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의 미래 표현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English Future Expression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 Abstract
- 본 논문은 영어 미래 표현의 일반적 분포상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에서 사용된 영어의 미래 표현들을 수집하고 용법별로 분석하여 전체적인 사용 빈도를 파악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실들을 파악하였다.
미래 표현으로 사용된 유형으로는 will, shall, can, must, may, should 등을 이용한 서법조동사, be going to, 단순 현재형, 현재 진행형, will+진행형, 그리고 be to, be about to, be scheduled to 등과 같은 표현들이 있었는데, 그 중에서 will이 전체 3,498토큰의 약 74%에 해당하는 2,564토큰이 사용되어 미래를 나타내는 가장 전형적인 표현 방법임을 보여주었고, 또한 will은 구어체, 문어체에서도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be going to와 현재 진행형은 각각 362토큰과 152토큰이 나타났는데, 이들은 각각 80%인 289토큰, 91%인 139토큰으로 주로 구어체에서 사용되었으며, will/ shall 이외의 can, must, may, should는 전체 82토큰 중 74%에 해당하는 61토큰이 문어체에서 사용되었다. 그리고 will + 진행형, be to와 be about to는 1% 미만으로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에서는 아주 낮게 나타났다.
각 미래 표현을 용법별로 그 빈도를 조사해 본 결과 will은 주로 '예측'과 '의지'로 사용되었는데, 약 6:4의 비율로 '예측'이 많이 사용되었다. will/shall 외에 can, may, must, should는 빈도가 아주 낮게 나타났다. be going to는 '현재 의도에 의한 미래'가 83%의 빈도로 이 용법이 be going to의 전형적인 용법임을 보여주었고, 현재 진행형은 '분명하게 주선된 가까운 미래'의 의미로, 미래를 나타내는 부사구 또는 문맥 속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동작과는 확연하게 구별되어 사용되었다. 단순 현재형은 독립절, 어휘 동사, 조건절이나 시간 부사절 속에서 사용되었는데, 조건절과 시간 부사절에서는 약 80%의 아주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용상, 빈도상의 특징을 바탕으로 영어의 미래 표현들에 대한 적절한 지도 방안을 다음과 같이 모색해 보았다.
첫째, 영어에는 will 이외에도 미래를 나타내는 표현들이 다양함을 인식시키고, 둘째, 미래 표현 간의 용법상 차이점, 특성 등을 분명하게 이해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서에서 빈도가 낮게 나타난 미래 표현에 대해서는 드라마와 영화 대본, 광고지, 신문 등과 같은 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실질적이고 적절한 예문 등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영어에서 다양하게 전개되는 미래 표현들이 어떠한 용법과 문맥 속의 기능을 가지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올바르게 사용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길 바란다.
This study provides the distributional tendencies of the future time expressions by analyzing the total 3,498 tokens extracted from th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To summarize, the expression will constructions appear in 73.4% of all tokens, mostly meaning 'prediction' and be going to 10.3%, mainly used for 'the future resulting from a present intention'. The expressions meaning 'already arranged future' are used by the constructions of progressive aspect and present simple, used as 8.6% and 4.4% respectively. Other expressions, such as will + progressive aspect, modal auxiliaries can, may, must, should etc., and be to, be about to are also used in the textbooks, but their frequencies are less than 4%.
It is shown that be going to and present progressive aspect are mainly used in spoken language, while modal auxiliaries except will/shall and will + progressive aspect are generally used in written language.
These findings reflect that there are various constructions to express future time in English, including auxiliary will constructions. Consequentl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each expression has its own future particular meaning and function, for which the authentic materials should be provided teaching future expressions which appear even at low frequency.
- Author(s)
- 하진홍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미래 표현
- Publisher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79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935
- Alternative Author(s)
- Ha, Jin-ho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 Advisor
- 전춘배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1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1.2 연구의 구성 = 2
Ⅱ. 이론적 배경 = 3
2.1 영어의 미래 표현 = 3
2.2 선행연구 = 12
Ⅲ. 자료 분석 및 논의 = 14
3.1 자료 출처 및 분석방법 = 14
3.2 분석 결과 및 논의 = 16
3.2.1 will/shall = 18
3.2.2 can, may, must, should = 23
3.2.3 be going to = 25
3.2.4 현재 진행형 = 26
3.2.5 단순 현재형 = 27
3.2.6 will + 진행형 = 29
3.2.7 기타 표현 = 30
Ⅳ. 미래 표현의 지도 방안 = 32
4.1 유형별 비교에 따른 지도 = 32
4.1.1 will과 be going to = 32
4.1.2 be going to와 현재 진행형 = 35
4.1.3 현재 진행형과 단순 현재형 = 38
4.2 미래 표현의 지도 방안 = 39
Ⅴ. 결론 및 제언 = 41
참고문헌 = 43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