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냉동새우 선물시장의 효율성과 정보흐름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Efficiency and Information for Future Market of Japan's Frozen Shrimp
- Abstract
- 본 논문에서는 일본 간사이 상품거래소에서 제공하는 냉동새우 선물시장의 자료를 이용하여 선물 모형을 추정함으로써 위험 프리미엄의 크기를 추정하였으며 동시에 이 선물시장에 유입되는 미래 가격에 대한 정보의 흐름정도를 살펴보았다.
앞서 제시한 이론적 추정에 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물격차율은 기본적으로 음(-)의 값을 보이고 있으며 만기일이 다가옴에 따라 선물가격이 상승함으로서 현물가격에 접근해 가는 백워데이션(backwardation)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표준품인 남서 인도산(16/20)현물가격이 선물가격보다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대부분의 선물 격차율 패턴이 불규칙적이고 현물가격에 수렴하지 못하고 있어 냉동새우 선물시장의 선물가격이 현물가격에 수렴하는 이론과 부합하지 못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둘째, 거래일별로 일정한 28일 만기 선물가격을 추정하여 선물 예측오차를 추정한 결과 우선 위험프리미엄의 크기는 -262.5엔으로서 0과 같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함으로서 일본 냉동새우 선물시장의 선물가격에 대한 위험프리미엄이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위험프리미엄에 대한 절대값이 큰 만큼 일본 냉동새우 선물시장에 대한 위험회피도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또는 일본 냉동새우 선물시장이 위험프리미엄에 대해 지나치게 크게 가격을 매기고 있다거나 위험프리미엄에 대한 부분이 시간가변적이어서 단지 상수로만 취급만 모형에 의해 다소 과대추정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선물시장의 참여자들이 위험중립적이 아니라 위험회피적이라고 가정할 경우 이에 대한 위험프리미엄을 반영한 모형에 대한 검증이 요구된다. 하지만 시간가변적인 위험프리미엄의 존재 유무에 대한 모형은 추후 연구과제로서 남겨두기로 한다.
셋째, 선물시장의 정보유입 속도를 나타내는 이동평균계수의 추정 결과 1주간에 걸쳐 계수값이 점차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일내로 절반 정도의 불확실성이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평균 모형의 차수가 커짐에 따라 즉 만기일로부터의 예측시점이 멀어짐에 따라 계수값이 서서히 줄어들어 마지막 날에는 거의 0에 가까운 값이 추정되고 있다. 다시 말해 이러한 결과는 만기로부터 멀어질수록 예측오차가 커지고 사용가능한 정보가 줄어드는 형태로서 새로운 정보의 유입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점차 증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첫 3주 이내로 30%정도밖에 되지 않고 네 번째주에 들어서도 불과 70% 정도의 불확실성 감소형태를 보이는 Stockman(1978)의 연구결과와는 대조적이다. 본 논문의 정보유입속도에 따른 연구 결과에 의해 일본 냉동 새우 선물시장이 더 빠른 정보 유입형태를 보임으로서 더 효율적인 시장이라는 결론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추정결과는 오히려 본 논문의 일본 냉동 새우 선물시장이 선물가격에 대한 가격책정이 부정확하다는 증거로 해석할 수도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at how the futures market of the Japanese frozen shrimp that is the only fisheries asset all over the world can be efficient.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s efficiency and information flow of the Japanese frozen shrimp market using data from Kansai Commodities Exchange frozen shrimp futures closing prices and spot prices.
And then this paper estimates a forward price model using that data. From the model, risk premium is estimated and we could also analyse the future information flow into the futures market which reveals future spot prices.
This thesis reached to conclusions as follows :
First, the null of zero risk premium is rejected and the value of that is negative. Second, the time pattern of information flow into the futures market is that most of the information on future price arrives within a week and for the last week, most of relevant information is already incorpor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contrasts with that of Stockman(1978) about currency futures market of U.S.
- Author(s)
- 전혜민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일본 냉동새우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819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959
- Alternative Author(s)
- Jeon, Hye Min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국제통상물류학과
- Advisor
- 김기수
-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방법과 논문구성 = 3
제2장 선행연구의 검토 = 5
2.1. 시장효율성모형에 대한 선행연구 = 5
2.2. 상품선물시장에 대한 선행연구 = 9
2.2.1. 새우선물시장에 관한 선행연구 = 9
2.2.2. 기타 상품선물시장의 선행연구 = 11
제3장 일본 냉동새우 선물시장의 현황 = 13
3.1. 일본의 상품선물시장 = 13
3.2. 일본의 새우 수입 동향 = 15
3.3. 일본 간사이 상품거래소의 냉동새우 선물거래 현황 = 19
제4장 이론적모형의 설정 = 24
4.1. 선물가격의 이론적 모형 = 24
4.2. 일정만기 선물가격 추정 = 27
4.3. 이동평균(MA)모형의 추정 = 29
4.4 분석모형의 요약 = 31
제5장 실증분석 = 32
5.1. 표본자료 및 기초통계량 = 32
5.2. 일정만기 선물가격 추정결과 = 44
5.3. 이동평균(MA)모형 추정결과 = 45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 49
참고문헌 = 51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국제통상물류학과-FTA비즈니스전공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