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영국영어와 미국영어의 어휘 차이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Usage Differences Between British and American English : in BBC and CNN News Internet Sites
Abstract
지금까지 문헌연구 자료들과 함께 BBC와 CNN NEWS에서 실제 영국인과 미국인의 어휘 선택상의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한 것을 종합하면 아래와 같다.
영어의 형성과 방언에서 우선 영국영어의 기원과 방언으로 449년 앵글로 색슨족이 영국 섬에 침입한 이 후 영국영어는 좁은 면적에 비해 지역적으로 방언의 차이 많았으며, 신조어나 철자 개혁 등에 다소 뚜렷한 보수적인 면과, 규범적이고 전통적인 성향을 띠고 있었다. 다음은 미국영어의 형성과 방언의 특징으로 1620년 제임스타운에 102명의 영국 청교도들이 착륙한 이후 새로운 미국적인 생활양식의 특수성, 여러 다른 민족과의 접촉, 진취적인 개척정신 등으로 말미암아 특이한 언어적 성격과 성장 발달 과정으로 인해 독자적인 특성을 가지면서도 영국에서 유행하고 사라진 어휘를 그대로 사용하는 보수적인 특성이 있었다. 미국영어의 방언은 그 사용 영역이 광활한데도 지역 간의 방언의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 동질성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BBC와 CNN NEWS에서 어휘 사용 분석을 한 결과는 양 방송뉴스에서 양국민의 어휘선택에 차이가 있었으나, 일부는 의미의 차이를 두지 않고 같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BBC에서 의미의 차이 없이 같이 사용된 미국영어(private school, president 등 16개)들과 CNN에서 나타난 영국영어(estate agent, garden등 5개)들은 주로 해외 특파원들이 쓴 기사이거나 해외뉴스를 다룰 때 사용되었다. 그리고 BBC(영국영어와 미국영어가 같이 사용된 경우: public school/private school외 14개 어휘)는 CNN(미국영어와 영국영어가 같이 사용된 경우: real estate agent외 4개 어휘)보다 상대방의 방언을 의미의 차이 없이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양 방송에서 빈도수 조사에서 나타난 양 국민의 어휘선택상의 차이를 보면 BBC에서 전부는 아니지만 일부 어휘를 점차로 미국영어 어휘와 의미 차이를 두지 않고 같이 사용하고 있었다. CNN은 어휘선택에 있어 일부는 영국영어 어휘와 의미 차이 없이 같이 사용하고 있었지만, 대부분의 영국영어와 미국영어 어휘를 뚜렷하게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BBC뉴스에서 의미에 구분 없이 같이 사용했던 동의어들 중 빈도수가 높았던 어휘(‘경찰관'의 constable과 police officer, ‘사립학교'의 public school과 private school, ‘육상경기'의 athletics와 track and field)들을 더 이상은 영국영어와 미국영어로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방언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조사결과로 김인숙(2000)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두 방언간의 어휘사용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가 있다고 하고 있으나, 필자가 2008년 7월 두 방송사에 뉴스를 보고 분석한 결과는 두 방언간의 어휘사용에 있어서 큰 구분 없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 세계를 카바하는 최근의 BBC, CNN 등 방송의 영향과 인터넷의 발달로 TV, 영화, 신문 등을 양 국민들이 손쉽게 접촉할 수 있게 된 점이 양 방언의 어휘선택에 있어서 차이점을 좁혀진 결과로 해석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usage differences between British and American English by investigating vocabulary choices between the British and the Americans in BBC and CNN News internet si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come aware of the bilateral English differences and help in-depth learning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usages of English.
First, I investigat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division of English into British and American dialects and the development of usage differences between British and American English, based on a previous study.
The main part of this study, I selected BBC and CNN news and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use to find out the British and American usage differences in synonym. I extracted 50 synonyms from the different vocabulary which In Suk, Kim investigated in 2000, and examined the frequency.
As the result, I found the British sometimes adopt American vocabulary gradually without a difference in meaning and the American adopt British vocabulary without changing meaning much less often while In Suk, Kim insisted that the British and American choose different usage. That is, the British chose American usage without changing meaning in BBC and the Americans chose British usage without changing meaning in CNN.
Author(s)
안태현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Keyword
영국영어와 미국영어의 어휘 차이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793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933
Alternative Author(s)
Ahn, Tae Hyu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Advisor
배재덕
Table Of Contents
제 1장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한계점 = 2
제 2장 영어의 형성과 방언 = 4
2.1 영어의 기원 = 4
2.2 영국영어의 방언과 특징 = 6
2.3 미국영어의 형성배경 = 9
2.4 미국 영어의 방언과 특징 = 11
제 3장 영국인과 미국인의 어휘 선택상의 차이 = 16
3.1 일반 어휘 사용상의 차이 = 17
3.2 차용어 = 28
3.2.1 영국영어에서의 차용어 = 29
3.2.2 미국영어에서의 차용어 = 31
3.3 신조어 = 34
3.3.1 영국영어에서의 신조어 = 34
3.3.2 미국영어에서의 신조어 = 36
제 4장 BBC NEWS와 CNN NEWS에서 어휘 선택 분석 = 41
4.1 조사 분석 방법 = 41
4.2 BBC와 CNN NEWS에서 실제 어휘 사용 조사 = 42
4.2.1 BBC NEWS에서 빈도수 조사 = 43
4.2.2 CNN NEWS에서 빈도수 조사 = 55
제 5장 결론 = 66
참고문헌 = 68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