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연안의 대체서식지 조성 절차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f Replacement Habitat Creation in Coastal Area
Abstract
현황파악 및 법적 검토를 통하여 연안개발 발생시 영향평가제도의 협의과정에서 환경저감방안을 요구하며 그에 대한 한 방법으로서 연안의 대체서식지 조성을 요구하고 있으나 국내에는 연안의 대체서식지 조성을 위한 절차의 부재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의 대체서식지 조성 절차를 제안하기 위해서 서식지 조성을 목적으로하는 서식지 조성절차와 대체를 목적으로 하는 대체습지 조성 절차, 연안 서식지를 대체하는 연안의 대체습지 조성절차를 본연구의 목적과 우리나라 실정에 이질적인 단계들과 동질적인 단계들을 검토하여 새로운 절차를 제안하였다.
첫째, 기존 서식지의 기능 파악을 통하여 고유의 연안 서식지가 가지고 있는 기능을 파악한다.
둘째, 조사되어진 기존의 서식지 기능을 바탕으로 법률적 고려사항과 지역주민의 참여를 통한 협의를 거쳐 지향하는 서식지 기능을 수립한다.
연안의 대체서식지의 기능은 은신처ㆍ보육장ㆍ섭이장 기능, 생물생산기능, 오염정화기능, 조류서식기능이 있으며 조성가능한 형태는 염습지, 갯벌, 조장의 3가지 형태로 제안 한다.
셋째, 조성 예상 지역의 이용현황과 지역의 요청 규제조건과 생태학적 현황을 파악하여 대상 서식지 선정시 요구되어지는 자료를 확보한다.
넷째, 확보되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목적과 목표로 선정한 기능을 대체가능한 서식지의 형태를 파악하여 선정한다.
다섯째, 선정되어진 형태의 서식지와 기능에 부합할 수 있는 대상종을 선정한다.
여섯째, 대상 형태와 종에 알맞은 설계도를 작성하는 단계로 염습지의 경우 조석주기, 염분도, 담수의 유입, 토질조건을 고려하여 설계하며 조류의 영향이 강한곳에 식물의 씨앗을 도입 할 경우 소형의 인공 둑의 설치를 고려하여 설계한다. 갯벌의 경우는 구배와 저질, 파랑조건, 유속, 조석수위, 담수의 영향, 지형을 고려하여 설계하며 조장의 경우 광량과 투명도에 영향을 주는 수심, 생육기반과 파랑 유동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또한 조장 설계시 부유입자가 많이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해조류의 잎에 부유물질이 부착되어 조류가 고사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배치한다.
일곱째, 작성된 설계도를 바탕으로 실제 시공을 하는 단계이다. 이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작성된 설계도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또는 예비실험을 통하여 현장에 적용 가능한지를 판단하며 비용편익분석법을 통하여 설계도가 경제적으로도 타당한가를 검증한 뒤 실제 시공에 착수하여야 한다. 만약 검증단계에서 문제점이 발생될 경우 다시 목적과 목표를 수정하여 문제점을 해결해야한다. 염습지와 갯벌 시공시 기반의 안정성 확보와 물리적 조건을 검토하여야 하며 안정적 생식기반을 조성하여야 한다. 또한 해수오탁방지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여 시공되어야 한다. 조장의 경우 생물 도입시 인공구조물 또는 기질의 재료 선정에 주의해야 하며 해조류의 생식 최적 수심을 고려하여 마운드와 작은 계단 등을 설치하여야한다.
여덟째, 모니터링 및 평가 단계이다. 모니터링은 조성사업의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단계이다. 복원과 조성의 프로그램에서 대부분 유사한 내용을 포함할지도 모르지만 알맞은 관리를 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단계이다. 연안의 대체서식지 조성 과정에서 포함되어야 할 모니터링 내용은 연안의 대체서식지 기능, 지형과 기반의 안정화, 적정 수질과 저질 환경의 유지, 생물의 생식 상황, 수심변화를 중점적으로 모니터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절차를 실제 조성 사례에 적용하여 검토하여 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절차와 자료들은 연안의 대체서식지 조성 계획 과정에서 절차의 부재에서 오는 혼란의 해소를 부분적으로 해소하며 조성사업에 대한 효율성을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되어지며 대체서식지 조성에 대한 성공률을 증가 시킬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본 연구는 절차의 부재에서 오는 현 상황에서 선행연구로서 기초자료를 제시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Destruction of coastal habitats by development pressure on the shore has been accelerated. Creating Replacement Habitat in coastal area is required to reduce the destruction by environmentally. However, procedural study about progress process for creating Replacement Habitat in coastal area on the shore is lacking in real condition. Therefore, in this study, study of procedure that can be applied in business of creating replacement habitats is achieved. related present condition is grasped and legal procedure is examined to verify the need for creating replacement habitats on the shore. Also, to suggest the procedure of creating replacement habitats, replacement habitats creation, the procedure, the procedure of creating replacement wetland are examine, and then the final result is deduced.
Additional case study is achieved to know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drawn procedure. the procedure of creating replacement habitat on the shore is following step. Firstt, investigation of habitat ecosystem of impact site, second, establishment of purpose and target by function, third, investigation of ecosystem around the expected area, fourth, target habitat choice, fifth, target species choice, sixth, plan creation, seventh, construction, eighth, monitoring and estimation. Also, through procedure with case study, it can be used actually at the business of creating replacement habitat on the shore, contributed to prevent confusion that come from absence of procedure in business and improve economic and time efficiency. Therefore, the procudure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creating replacement habitat on the shore, increase efficiency and improve the confusion from the procedure of creation plan of replacement habitat. Creating Replacement Habitat in coastal area is required. However, the procedural study about the progress process to create replacement habitat on the shore is lacking in real condition. Therefore, the study about the procedu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business of creating replacement habitat on shore is achieved.
Author(s)
곽혜민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연안 대체서식지 조성 절차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78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929
Alternative Author(s)
Kwak, Hye Mi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생태공학과
Advisor
이석모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1. 연안역(Coastal area) = 3
가. 연안역(Coastal area)의 정의 = 3
나. 연안역의 특성 = 4
다. 연안 서식지 및 생물 = 7
라. 우리나라 연안역 이용 현황 = 15
2. 대체서식지(Replacement habitat) = 16
3. 서식지 및 대체습지 조성 = 17
가. 서식지 조성 = 17
나. 대체습지 조성 = 21
Ⅲ 연구 방법 = 25
1. 현황파악 및 관련법 검토 = 25
2. 연안 대체서식지 조성 절차 = 25
3. 연안 대체서식지 조성 세부 절차 도출 = 26
4. 적용연구 = 26
Ⅳ. 결과 및 고찰 = 28
1. 현황파악 및 법적 절차 = 28
가. 현황파악 = 28
나. 법적절차 = 29
2. 연안 대체서식지 조성 절차 = 33
3. 연안 대체서식지 조성 세부 절차 = 37
가. 기존 서식지 생태계 조사 = 39
나. 목적과 목표 설립 = 40
다. 조성 예상 지역 생태계 조사 = 41
라. 조성 대상 서식지 선정 = 42
마. 조성할 환경에 대한 대상종의 선정 = 44
바. 설계도 작성 = 47
사. 시공 = 59
아. 모니터링 및 평가 = 62
4. 사례적용 = 63
가. 기존 연안서식지 생태계 조사 = 64
나. 목적과 목표의 설립 = 64
다. 조성 예상 지역 생태계 조사 = 65
라. 대상 서식지 선정 = 66
마. 대상종 선정 = 66
바. 설계도 작성 = 67
사. 목적과 목표수립 = 68
아. 적용검토 = 68
Ⅴ. 결론 = 71
참고문헌 = 74
Appendix = 78
감사의 글 = 86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생태공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