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부산신항의 조위변동과 지반침하 특성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Ground Subsidence and Tidal Level Variation in Busan Newport
Abstract
본 연구는 신항 북컨터미널 안벽 및 야드구간(6선석구간 / 안벽 2,000m)의 부두운영 중 컨테이너 장치장과 부두 내 시설물에 대한 지속적인 침하관리를 위해 운영중인 계측장비의 현황을 살펴보고 현재 계측되고 있는 관측자료 중에 조위관측기기를 통한 부두 내 조위의 변화와 안벽 및 야드 구간에 대한 지반 변위거동을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사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신항 인근에 위치한 가덕검조소의 1977년부터 2007년까지 약 30년간의 평균해면 변화를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연간 평균해면 상승량은 약 2.36 mm/year이다.
2) 부두 조위계를 통해 계측된 최극 만조위는 DL(+)2.41m, 최극 간조위는 DL(-)0.45m이며, 신항 부두와 가덕도 검조소 두 지점에서의 조위 편차(WL)는 ±0.4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부두 안벽 및 야드지역에 대해 수행된 광파 및 레벨측량에 의한 안벽 케이슨부 변위는 거의 발생치 않았으나, 야드 내 크레인 레일의 최대 상대높이차는 (-)5.1cm이고, 최대 상대너비차는 (-)4.4cm이다. 도로부는 (-)22.4cm ~ (-)1.0cm로 측정되었으며, TIE-DOWN은 (-)21.8cm ~ (-)2.0cm로 측정되었다.
4) 평면 수치모형 실험에서 CASE 1의 계산결과는 부산신항 안벽전면 지역에서 파고 0.19 ~ 0.35 m, CASE 2는 0.23 ~ 0.35 m이었다. 부산신항 지역에서 태풍 내습시 바람에 의해 발생가능한 파고는 서풍일 경우 최대 35 cm, 남풍 계열일 경우 최대 38 cm인 것으로 나타났다.
5) 단면 수치모형 실험 결과에서 안벽 내부의 수위 값은 0.025m~0.007m로 점차적으로 감소를 하고 있으며, 침하량은 0.047~0.010m으로 침하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최종적으로 연안점토층에 건설되는 항만의 안전성 및 방재성 확보를 위한 항만시설물의 건전성 평가 및 해석기술 개발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인 현장 모니터링 및 해석기법의 다양화가 요구되어진다.
In this study the present condition of measuring instrument on ground subsidence was survey pier and yard section at Busan Newport. And continuous measuring tidal variation analyzed comparison of tide between field and Gadeokdo. Thus field experiment was examined ground subsidence at pier and road part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ean sea level variation at Gadokdo nearby Busan New port raised about 2.36 mm/year during 1977~2007.
2) Tidal variation at pier appeared that App. H.H.W was DL(+)2.41m and App. L.L.W was DL(-)0.45m. Also tidal deviation was ±0.4 betweem Gadeokdo and Busan New port.
3) Field experiment on ground subsidence at the pier and yard section was appeared each other maximum height difference value (-)5.1cm in yard crain and maximun width difference value (-)4.4cm. Also each other maximum difference value was (-)22.4cm ~ (-)1.0cm in road part and (-)21.8cm ~ (-)2.0cm in TIE-DOWN
4) Numerical simulation was wave height 0.19 ~ 0.35 m on Case 1 and 0.23 ~ 0.35 m on Case 2 in the front of Busan New port. Wave height from the typhoon in Busan New port was appeared maximum value 35cm, 38cm each other W and S
5) Numerical simulation on CADMAS-SURF was decreased water level 0.025m~0.007m and ground subsidence 0.047m~0.010m in the pier.
Author(s)
김은수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Keyword
부산신항의 조위변동과 지반침하 특성에 관한 연구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73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873
Alternative Author(s)
Kimi, Eun-Su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해양산업공학협동과정
Advisor
류청로
Table Of Contents
1. 서론 = 1
1.1 연구배경 = 1
1.2 연구목적 및 방법 = 1
2. 조위변동 및 지반변동 = 3
2.1 항만유지관리 계측시스템 현황 = 3
2.1.1 부두 지반변위 계측시스템 = 4
2.1.2 안벽 조위 계측시스템 = 8
2.2 안벽 조위 변화 = 10
2.3 부두 지반변화 = 15
3. 수치모형실험 = 25
3.1 안벽전면해역 파랑분포 = 25
3.2 안벽 내부수위 변화 수치모형 = 32
4. 요약 및 결론 = 37
참고문헌 = 39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해양산업공학협동과정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