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오규원 시에 나타난 여성성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Femininity of O Gyu-won's Poems
Abstract
오규원은 언어로써 언어를 초월하려는 현대시의 정신을 가장 잘 보여준 시인이었다. 그의 시세계는 익숙한 문체를 배제하고 독특한 문법으로 해체되고 변형되며 재구성되기도 했다. 때로는 살바도르 달리의 그림처럼 초현실적이기도 했고, 상당히 경쾌한 리듬에 의존하면서 일상적으로 보고 들을 수 있는 언어와 시청각적 이미지들로 가득 차 있다. 또한 감각적 신체의 묘사는 당황스럽기도 했다. 그리고 시가 사회의 부조리를 개선하는 데 일익을 담당해야 한다고 믿는 시인들을 비웃으며, 오규원 특유의 유머 감각으로 통념이며 윤리 따위를 넘어서려고 애썼다.
그의 작품을 1970년대 전?후를 비교해 보면, 내면세계로부터 바깥세상으로의 외출이라고 할 수 있으며, 산업사회가 진전되면서 점차 물신이라는 거대한 괴물이 이 사회를 덮치는 것을 보여주기도 한다. 오규원은 독특한 유머센스를 견지한 채, 이드와 에고의 세계를 자유롭게 왕래하며 무의식의 세계에까지 자유의지의 영역을 확대한 시인으로 평가된다.
오규원이 현대시사에서 특별한 주목을 받았던 것은 시적 변모에 대한 담론을 시인 자신이 개시했다는 것이며, 그러한 시적 변모가 20세기 후반기에 일어난 세계 사상의 인식의 전환과 상통했던 것이다. 게다가 오규원은 시를 ‘보는 행위’로 앞세우고, 본 것을 언어로 옮김으로써 제작한다는 것이다. 그는 순수하지 못한 시각이 관습화되어 있는 언어는 관념의 때가 묻어 있다고 한다. 즉 관습화된 시각과 때 묻은 언어를 넘어서서 대상을 순수하게 드러내는 것이 오규원의 일관된 시적 지향이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오규원 시에 나타난 여성이미지와 관련하여 작품의 주를 이루는 관능적 감각적 시각의 왜곡된 표현이 작가 개인이 가진 여성관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문학작품에 대한 정신분석적 접근은 작품에 묘사된 문장 속에서 정황을 파악하고, 시인의 생애와 관련해서 작품에 접근해야 한다는 점에서 다소 조심스러운 점이 있었다.
선행연구들이 주로 오규원의 ‘언어’와 관련된 실험적 탐구나 변모 과정 또는 시작방법론에 대한 아이러니나 패러디 기법에 집중되어 있었던 반면, 그의 생애와 관련된 정신분석적 접근은 없었다. 정신분석적 접근은 고고학자가 도시의 매몰된 유물을 탐구하듯 ‘매몰된’ 유년기를 탐구함과 같다는 프로이트의 표현처럼 작가의 세계관까지도 이해하게 되는 의미 있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오규원 시에 대한 정신분석적 접근은 그의 생애와 관련하여 볼 때, 시인이 유년에 겪었던 모친상실을 원인으로 일생에 커다란 그림자를 드리웠던 것을 알 수 있다.
프로이트는 인간은 태내에서 어머니의 신체와 공생하던 삶에서 태내 밖의 대기에서의 삶, 외부와의 의존적인 삶으로 바뀌게 되는 출생 순간부터 죽음의 불안을 접한다고 보았다. 또한 무의식중에 지배하는 모든 불안에 대한 최초의 숨겨진 상징도 되며, 그런 이유로 인간성에 내재된 안정을 희구하는 보수적 성질의 근원을 알게 한다는 것이다.
갑작스런 어머니의 죽음과 함께 경제적 여건마저 좋지 않아 친인척 집을 떠돌아야 했던 그의 “뿌리 뽑힌 삶”은 그의 성장과정에서 단지 소망처럼 꿈꿔왔던 것으로 알 수 있다. 이러한 소망들이 충족되지 못하면 자기중심적 관점에서 여성을 비하시키거나 관능적으로 바라보게 된다. 또한 “어머니가 셋”이라는 사실과 “자식을 바닥에 내려놓”은 현실은 오규원 시인에게 부친에 대한 “부정적 세계관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오규원 시인이 성장기에 감당해야 했던 이러한 내면은 그가 독특한 시적세계를 치열하게 추구해왔던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 여성성에 대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이론으로 볼 때, 남성이나 여성 모두에게 어머니는 최초의 강력한 사랑의 대상이 되며, 어머니가 자신과 분리된 것이 아니라 자신들과 연결된 일부분으로 알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 바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관련되어 있음을 시의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오규원 시에 나타난 여성성을 중심으로 그의 중기시를 분석해 보면, 첫 번째, 욕망의 대상으로서의 여성성은 오규원에게 욕망의 대상은 ‘소유’에서의 ‘결여’로 그의 유년시절 결핍된 모성의 충족될 수 없음이 작품에 투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순수지향의 여성 이미지 작품들은 시인이 추구하는 지향성만 다를 뿐, 여성 신체부위를 사물화 시켜 관능적이며 육감적으로 다루었다. 시인은 그것을 사물의 본질은 순수해서 부끄럽고 철없기에 장난을 좋아한다고, 그 내면에 소망하고 있는 순수지향의 여성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라캉에 의하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형성과 나란히 진행하는 상징계의 진입 과정에서 환상성이 생겨난 것으로 보았다. 오규원은 이 단계에서 억압되어 정지되었던 모성에 대한 환상이 무의식속에 그가 바라는 여성을 순수의 대상으로 꿈꾸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다루었던 여성이미지 작품들은 시인이 자신의 내면에 간직한 여성성과 관련된 상처를「楊平洞. 3」을 통해 “그늘 밑의 삶”이라는 은유적 표현의 행복하지 못했던 삶의 회상과 함께 스스로 치유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승화된 여성성을 통해 오규원은 ‘자연’ 혹은 ‘고향’의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승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오규원 작품의 관능적 감각적 추상적 여성이미지 특징을 라캉의 이론에서는 오규원의 무의식 속에 여성(모성)원형이 환상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라캉의 거울단계에 기초를 둔 인간 주체에 대한 이론에서도 시인이 갖는 모성의 환상성과도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개념과 관련하여 그의 모순된 여성이미지가 그가 추구하고자 했던 내면의 잠재된 무의식과 관련하여 현실과의 괴리에서 오는 특징이라고 결론짓는다.
또 다른 관점에서 오규원에게 비춰지는 여성(모성)이미지는 그가 꿈꿔왔던 내면의 여성(모성)관과 그의 시적 방법의 대응과정인 물신시대의 도구화된 여성이미지와 접목되어 독자들로 하여금 시를 이해하는데 오해의 소지를 불러일으키게 한다는 점과, 이와 관련된 논문도 있지만 페미니즘관점에서 논쟁이 될 문제점을 안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또 하나의 긍정적 관점에서 왜곡된 여성이미지의 특징은 그의 중기 시작 방법인 아이러니와 패러독스의 기법을 통한 “자본주의화, 산업화로 표상되는 상대의 억압성에 대한 방법적 대응의 과정”에 여성의 존재를 언어와 동일시하여 대비시킨 것으로 보았다. 즉, 그러한 그의 언어관은 여성을 언어화 도구화하여 물신시대의 모순을 짚어내고자 하는 시도였다.
언어에 대한 자의식으로 오로지 언어에만 매달려온 삶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오규원의 시작법은 새롭고 창조적인 지향점을 찾고자 노력했던 점에서 본받을 만하다. 게다가 타락한 세상을 읽어내는 오규원 시인의 언어를 매개로한 실험정신에 감탄을 금할 길이 없다.
여성의 신체를 상품화의 도구로 언어화하여 함부로 다뤘다는 문제점을 있으나, 현실을 있는 그대로 쓰는 글쓰기 보다는 경험적 현실의 새로운 각도에서 사회의 허구를 간파해 낼 수 있었다는 데는 높은 점수를 매겨야 할 것 같다.
현대는 산업화와 물질문명이 이룩한 소비 중심적 쾌락의 추구는 여성들로 하여금 성에 대해 적극적이고 개방적인 태도를 갖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문화라는 이유로 별다른 비판 의식 없이 우리는 휩쓸려가고 있었던 것이다. 오규원의 작품에서 여성이미지를 오도할 수 있는 요지는 있으나,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개념들이 정해진 틀에 의해 정의 내려야 할 것만은 아닌 것 같다.
유년의 모성결핍에서 오는 상처로 오규원 시인에게는 어머니라는 존재가 간절하고 절실했기에 평소 남다른 예민함으로 언어실험과 내면탐구에 주축이 되어 사회의 모순을 간파해 낼 수 있는 투시력을 갖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Oh Gyu-won is a poet who express the best spirit of modern poetry, which is to try to transcend language with language. His poetic world is meaningful in two ways: One is to show us the possibility and achievement of modernism based on the socialistic imagination. The other is to direct us to a new vision for a future poetic circle by writing raw image's poetry using metonymy in his latter period. To prove this judgement, most research focuses on his technical approach, from study of language structure to transformation of raw image's poetry, and his poetic consciousness.
Oh is regarded as a poet who ponders language and nature, but among his works about woman's image most female characters are described as objects of lust or sensual and abstract ones. He also illustrates them as tools and merchandise in the stream of capitalism. It is believed his view of Femininity originated in his hurt at losing his mother at an early age. Thus, in this research, his contradictory view of Femininity in his works, related to his real life, is analyzed.
Oh is known to be very conscious of picking his poetic words. So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in his middle period poems it'll suggest to us another interpretation of Oh's intention. Through paradox and ironic method in the middle periods, image of woman in these days is depicted as a great mother in order to cope with the oppression of capitalism and industrialism.
To analyze the woman's image in a psychoanalytical way 'To a child, not a prince', ' Lyric poetry created in this world', ' Sometimes my life would like to be watched' and 'Prison of love' are picked and related texts are extracted. In brie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view point of Freud, Mother could be the first and strong subject for both men and women. Mother is not separated, but a part connected to them. How to solve this problem is involved in the Oedipus complex.
Second, a woman's image as an object of lust is reflected in his lacking a possession that nothing can substitude. It shows the loss of his mother in youth.
Third, the works showing woman's purified image contain the author's different intentions, but still objectifies woman's body as sensual and hot. Oh reveals his purified woman's image inside him, saying that the essence of a thing is pure, shy but indiscreet, and playful. According to Lacan, an illusion is created in the meeting of an Oedipus Complex and symbolic system's appearance. On this level, we notice his oppressed and blocked fantasy for motherhood comes as dreams of the pure woman he wishes for in his subconscious.
Fourth, in ' Yangpeyondong 3', one of the works which has an image of cure and motherhood, Oh shows his hurt caused by woman, using the metaphor ' a life under a shade' to mean a reminiscence of unhappy life' and healing by himself. Also by adorning the sublime woman with nature or hometown, Oh shows us sublimity.
Seeking pleasure from spending on material goods in a modern society leads woman being more open to sex. And in the name of culture, it flows well without any judgement. Oh's works have some factors to distort woman's image, but every notion in the world need not be defined in the same mould. It is meaningful that the scar from lack of mother in his youth makes Oh so eagerly yearn for mother .And he developed an eye for the society's contradiction with his sensitivity, experimenting with language use and searching for inner self.
Being influenced by his own life, Oh has a male centered view point toward woman. However, the base of woman's image in his poems is to sublimate maternity with nature, from the point of view that reflects a lack of maternity.
Author(s)
김미선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Keyword
raw image's poetry femininity maternity paradox oedipus complex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797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937
Alternative Author(s)
Kim, Mi Su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조동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 목적 = 1
2. 연구사 검토 = 5
3. 연구방법과 연구범위 = 9
Ⅱ. 여성성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론 = 14
1. ‘언어’화된 여성의 ‘몸’ = 15
2. 모성 결핍에 의한 ‘욕망’ = 18
3. 근원적 원형으로서의 ‘모성’ = 22
Ⅲ. 오규원 시에 나타난 여성성 = 25
1. 욕망의 대상으로서의 여성성 = 25
2. 순수의 여성성 = 33
3. 치유와 모성으로서의 여성성 = 45
Ⅳ. 결론 = 59
참고문헌 = 63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