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상시학습체제에서의 사이버교육요인이 공무원 사이버교육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Research of Effect of Cyber Education at Always Learning System in Affinity of Cyber Education for Officials : Focusing on Busan Metropolitan City
Abstract
본 연구는 상시학습체제에서 학습 요인, 상호작용, 학습자요인, 그리고 학습제도요인 등 사이버교육 요인들이 공무원 사이버교육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산광역시 공무원을 중심으로 실증연구를 하였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사회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SPSS 12.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 분석, 요인 분석, 신뢰성 분석, 상관관계 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AMOS 4.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실증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요인과 상시학습제도인식, 상시학습지원요인이 학습자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활동을 위한 상호작용은 학습자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요인, 상호작용, 상시학습제도인식은 사이버교육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시학습지원요인은 사이버교육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 요인은 사이버교육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기술의 발달과 교육훈련 제도의 변화로 공무원들의 능력개발을 위한 다양한 자기개발 기회가 확대되고 교육훈련기관에서의 교육훈련도 다양해짐에 따라 사이버교육의 확대는 시대적 추세라 할 것이다.
그러나 공무원들은 여전히 사이버교육의 융통성을 이해하면서도 인터넷에 의한 학습보다는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인 집합교육을 여전히 선호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사이버교육은 업무시간외에 별도로 개인적인 시간을 할애하여 야 하므로 교육훈련의 목적달성이나 개인능력 발전이 무시되어 형식적인 학습이나 제3자를 통한 대리학습 등으로 단순히 학습시간의 이수를 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시학습체제의 정착을 위해서는 공무원들의 상시학습제도에 대한 인식 제고와 상시학습 인정범위의 확대, 직급별 최저 이수시간의 조정 및 공무원교육훈련기관의 교육과정을 다양화하여 공무원들의 능력개발에 자발적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교육훈련제도의 변화에 따른 사이버교육의 활성화와 선호도 향상을 위해서는 사이버교육용 학습콘텐츠를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학습효과 제고와 편의성을 강화하고, 평가방법 다양화와 평가항목별 반영 비율 조정을 통해 자발적인 사이버교육 참여와 능동적 학습활동을 이끌어 내어야 하겠으며, 웹 기반의 인터넷 사용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정보화교육 강화를 통해 컴퓨터 사용에 대한 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등의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상시학습체제시행 초기라 아직까지 부서장의 인식이나 지원, 직장 내 학습 분위기 등 상시학습지원은 미흡한 것으로 보여 사이버교육 선호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보이나, 부하직원 양성을 위한 부서장의 교육훈련 성과책임 등 조직측면의 지원을 강화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에 대한 관심을 높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사이버교육의 특성상 장기간의 교육기간에도 불구하고 집합교육에 비해 인정시간이 적으므로 적정시간의 집합교육을 병행하여 인정시간을 늘이는 효과와 더불어 사이버교육의 단점을 보완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이버교육에 대한 관심과 선호를 이끌어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교육훈련에 있어서 새로운 교육용 매체나 기술은 그 자체로는 어떠한 교육적 목적을 지니고 있지 않다. 사이버교육이 단지 진보적이고 최신의 교육방법이라는 이유로 단순히 수용하는 것은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사이버 교육훈련을 통한 교육훈련 목적달성과 공무원의 역량 강화는 학습제도와 사이버교육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결과와 이론적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성공적으로 시행될 수 있을 것이다.
As extending necessity and demand of training with cyber education by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trend is gradually expanding cyber education is for educational training for local public service employee. And interest and demand about cyber education are increasing by the educational training environment of officials is changing by building of the always learning system. The necessity of systematic study is presented to continue quantity expansion to achievement of goal of educational training and preference for self-development.
In this research, I studied primary factors of cyber education based on preexisting research and demonstration research about cyber education and deducted always learning system, system factor of learning, as new factor. I tried to examine whether recognition about always learning system and support factors of always learning affect to affinity of cyber education, whether learning factors and interaction affect to affinity of cyber education and whether factors of learners of cyber education affect to affinity of cyber education to persons who finished cyber education of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ials Training Institute.
I distributed 422 of questionnaires for data acquisition and used 361 of them for the final analysis. I conducted characterization,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research subject by SPSS 12.0 statistic package. And I inspecte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by AMOS 4.0 statistic package.
The summary of result of research are as below. The first, learning factors, recognition of always learning system and support factors of always learning affect to factors of learners, but interaction don’t affect to it. The second, learning factors, interaction, recognition of always learning system affect to affinity of cyber education meaningfully, but support factors of always learning don’t affect to it. The third, factor of learners affect to affinity of cyber education meaningfully.
I expect that these results can provide revitalization of cyber education for officials and a operating plan and can utilize as basic data to make learner’s affinity about cyber education.
Author(s)
박명규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Keyword
공무원사이버교육 상시학습체제 사이버교육선호도
Publisher
부경대학교 경영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74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889
Alternative Author(s)
Park, Myung-Kyu
Affiliation
부경대학교 경영대학원
Department
경영대학원 경영학과e-비지니스전공
Advisor
김하균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배경 및 목적 = 1
가. 연구배경 = 1
나. 연구목적 = 3
2. 연구방법 = 4
3. 논문의 구성 = 4
Ⅱ. 이론적 배경 = 6
1. 공무원교육훈련 = 6
가. 교육훈련의 의의 = 6
나. 교육훈련제도의 변천과정 = 10
다. 지방공무원 교육훈련 체계 = 15
라. 기존 교육훈련제도의 문제점 = 18
2. 상시학습체제 = 19
가. 상시학습체제의 의의 = 19
나. 상시학습체제의 성격 = 21
다. 상시학습체제의 주요내용 = 22
3. 공무원 사이버교육 = 31
가. 사이버교육의 개념 = 31
나. 사이버교육의 특성 = 32
다. 부산광역시 교육훈련 현황 = 35
4. 선행연구 = 41
Ⅲ. 연구조사방법 = 47
1.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 47
가. 연구모형 = 47
나. 가설설정 = 48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 49
3. 조사표본의 설계 및 설문지 구성 = 51
가. 조사 표본의 설계 = 51
나. 설문지의 설계 및 구성 = 51
4. 연구가설의 검증 방법 = 54
Ⅳ. 실증 분석 및 연구 결과 = 56
1. 연구 표본의 특성 = 56
가. 설문지 배부 및 회수 현황 = 56
나. 표본의 특성분석 = 57
2. 측정도구의 평가 = 59
가. 타당성 평가 = 59
나. 신뢰성 평가 = 62
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 63
3. 연구가설의 검증 = 64
가. 연구모형의 적합도 분석 결과 = 64
나. 연구가설의 검증 결과 = 68
4. 연구결과의 논의 = 71
Ⅴ. 결론 = 74
참고문헌 = 76
부록 설문지 = 83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경영대학원 > 경영학과-e비지니스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