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불변화사 이동과 주제성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Particle Movement in English and Topicality
Abstract
본 연구는 ‘동사+부사’의 형태를 가지는 영어의 불변화사 구문에서 불변화사 이동이 일어날 때, 담화적인 측면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70년대 이후 담화 속의 맥락을 중요시하는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 전까지는 대부분의 언어연구가 Chomsky의 변형생성문법의 영향을 받아 구조적인 측면에 치우쳐서 고려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실제 담화 상황에 따라 언어의 기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한 것으로 많은 문제점을 남겼다. 이에 기능주의 학자들은 화용적 측면에서의 불변화사 이동을 연구하였고, Chen(1986)은 불변화사의 이동이 특정 요인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hen(1986)의 방식을 따라 Stephen R. Covey(2004)(ed.)의 The 7 Habits of Highly Effective People을 대상으로 구동사 목적어의 주제성을 음절 길이, 언어형태, 지시적 거리라는 요소를 이용해 계량화하였다.
목적어의 음절 길이를 측정한 결과, 음절수가 적을수록 불변화사가 이동되는 구조가 선호되고 음절수가 많아질수록 불변화사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았다. 즉, 주제성이 높을수록 음절수가 적게 표현될 수 있고 불변화사 이동이 선호된다는 것이다. 목적어의 언어형태에 대한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고유명사일 때 100% 불변화사가 이동되었으나 이는 발견된 예문의 수가 극히 적어 고유명사인 목적어가 반드시 불변화사 이동을 일으킨다고는 말할 수 없다. 이어 목적어가 정관사 명사구, 소유격형 명사구, 지시사 명사구와 같은 한정 명사구일 때 불변화사 이동이 선호되었고, 비한정 명사구나 절의 형태를 취할 경우, 불변화사 이동이 선호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목적어의 지시적 거리를 측정한 결과는 지시적 거리가 짧을수록 불변화사 이동이 선호되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불변화사 이동이 선호되지 않았다.
여기서 목적어의 음절 길이, 언어형태, 지시적 거리는 모두 그 목적어의 주제성과 관련지어 설명될 수 있다. 선행 담화에서 언급이 많이 될수록 구정보이고 주제성이 높은 것이며, 주제성이 높을수록 일반적으로 목적어의 음절 길이가 짧고, 언어 형태는 한정 명사구의 형태를 취하며, 지시적 거리는 짧은 것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는 Chen(1986)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일부 예문은 앞서 제시한 일반적 경향을 벗어나기도 하였다. 목적어의 음절 길이가 짧고 한정 명사구이며 지시적 거리가 짧은데도 불변화사 이동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가 있었는데 이러한 예외적인 경우에 대한 원인 분석은 앞으로 더 이루어져야 할 부분으로 남았다.
현행 중·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에서는 ‘동사+부사’ 구문에서 목적어가 대명사인 경우 반드시 불변화사 이동이 일어나고 일반 명사구의 경우에는 불변화사가 이동되는 구조와 이동되지 않는 구조가 모두 허용되는 것으로만 가르쳐지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구동사의 목적어가 비록 대명사가 아닌 일반 명사구라 할지라도 담화 속의 맥락에 따라서 불변화사 이동이 보다 선호되거나 선호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영어 교사는 학생들에게 교과서나 참고서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무조건 전달할 것이 아니라 이러한 담화·화용적 요인을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범위에서 구동사 표현과 함께 전달하여 이해시킨다면 원어민들이 사용하는 보다 실제적인 언어를 가르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현 영어 학습의 핵심인 의사소통기능 향상에 보다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particle movement in English in the discourse level. According to Chen(1986), under otherwise similar conditions, the hypothesis is that particle movement is more likely to occur when the object stands high in ‘participant continuity’ with the preceding discourse. Based on Chen(1986)’s hypothesis, 114 data sets from The 7 Habits of Highly Effective People were examined to confirm the hypothesis.
There are three closely related variables that are involved in ‘participant continuity’ of the object: (ⅰ) the length of the object; (ⅱ) the type of the object; and (ⅲ) the distance to its antecedent in the discourse (referential distance).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generally similar to Chen’s findings. The more syllables the object contains, the less likely the particle movement is to occur. As far as the type of the object is concerned, ‘Definite NP(noun phrase)’ causes more frequent particle movement compared with ‘Indefinite NP’. And, when the object appears nearer its antecedent, particle movement is preferred. While most phrasal verbs in the text could be properly explained by Chen’s criteria, some examples in the text didn’t fit into them.
In sum, the height in participant continuity to the preceding discourse is a significant indicator for particle movement. When the object stands high in ‘participant continuity’, it is likely to be referred more often in the discourse. Consequently, it becomes ‘Old Information’, which can be considered ‘topical’ in the discourse. That is, the ‘topicality’ of the object plays a key role in particle movement.
Author(s)
이경민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Keyword
불변화사
Publisher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74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883
Alternative Author(s)
Lee, Kyung Mi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Advisor
김은일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1. 불변화사의 정의 = 6
2. 주제성 = 10
3. 연구방법 = 11
Ⅲ. 분석결과 및 토의 = 18
1. 목적어의 음절길이 = 18
2. 목적어의 언어형태 = 23
3. 목적어의 지시적 거리 = 31
Ⅳ. 결론 = 39
참고문헌 = 41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