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해운 전문계열 교사의 직무수행 영역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duty performance area of fisheries & shipping business high school teachers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문헌 조사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수산·해운계열 교육의 특성과 교사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직무영역을 설정하고 지역적 대표성을 가지고 있는 4개교(경남해양과학고등학교, 부산해사고등학교,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포항해양과학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전문교과 교사 중 무작위로 80명을 선정하여 2008년 9월 2일부터 2008년 10월 20일까지 분류된 직무영역의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1. 수산·해운계열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영역은 교수학습 분야, 실습지도 분야, 생활지도 분야, 학급경영 분야, 행정업무 수행 분야, 전문성 신장 분야, 산학협동 및 지역사회의 연계 분야로 직무영역을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조사되었다. 특히 설문대상은 직무이해도와 직무만족도가 80%이상인 교사들의 응답이었기에 신뢰도상 신뢰할 수 있는 응답이었다고 할 수 있다.
2. 수산·해운계열 전문교과 교사의 각 영역별 직무내용은 교수학습 분야가 32개의 직무내용을 가지며, 실습지도 분야의 직무내용은 21개, 생활지도 분야의 직무내용은 18개, 학급경영 분야의 직무내용은 12개, 행정업무 수행 분야 직무내용은 18개, 전문성 신장 분야의 직무내용은 15개, 산학협동 및 지역사회의 연계 분야의 직무내용은 9개로 체계화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조사되었다.
This study referred to relevant literatures, collected professional advice, created the sphere of duty wit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products-marine transportation education and teachers' specialty, and researched the feasibility of duty sphere classified from 2nd of September in 2008 to 20th of October in 2008 by selecting 80 professional teachers at random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4 schools that had local(Gyeongnam Marine Science High School, Busan Maritime High School, Incheon Marine Science High School, and Pohang Marine Science High School).
1.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proper to classify the sphere of marine products-marine transportation professional teachers into teaching-learning sphere, actual training guidance sphere, life guidance sphere, class management sphere, administrative performance sphere, specialty extension sphere,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and community connection sphere. In particular, it can be considered that teachers' response is reliable according to the reliability because respondents had more than 80% of duty understanding and duty satisfaction.
2. For the contents of each sphere of marine products-marine transportation teachers' duty, it is proper to systematize teaching-learning field with 32 contents of duty, actual training guidance field with 21 contents of duty, life guidance sphere with 18 contents of duty, class management sphere with 12 contents of duty, administrative performance sphere with 18 contents of duty, specialty extension sphere with 15 contents of duty,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and community connection sphere with 9 contents of duty respectively.
- Author(s)
- 반건우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marine science High school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76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903
- Alternative Author(s)
- Ban, Gun-Woo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수산교육전공
- Advisor
- 김삼곤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4
Ⅱ. 이론적 배경 = 6
1. 직무의 구분 = 6
가. 직무와 임무 = 6
나. 직무의 구분 = 6
2. 교사의 역할과 교육요구 = 10
가. 교사의 역할 = 10
나. 교사의 교육요구 = 10
3. 교사의 직무수행 영역에 관한 선행 연구의 검토 = 11
가. 일반계열 교사의 직무 = 11
나. 전문계열 교사의 직무 = 12
Ⅲ. 연구방법 = 15
1. 조사 대상 = 15
2. 조사 절차 = 15
3. 조사도구 및 자료 수집 = 16
4. 자료 분석 = 16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 17
1. 연구 대상의 일반적인 특성 = 17
2. 수산·해운 전문계열 교사 직무에 관한 분류와 적정도 = 19
가. 수산·해운 전문계열 교사의 직무영역 결정 = 19
나. 수산·해운 전문계열 교사의 직무 분류의 적정도 = 20
3. 수산·해운 전문계열 교사 직무내용의 타당도 = 20
가. 교수학습 분야 = 21
나. 실습지도 분야 = 23
다. 생활지도 분야 = 24
라. 학급경영 분야 = 25
마. 행정업무수행 분야 = 26
바. 전문성 신장 분야 = 27
사. 산학협동 및 지역사회의 연계 분야 = 28
Ⅴ. 요약 및 결론 = 30
1. 요약 = 30
가. 수산·해운 전문계열 교사의 직무영역 분류 = 30
나. 수산·해운 전문계열 교사의 직무내용에 대한 타당도 = 30
2. 결론 = 31
참고문헌 = 32
부록 수산·해운 계열 교사들이 인식하는 직무와 수행여부에 대한 설문 조사 = 3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수산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