포 = 29
2. 개별의미별 한국어 대응표현 = 31
2.1 원형 장면 = 31
2.2 건너편 의미 = 34
2.3 완료 의미 = 37
2.4 시간 의미 = 39
2.5 덮기 = 42
2.6 검사 의미 = 45
2.7 주의초점 의미 = 46
2.8 더 많음 의미 = 47
2.9 통제 의미 = 48
2.10 재귀 의미 = 49
2.11 반복 = 49
Ⅵ. 결론 = 51
참고문헌 = 55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