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택의 「시골선비 조남명」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Rural Scholar Cho Nam-Myung」 written by Lee, Yoontaek
- Abstract
- 본 연구는 다양한 작품 속에서 다양한 지식인의 모습을 그린 이윤택의 희곡 「시골선비 조남명」에 나타난 지식인의 역할을 분석 하였다.
제1장에서는 문제제기를 하고, 제2장에서는 작품의 인물과 구조를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희곡 속에 나타난 지식인의 역할을 분석하여 이윤택이 나타내고자 한 지식인 상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제2장에서 등장인물과 구조를 분석하였다. 등장인물을 분석하기 전에 실존 인물인 조남명의 일대기를 작품화하였기 때문에 먼저 조남명의 생애를 고찰하였다. 조남명의 생애를 살펴보았다. 남명은 1501년 경남 합천에서 태어났으며, 25세 때 『성리대전』을 읽고 학문에 전념하여 내면적인 공부를 하였다. 30세에 김해로 이사를 하여 ‘산해정’을 짓고 학생들을 가르쳤다. 37세에 세상 도리가 날로 혼탁함을 보고 과거 공부를 포기하였고, 48세에 합천으로 돌아와 ‘계부당’과 ‘뇌룡사’를 세워 후진을 양성하였다. 61세에 진주 덕산의 사륜동으로 옮겨 많은 영재들을 가르쳤다. 이곳에서 길러졌던 제자들이 국난을 당했을 때 나라를 지키기 위해 의병으로 활동하였다. 남명은 선비로서 출사는 하지 않았지만 교육자로, 잘못된 사회의 비판자로, 실천가로서의 삶을 산 지식인임을 알 수 있었다.
등장인물은 수리오(E. Souriau)가 제시한 극 속에서 담당하는 기능을 기준으로 소망자, 조력자, 적대자, 결정권자로 나누어보았다. 소망자는 인물의 내면에 구체화된 목표를 가지고 있고, 목표를 갈구하는 인물이다. 잘못된 세상을 바르게 하기 위해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인 세상에 대한 상소문을 쓰겠다는 소망을 가지고 있었고, 죽음을 각오하고 상소문을 쓴 남명이 소망자라 할 수 있다. 조력자는 다른 기능의 등장인물 중 한 인물과 이해를 같이 하는 인물이다. 시골선비인 남명이 세상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하였고 상소문을 쓸 때 남명의 뜻을 펼칠 수 있도록 격려한 아내를 조력자라 할 수 있다. 적대자는 목표지향력에 반하는 입장의 인물로 소망자를 방해하는 인물이다. 실질적인 권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 권력을 이용하여 세상을 어지럽히고, 상소를 올린 남명에게 벌을 주기를 청하는 문정왕후, 윤원형이 적대자에 해당된다. 그리고 주인의 권력을 믿고 남명에게 횡포를 부린 윤원형의 하인들이 적대자에 해당된다. 결정권자는 소망자와 적대자 사이의 갈등을 결말지을 수 있는 인물이다. 남명의 상소에 대해 죄를 묻지 않겠다고 결말을 짓는 명종이 결정권자에 해당된다.
작품의 구조는 프라이탁의 오부설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구조 분석과 함께 각 단계의 중요 사건을 전기적 사실과 비교분석하였다. 도입부에서는 산중독서인으로 삶을 살아가는 남명의 모습이 제시되어 있었다. 산중독서인으로 살아가는 남명에게 헌릉참봉이라는 벼슬이 제수된다. 남명을 헌릉참봉의 벼슬에 천거한 이언적과 남명의 관계를 살펴보면, 이언적은 조남명을 종9품 헌릉참봉에 천거하였지만 조남명은 자신에 대해 알지도 못하면서 다른 사람의 이야기만 듣고 임금에게 천거한 것은 잘못이라고 하였다. 『해관서문답』을 봐도 실제로 조남명이 이언적에 대해 우호적인 생각을 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윤택은 이언적의 긍정적인 면을 희곡 속에 담고 있다. 이는 조남명의 시선으로 이언적을 바라본 것이 아니라 이윤택의 시선으로 이언적을 바라보았기 때문이다.
상승부에서는 무력한 생활인의 모습, 학자의 모습, 세상으로부터 멸시를 당하는 모습, ‘경의사상’을 강론하는 당당한 모습, 이지함에게 핀잔을 받고 자신의 잘못을 깨우치는 모습 등 남명의 다양한 모습이 나타나 있었다. 조남명은 평소에 스스로를 경계하고 반성하기 위해 칼과 방울을 차고 다녔다. 남명은 현실에 대해 비판하는 힘을 ‘칼’로 나타냈고 이윤택 역시 조정의 정치를 향해 있었던 비판의식을 ‘칼’의 바른 쓰임으로 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남명은 겉 차림새에 신경을 쓰지 않았지만 주막에서 청년들에게 수모를 당한 뒤에 내용에 걸맞는 형식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이윤택은 남명이 봉변을 당한 사건을 희곡 속에 나타내고 있지만 봉변을 당한 장소나 청년들의 신분에 대해서는 사실과 다르게 표현하고 있다. 장소를 부산으로 설정한 것은 이윤택 자신이 친숙하게 느끼는 공간을 희곡 속에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청년들의 신분을 윤원형의 하인으로 설정한 것은 조남명이 살았던 당시의 권력층의 횡포뿐만 아니라 현대 권력층의 횡포를 강조하기 위해서 이다.
정점부에서는 을사사화로 인한 당시 사회의 어지러운 모습과 죽음을 각오하고 상소문을 올리는 남명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조남명이 단성소에서 신하들의 어려움에 대해 고하였지만 이윤택은 신하들의 어려움에 대해 말하지 않았다. 조남명은 인재를 제대로 등용하지 못한 결과로 신하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왕이 인재를 제대로 등용한다면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윤택은 현대는 왕정시대가 아니고 한 사람에 의해 사회를 바꿀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신하들의 어려움을 말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파국부에서는 남명의 상소에 대해 죄를 묻지 않겠다는 명종의 결단이 나타나 있었다. 단성소를 읽은 후 명종은 남명의 죄를 묻지 않겠다고 직접 밝혔지만 이윤택은 대사로 처리하였다. 희곡 속의 명종은 문정왕후와 윤원형의 말을 그대로 반복하였다. 이는 명종이 자신의 의지대로 국정을 운영한 것이 아니라 문정왕후와 윤원형의 영향을 많이 받아 국정 운영하였음을 말하고 있다.
구조 분석을 통해서 이윤택이 정점에 나타난 남명의 상소문을 올리는 행위를 부각시키기 위해 상승부에 무력한 생활인의 모습, 학자의 모습, 세상으로부터 멸시를 당하는 모습, ‘경의사상’을 강론하는 당당한 모습, 이지함에게 핀잔을 받고 자신의 잘못을 깨우치는 모습 등 다양한 모습을 나타냈음을 알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이윤택이 나타내고자 한 남명의 모습과 희곡 속 남명의 모습을 통해 나타난 지식인의 역할이 무엇인지 분석해보았다. 「시골선비 조남명」에 나타난 지식인의 역할은 학자로서, 비판가로서, 실천가로서의 역할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자로서의 지식인의 모습은 글을 읽는 남명의 모습에서 찾을 수 있다. 20년간이나 공부 뒷바라지를 했고, 공부가 끝이 없다는 아내의 말과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은 공부뿐이라는 남명의 말에서 학문 연구에 게을리 하지 않는 것이 지식인의 역할임을 파악하였다. 그리고‘산해정’을 세우고 자신이 깨우친 학문을 제자들에게 가르치는 모습에서 후학을 양성하는 지식인의 모습을 찾을 수 있었다.
비판가로서의 지식인은 재야 지식인으로 삶을 살았지만 당대의 정치 현실에 개입하여 세상을 향해 상소문을 쓰는 남명의 모습에서 찾을 수 있었다. 지식인은 잘못된 시대 상황에 개입해야 하며, 그 때에는 자신의 개인적인 안녕이나 위신보다 전체의 입장이나 공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지식인은 잘못된 사회에 대한 비판가로서의 역할을 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남명은 학문을 하는 것이 어버이를 섬기고 형을 공경하고 어린 아이를 사랑하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하였다. 이는 학문을 하는 것은 관념적인 행위가 아니라 실천을 통해서 생활 속에서 행해지는 것임을 말한다. 일반 사림들이 재야에서 어찌할 바를 모를 때 남명은 목숨을 걸고 상소문을 씀으로써 용기 있는 지식인의 역할을 다했다. 남명의 행동을 통해 진정한 앎이란 실천이 뒤따를 때에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실존했던 인물인 조남명을 등장시켜 지식인의 역할이 무엇인지 밝히고 있는 이윤택 희곡 「시골선비 조남명」은 지식인 연극이라 할 수 있다.
「The Rural Scholar Cho Nam Myung」, which describes Nam Myung fulfilling his social duties as a intellectual, is a drama written by Lee Youn Taek upon request by Nam Myung Society, to commemorate Nam Myung`s 500th birthday. Lee Youn Taek wrote the drama with a clear objective, which is to picture intellectuals by looking through the innermind of a scholar called Cho Nam Myung.
This thesis contains research on the role of intellectuals presented in 「The Rural Scholar Cho Nam Myung」. First, characters are analyzed with Souriau`s character functions and the structure is dissected into parts according to Freytag`s dramatic structure. Also, there is analysis about how the actual facts of Cho Nam Myung are incorporated into the drama. Lastly, the role of intellectuals shown in 「The Rural Scholar Cho Nam Myung」is brought into focus.
- Author(s)
- 박경선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조남명 지식인 학자 비판가 실천가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815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955
- Alternative Author(s)
- Park, Kyung-su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Advisor
- 김남석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목적 = 1
2. 연구사 검토 = 6
3. 연구 방법 = 9
Ⅱ. 작품의 구성 = 12
1. 인물 분석 = 12
가. 조남명의 생애 = 12
나. 역할에 따른 인물 분석 = 15
(1) 소망자 - 조식 = 17
(2) 조력자 - 아내 = 18
(3) 적대자 - 문정왕후, 윤원형, 윤원형의 하인들 = 20
(4) 결정권자 - 명종 = 22
2. 구조 분석 = 23
가. 도입 = 24
(1) 남명이 처한 상황 = 24
(2) 이언적과의 관계 = 26
나. 상승 = 30
(1) 남명의 다양한 모습 = 30
(2) ‘칼’에 대한 생각 = 34
(3) ‘옷’에 대한 생각 = 39
다. 정점 = 43
(1) 세상에 대한 상소문 = 43
(2) 상소문(단성소)의 내용 = 44
라. 파국 = 50
(1) 명종의 결단 = 50
(2) 상소문(단성소)에 대한 명종의 반응 = 52
Ⅲ. 작품에 나타난 지식인 상 = 55
1. 학자로서의 지식인 = 56
가. 학문연구 = 56
나. 후학 양성 = 62
2. 비판가로서의 지식인 = 64
3. 실천가로서의 지식인 = 69
4. 이윤택이 나타내고자 한 지식인 상 = 4
Ⅳ. 결론 = 7
참고문헌 = 82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