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스쿨(Rowing School) 참여자의 참여동기 및 만족도가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The effect of maintaining exercise derived from rowing school participants' motive and satisfaction
- Abstract
- 1) 인구통계학적인 특성과 참여동기, 만족도와 운동지속과의 차이
성별에서 운동습관과 운동친구, 연령에서 운동친구, 수입에서는 자기계발, 건강지향, 심리적만족, 시설적만족, 직업에서는 자기계발, 건강지향, 시설적만족, 학력에서는 만족도와 운동지속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다.
2) 참여동기, 만족도와 운동지속과의 상관관계
참여동기의 자기계발과 가정오락은 운동지속의 운동환경과 운동친구에서 건강지향은 운동지속 하위요인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다. 만족도 하위요인과 운동지속 하위요인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다.
3) 참여동기와 만족도가 운동지속과에 미치는 영향
운동습관과 운동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지향과 심리적만족이며, 운동환경은 건강지향과 심리적만족, 시설적만족이 영향을 미친다.
The study by the lack of precedence in the sports school adjustment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motivated to participate in the continuing impact of study to enable the adjustment for the school is aimed to provide basic data.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otivated to participate, with the difference betwee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movement.
Gender friends in the movement and exercise habits, age, friends in the movement, the number of self-development, health-oriented,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 facility did not meet, a job the self-development, health-oriented, ever satisfied with facilities, continuing education and exercise all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2) participation motivati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movement between.
Motivated to participate in the exercise of self-development and continuous movement of home entertainment from a friend of the environment and health-oriented sub-factors and the continued significant movement has to do with static. Sub-sub-factors and continued satisfaction of all significant factors, it is static.
3) motivated to participate and the impact on satisfaction with the continuous movement.
Exercise habits affect the environment and exercise, 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meet the health-oriented and environment, health-oriented exercise,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 facility did not affect satisfaction.
- Author(s)
- 윤상진
- Issued Date
- 2009
- Awarded Date
- 2009. 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조정스쿨 참여동기 만족도 운동지속
- Publisher
- 부경대학교 대학원
- URI
- https://repository.pknu.ac.kr:8443/handle/2021.oak/10838
http://pknu.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1954978
- Affiliation
- 부경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대학원 체육학과
- Advisor
- 지삼업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 3
3.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1. 조정 = 5
가. 조정의 유래 = 5
나. 조정의 발전 및 현황 = 6
다. 우리나라 조정경기의 발달 = 8
라. 조정경기에 대한 이해 = 9
마. 조정스쿨 = 9
2. 참여동기 = 12
가. 동기의 개념 = 12
나. 스포츠 참여동기 = 13
다. 내적동기 = 14
라. 외적동기 = 15
마. 무동기 = 16
바. 항상성동기 = 17
사. 성적동기 = 17
아. 정서적동기 = 18
자. 사회적동기 = 18
3. 만족도 = 19
가. 만족도의 개념 = 19
나. 만족도의 특성 = 21
4. 운동지속 = 25
가. 운동지속의 개념 = 25
Ⅲ. 연구방법 = 32
1. 조사대상 = 32
2. 조사절차 = 33
3. 조사도구 = 33
가. 조사도구의 타당도 = 34
나. 조사도구의 신뢰도 = 38
4. 자료분석 = 39
Ⅳ. 연구결과 = 40
1. 조정스쿨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과 참여동기, 만족도와 운동지속과의 차이 = 40
2. 조정스쿨 참여자의 참여동기, 만족도와 운동지속과의 상관관계 = 53
3. 조정스쿨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만족도가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 55
Ⅴ. 논의 = 57
1. 조정스쿨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과 참여동기, 만족도와 운동지속과의 차이 = 57
2. 조정스쿨 참여자의 참여동기, 만족도와 운동지속과의 상관관계 = 60
3. 조정스쿨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만족도가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 60
Ⅵ. 결론 및 제언 = 62
1. 결론 = 62
2. 제언 = 63
참고문헌 = 64
부록 = 74
- Degree
- Master
-
Appears in Collections:
- 대학원 > 체육학과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