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용 알루미늄강판에서 인산처리액중의 불소함량에 따른 전착도막의 내식성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f anti-corrosion resistance of cataphoretic coating on the automotive aluminum substrate depending on fluoride contents in pretreatment.
- Abstract
- 피막제에 불소이온 함량이 30ppm에서는 알루미늄 강판 위에서 인산염 입자가 소량밖에 형성되지 않으나, 170ppm에서는 충분한 인산염 입자가 형성된다. 이는 불소이온 농도가 알루미늄 강판에서는 인산염 입자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CR강판에서는 불소이온 농도에 관계없이 인산염 입자는 균일하게 형성되었으며, 이는 CR강판에서는 불소이온 농도가 인산염 입자 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불소이온 농도는 입자의 크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산염 피막제의 불소이온 농도에 따른 내식성은 CCT와 SST 조건에서는 각 강판 종류가 불소함량에 따른 영향성을 확인되지 않았다. 단, 강판의 종류에 의한 내식성은 Al > GA ≫CR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CR강판에서 전처리 입자가 거의 형성되지 않았을 때, 급격한 내식성과 부착성 저하를 나타내었으나, 알루미늄에서는 그 효과가 작았다. 이는 알루미늄 소재에 형성되는 Al(OH)3 피막의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알루미늄 피도물 비율이 적을 때는 별도의 불소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전처리 Line의 운영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Th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fluorine ion content which is contained phospate agent to coat substrates before electrocoating was studied by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salt spray test and cyclic corrosion test. Fluorine ion content were varied from 30 to 170ppm and Al, CR, GA plates were used in this study. On the 20ppm in the phosphating agent, crystal density was rare while that of 170ppm was dense on the Al plate. However, rare crystal density of Al performed as good as dense one. But fluorine content in the phosphating agent did not affect crystal density on the CR.
- Author(s)
- 김약동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2
- Type
- Dissertation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824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964
- Alternative Author(s)
- Kim, Yag Dong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산업대학원 공업화학학과
- Advisor
- 박진환
-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
2. 이론적 고찰 = 3
2.1 자동차 부품에 대한 내식성 시험방법의 연구동향 = 3
2.2 자동차의 부식환경 = 4
2.3 자동차의 부식형태와 메커니즘 = 7
2.4 유기도막층의 박리 기구 = 10
2.5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분광법 = 18
2.6 알루미늄 강판의 표면처리 = 24
3. 실험 방법 = 30
3.1 Test 시험편의 제작 = 30
3.2 도막 찰상 시험에 의한 내식성 평가 방법 = 33
3.3 전기화학적 시험에 의한 내식성 평가 방법 = 34
3.4 도막물성 비교시험 = 36
3.5 표면상태의 확인 = 36
4. 실험 결과 및 고찰 = 37
4.1 F^(-) 농도에 따른 인산피막 입자의 표면상태 = 37
4.2 염수분무 시험에 따른 내식성 변화 = 39
4.3 복합 부식시험에 따른 내식성 변화 = 40
4.4 전기화학적(교류 임피던스) 시험에 의한 내식성 변화 = 43
4.5 도막물성 비교시험 = 45
5. 결론 = 47
Reference = 48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산업대학원 > 공업화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