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YONG

우리나라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수출국간의 가격경쟁구조 및 환율변화가 수출가격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Price Competition Structureand the Change of Exchange Rate on Foreign Fisheries Exporting Prices In Korea`s Fisheries Import Market
Abstract
우리나라 수산물 수입의 경우, 국가전체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지만 점점 그 수입액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외식산업의 발달과 웰빙(Well-Being) 열풍으로 인해 수산물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수산물 수입시장은 각 품종마다 특정 몇몇의 국가에서 주로 수입해오는 과점시장의 형태를 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에 착안하여 과점 경쟁을 하고 있는 우리나라 수산물 수입시장의 가격 경쟁 구조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각 수출국들이 차지하는 시장점유율에 따라 환율과 경쟁국가의 가격에 대해 받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실증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는 우리나라가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주요 수출국들의 각 품종별 가격과 그 경쟁국들의 수출가격, 수출국 통화 1 단위당 원화의 교환비율인 원화표시 환율을 사용했다. 1997~1998년에 있었던 IMF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1999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총108개의 표본을 사용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주요 수산물 수입어종은 냉동조기, 냉동갈치, 냉동아귀 인데, 각 각의 경우에 대한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냉동조기 수입시장의 경우, 냉동조기를 주로 수출하는 국가는 중국, 베트남, 일본, 러시아, 카메룬 등이 있는데, 이들 중에서 중국이 우리나라의 수입 냉동조기 시장에서 약 99%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러시아, 카메룬의 자료가 실증분석을 할 만큼 충분한 자료가 존재하지 않았기에, 중국과 베트남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국은 냉동조기의 가격 선도자(Price Leader)로서 베트남은 중국의 가격에 반응하는 가격 추종자(Price Follower)의 모습으로서 이 두 나라는 Leader-Follower의 관계에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중국의 수출가격이나 베트남의 수출가격은 한국의 조기의 가격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시장 점유율이 큰 중국의 경우, 베트남의 가격보다 자체 환율의 영향에 더 크게 영향을 받았고, 시장 점유율이 낮은 베트남의 경우, 환율보다 시장점유율이 더 큰 중국의 가격에 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을 하였다.
우리나라 냉동갈치 수입시장의 경우, 냉동갈치를 주로 수출하는 국가는, 중국, 인도네시아, 일본, 인디아, 파키스탄, 베트남 등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시장점유율이 높은 중국을 포함하여, 중국의 가격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도네시아, 베트남의 수출가격의 가격경쟁 구조와 환율전가도를 살펴보았다. 실증 분석 결과를 통해,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중국의 수출가격은 다른 수출국들의 수출가격 변화율보다 환율변동에 더 큰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시장점유율이 낮은 수출 국가들은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중국의 수출가격변화에 대체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장점유율이 비슷한 인도와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와 일본, 인도와 베트남의 수출가격변화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우리나라의 냉동갈치 수입시장에서 서로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경쟁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중국의 경우, 환율전가도는 1보다 크기 때문에 완전전가가 나타났다. 중국, 파키스탄, 베트남의 경우를 제외한 시장점유율이 낮은 국가의 가격은 환율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냉동아귀 수입시장의 경우, 냉동아귀를 수출하는 국가는 중국, 미국, 캐나다, 브라질, 남아프리카이다. 대체적으로 미국의 냉동아귀 수출가격변화에 나머지 수출국가의 가격이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냉동아귀의 경우도, 앞의 냉동조기, 냉동갈치와 마찬가지로 시장점유율이 높은 수출국가의 가격 결정행태를 나머지 시장점유율이 낮은 국가가 따른 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미국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른 수출 국가들의 가격은 환율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국의 냉동아귀수출 가격의 환율전가도는 다른 품종과는 달리 낮았다. 이는 미국의 냉동아귀 수출가격이 다른 국가의 가격들보다 월등히 높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를 초래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실증분석 결과, 일부 예외적인 부분들이 있긴 하였지만, 대체적으로 시장점유율이 높은 수출 국가는 다른 수출국가의 가격의 변화 보다, 자체 환율변동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였고, 시장점유율이 낮은 수출 국가는 자체 환율변동 보다는 시장점유율이 높은 수출국의 가격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여 가격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장점유율이 비슷한 국가들 사이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격설정전략을 나타내었다. 즉, 한 수출국가가 가격을 상승(하락)하면, 다른 경쟁국은 가격을 하락(상승)한다. 대부분의 수출 국가는 우리나라 수산물 가격에는 대체로 큰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수출 국가는 우리나라 가격보다 다른 수출국가의 가격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수산물을 수출하는 국가들의 수산물 가격 정보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우리나라가 수산물을 수입할 때, 좀 더 유리한 방향으로 수입가격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또한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특정 수출국이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을 통해, 다양한 국가로부터 수산물을 수입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수출국들이 가격을 결정할 때, 환율의 영향 뿐만 아니라, 수출국 사이에 나타나는 가격 경쟁 구조(시장점유구조)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데 있어 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경쟁구조(시장점유구조)의 차이에 따라서 환율보다 경쟁국의 가격이 수출가격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은 이 연구의 조그만 성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Korea`s economy concerns the second money crisis because of the rapid increase of the exchange rate. The Korea`s economy which is very dependent on the foreign trade is more sensitive to the change of exchange rates. There are many literatures which analyze the effects of variations of the exchange rates on the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such as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IT(Information Technology). But there have been no studies which try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variations of exchange rate on the primary industries, especially, fisheries` industry.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effect of price competition structure and the change of exchange rate on foreign fisheries exporting prices in Korea`s fisheries import market. This study utilizes OLS(Ordinary Least Squares Analysis) and VECM(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for the analysis in the market of frozen yellow corvina, hairtail, angler fish which are major fisheries importable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exporting country which has the highest market share is more sensitive to the change of the exchange rates itself than that of the other exporting countries` price when it starts to set up its exporting price. And the exporting countries which have low market share are more sensitive to the change of price which country has the highest market share than that of price whose countries have low market share and those of their exchange rate.
Also we can find out that the countries which have similar market share try to set up price -setting strategy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other words, one country tries to bid up its price, other countries response to rival country by lowering their prices.
In the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most exporting countries aren`t affected by Korea`s fisheries` prices, the exporting countries in Korea`s fisheries import market are more sensitive to the prices of other exporting countries than that of Korea`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price leader-follower model could be applicable to the Korea`s fisheries import market.
Author(s)
임은선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Publisher
부경대학교 대학원
URI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79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939
Alternative Author(s)
Lim, Eun Son
Affiliation
부경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
Advisor
김기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1.3 논문의 구성 = 3
Ⅱ. 선행연구의 고찰 = 4
2.1 환율 전가에 관한 선행연구 = 5
2.2 수산물 국내가격결정구조에 관한 선행연구 = 16
Ⅲ.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입 동향 분석 = 20
3.1 최근 수산물 총 수출입의 동향 분석 = 20
3.2 수산물 시장에 있어 주요 수입국별 및 주요 어종별 수입동향분석 = 23
Ⅳ. 실증분석의 이론적 기초 = 36
4.1 과점시장에서 가격경쟁모형 이론 = 36
4.2 수입가격에 있어서 환율전가에 관한 이론 = 39
4.3 수출가격 함수 추정에 관한 이론 = 44
4.4 수출가격 함수를 추정하기 위한 시계열분석 = 46
Ⅴ. 추정모형의 제시 및 실증분석 = 53
5.1 변수설정 = 53
5.2 함수추정식 = 55
5.3 자료수집 및 분석 = 56
5.4 단위근 및 공적분 결과 = 59
5.5 함수추정결과 = 68
Ⅵ. 결론 = 88
6.1 요약 및 시사점 = 88
6.2 연구의 한계 및 향후과제 = 91
《참고문헌 》 = 92
Degree
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FTA비즈니스전공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